캐나다에서 관심이 높아가는 북한의 인권문제와 그 활동소식을 전하는 캐나다는 지금, 토론토에서 장미쉘 기자가 전합니다.
캐나다의 청년들이 모인 북한인권단체 '한보이스'는 최근 '탈북인 지도자양성프로그램'과 동남아시아에서 탈북자들을 직접 캐나다로 데려오기 위해 캐나다 정부의 적극적인 협력을 얻어내는 등 여러가지 북한 인권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데요. 이런 활동들의 뒷면에는 이 단체의 설립자이며 현재 고문으로 있는 김의철 변호사의 남모르는 고심과 수고가 깃들어있습니다.
오늘은 김의철 고문이 직접 들려주는 한보이스의 다양한 활동이야기 함께 합니다.
김의철: 예, 안녕하세요, 저는 김의철이라고 한보이스의 설립자중의 한명이예요. 한보이스는 2006년부터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인데요. 제가 법대에 있을 때 친구 두명하고 "서울기차"라는 다큐멘타리, 사실기록 영화를 보고 굉장히 감동을 받았었어요.
기자: 어떤 감동을 받으셨는지요?
김의철: 저같은 경우는 북한의 실상에 대해서 지식적으로는 알고 있었는데요. 영상으로 보니까 정말 충격을 받는 그런 경험을 했고 우리가 도와야 겠다는 충동이 있었어요. 그것으로 인해 1.5세 2세들이 모이는 그런 단체에 가입하고 싶었는데 그런 단체가 없었어요. 그래서 아쉽게 단체를 하나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한보이스가 설립되었거든요. 처음에는 아이덴티티, 정체성을 찾다가 옹호단체로 변했어요. 특별히 여기에 있는 북한주민들께서 그런 쪽으로 신경을 써라, 영어도 잘하고 전문적인사람들이 이런쪽으로 신경을 좀 써라 해서 감명을 받았습니다.
기자; 주로 어떤 어떤 일들을 하셨는지요?
김의철: 그러니까 우리의 경우에는 언어적인 그런 것이 있고 전문적인 직업을 가진 분들이 , 즉 변호사, 회계사 혹은 컨설팅쪽으로 있는 분들이 많아서 우리가 정부상대로 정부정책을 좀 변화시키자 이렇게 생각을 했어요. 예를 들어서 처음에는 탈북자에 대한 정책, 탈북자에 대한 인식, 캐나다 내에서 북한인권에 대한 인식, 그래서 국회의원님들 아니면 정부관료분들, 아니면 정부쪽에서 결정권이 있는 분들과 얘기를 나눠오다가 지금은 세가지 일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이제 탈북대학생을 여기에 초청을 해서 3개월동안은 캐나다 토론토 현지에서 공부하고 다음에 3개월동안은 이제 국회의원사무실에서 인턴을 하는 프로그램을 작년부터 시작을 했어요. 이번에는 2회인데 벌써부터 결실을 맺고 있어요. 예를 들어서 지난번에는 인턴이 국회인권소위원회에서 영어로 증언을 한 기회도 있고 지금 총리와 면담을 할수 있는 가능성도 있었고 여러가지 결정권이 있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어요.
그다음에는 우리 캐나다 정부를 상대해서 탈북인들을 태국에서 직접 데려올수 있는 상황을 만들려고 하고 있거든요.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데 그런 승인을 받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부측에서는 굉장히 호의적으로 보고 있는데 자세한 내용같은 것은 대화를 통해서 풀어나가야죠. 5년안에 한 100명정도 수용할 수 있도록 정부하고 대화중입니다.
세번째는 캐나다 내에서 여러가지 북한인권 아니면 인도주의적인 일을 하는 단체들이 많지만 서로 대화를 안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연결할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지 지금 검토중입니다.
기자: 지금 참여하는 분들은 대개 어느정도이고 어떤어떤 분들이신지요?
김의철: 주로 1.5세 2세분들이 많이 참여하시고 캐나다 현지분들도, 예를 들면 우리 사무장님께서는 한국분이 아닙니다. 우크라이나 계, 중국계 분이신데 북한인권에 굉장히 감명을 받아서 사무장까지 할수 있는 그런 사명감이 있습니다.
캐나다에서 북한인권의 목소리를 한껏 내고 있는 한보이스, 김의철 고문은 한보이스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것은 북한주민들 자신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런 한보이스의 바람, 그 목소리가 북한에 그대로 전해지기를 바라며, 지금까지 캐나다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장미쉘 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