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종합상담] 취업과 공부를 동시에?

0:00 / 0:00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예진입니다.

탈북자들은 남한 정착 기관인 하나원을 나와서 제일 걱정되는 게 바로 취업 문제일 겁니다.

자신이 원하는 일, 잘 하는 일을 선택한다는 게 쉽지 않은데요.

여기는 서울입니다.

자신에게 잘 맞는 일 찾기, 마순희 선생님이 알려드립니다.

이예진: 찾아가는 종합상담소, 북한 출신 전문 상담사 마순희 선생님과 함께 하겠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마순희: 네. 안녕하세요?

이예진: 네. 오늘은 탈북자들이 궁금해 하는 것들 중에 가장 많은 분야이기도 하죠. 바로 취업과 관련해서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으로 많이 걸려오는 상담전화들은 어떤 게 있었는지 알아볼 텐데요. 사실 남한에서는 취업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내 적성에 맞는 일인지, 그 다음으로 안정적으로 고정 수입을 받을 수 있는 일인지, 혹은 수입은 많은 편인지 이런 것들을 고려하게 되잖아요. 탈북자들이 취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건 어떤 걸까요?

마순희: 우리 탈북자들이 취업하면서 가장 궁금한 것은 급여가 얼마인지 하는 것일 겁니다. 취업을 하려고 시작한 곳이면 그렇게 생뚱맞은 분야는 아닐 것이기에 부족한 기술적인 문제나 전문성 이런 것은 본인이 노력하여 배우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예진: ‘여기는 서울입니다’ 이 시간에도 전해드린 적이 있지만 남한에서 고를 수 있는 직업의 종류는 수 백 가지나 됩니다. 그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일을 찾는다는 것도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마순희: 좋은 일자리라고 해서 자기에게 다 맞는 것은 아니거든요. 중요한 것은 내가 하고 싶은 일이기도 하지만 할 수 있는 일이 되어야 하겠죠. 그리고 오랫동안 그 직업을 지속하려면 내가 즐거운 마음으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여야 되겠죠.

제가 국립의료원에서 상담한 여성분 중에서도 그런 사례가 있습니다. 본인은 사회봉사활동을 하고 싶지만 경제적으로 돈을 벌어야 하는 환경 때문에 단순 노동을 하는 회사에 다니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사이버대학 다니면서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조언해 주었고 3학년에 편입해서 지금은 대학도 졸업하고 사회복지사 자격증과 노인케어복지사 자격증 등을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노인복지시설에서 일합니다. 지금은 하고 싶어 하던 일을 하고 있어서 굉장히 보람 있고 행복하다고 합니다.

이예진: 선생님도 사회복지사 공부를 계속 하고 계시잖아요?

마순희: 네. 지금 3학년이고요. 내년에 졸업하면 자격증을 받게 됩니다.

이예진: 나이와 상관없이 공부를 하고 있으신데, 선생님은 처음부터 적성에 맞는 일을 하셨던 건가요?

마순희: 아니에요. 사실 하나원에서 교육을 받을 때 적성검사를 해줍니다. 거기에서 적성검사를 했을 때는 사회봉사나 사회복지사로 나왔거든요.

이예진: 적성검사가 어떤 건가요?

마순희: 북한에선 적성검사라는 걸 몰랐는데요. 하나원에서 내가 어떤 일을 할 수 있고, 좋아하는 일이 뭔지,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이 높은 일이 뭔지 알 수 있는 검사입니다. 그래서 제가 사회복지사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알아봤더니 4년제 대학을 졸업해야 하고, 현장실습도 많이 해야 하더라고요. 당장 조건이 제가 할 수 있는 게 아니더라고요. 처음에 모든 탈북자들이 그렇지만 돈을 빨리 많이 벌려고 하기 때문에 4년 동안 공부를 하면 누가 돈을 벌까 싶어서 엄두를 못 냈어요.

