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나라 사람들(1) 내가 아는 사람들!

0:00 / 0:00

남한에서 생활하는 청년들의 모습과 생각을 전해드리는 <청춘만세> 시간입니다. 오늘 이 시간을 함께 할 세 청년을 소개합니다!

클레이튼 : 안녕하십니까, 클레이튼이라고 하는데 미국 켄터키 주에서 왔습니다. 한국 온 지 6년 됐고, 해외 이사 전문 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현화 : 네, 안녕하세요. 북한 평안남도 개천시에서 온 현화입니다.

남한에 온 지 10년 됐고, 어르신들 치아가 없으면 틀니를 하잖아요. 그런 걸 만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지민 :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이지민이고, 국제경영을 전공했고, 곧 졸업을 앞두고 있는 평범한 취업준비생입니다. 반갑습니다.

진행자 : 이지민 씨는 남한에서 나고 잘랐고, 현화 씨와 마찬가지로 25살 동갑이에요. 그리고 저는 여러분과 함께 하는 진행자 윤하정입니다.

우리가 지금 클레이튼과 저를 제외하고는 처음 만났잖아요. 서로서로 어색하기도 하고, 게다가 다들 태어난 곳이 다르다 보니까 본인이 갖고 있는 정