그래서 처음에는 안 해본 일이 없었어요. 식품회사에서 단순노동도 했고, 식당에서도 일했고, 가정집에서 가사도우미도 했어요. 그러다가 짬을 내서 사회봉사를 했는데요. 그렇게 새터민 상담실에서 일을 하다 보니 이 일이 나한테 맞는 일이구나 싶었어요. 밤을 새워도 재미있더라고요. 보람도 있고요. 그런데 이 분야에 아는 게 너무 없는 것 같아서 사이버 대학교에 들어갔습니다. 그래서 사회복지학과를 다니고 있는데요. 그러다보니까 적성이라는 걸 무시할 수 없더라고요. 저도 몇 년을 빙빙 돌아서 결국 처음에 제 적성에 맞는다고 하는 일을 지금 하고 있잖아요.

이예진: 사례에서도 언급했고, 선생님도 지금 사이버대학교에 다닌다고 하셨는데 청취자 여러분에게 사이버대학교가 뭔지 설명 좀 해주세요.

마순희: 북한으로 말하면 통신대학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주간에 학교에 가는 게 아니라 일하면서 자신이 편한 시간에 컴퓨터로 TV처럼 교수님의 강의를 직접 보고 듣는 것이거든요. 그래서 일하면서 짬짬이 공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요. 저 같은 경우에는 출퇴근 시간이 1시간 정도 돼요. 그래서 강의를 mp3로 들으면서 다녀요. 제가 하는 일이 강의와도 연관이 있어서 ‘아, 그 때 내가 이렇게 했으면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었구나’ 이런 생각을 하면서 공부를 하니까 산지식이 되는 것 같아요.

이예진: 일하면서 공부하기 좋은 대학교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하지만 탈북 청년들을 보면 학벌을 많이 따진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거든요.

마순희: 제가 보기에도 많은 탈북자들에게 북한에서 배우지 못한 게 한이 돼서 남한에서 와서는 무조건 좋은 대학에 가려는 욕심이 있어요. 특히 특례입학이라고 해서 일반 국민보다 점수가 낮아도 입학할 수 있는 제도가 있어요. 그래서 탈북자들의 대학 입학은 별 문제가 안 되는데 입학한 다음이 문제죠. 강의 내용을 소화하지 못하는 거예요. 1년은 벙어리처럼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래서 1년 안에 끈기 없는 사람들은 도중에 포기하거나 시간 낭비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사이버대학은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자격증을 따고 학벌도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좋은 제도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예진: 네. 또 우리 탈북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일, 자신이 원하는 일을 알 수 있도록 돕는 것도 한국 정부의 몫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탈북자 취업을 돕기 위해 어떤 정책들이 있나요?

마순희: 취업 특례라고 해서 여러 가지 정책이 있습니다. 탈북자들이 기술력이 좀 떨어지잖아요. 그래도 그분들을 취업시킨 고용주에게는 최고 2년 내지 3년간 고용지원금을 지급합니다. 급여의 50%이긴 하지만 1년차는 50만 원, 2년차는 70만 원 정도까지 국가가 지원을 합니다. 그리고 취업한 탈북자들에게는 취업장려금을 주거든요. 4대보험회사에 들어가서 1년간 일을 하면 1년차는 550만 원, 2년차는 600만 원, 3년차는 650만 원 이렇게 취업 장려금을 줍니다. 또 취업을 위해 훈련을 받는 사람들에게는 500시간 이수한 경우에 120만 원, 한 사람이 한 번 자격증을 취득하면 장려금으로 200만 원을 줍니다.

이예진: 그러니까 탈북자를 고용한 회사에는 2~3년간 다달이 최대 650달러 정도 지원을 하게 되고, 취업을 한 탈북자들에게는 장려금으로 연차에 따라 5천 달러에서 6천 달러를 지급한다는 얘기네요. 취업을 위해 교육을 받을 경우에도 1100달러에서 1800달러를 지원하고요. 다양한 지원으로 탈북자들의 취업을 돕고 있지만, 아직 취업일선에 나가길 두려워하는 탈북자들이 있다고 합니다. 다음 이 시간에 탈북자들이 취업을 꺼리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찾아가는 종합상담소.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전문 상담사 마순희 선생님과 함께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마순희: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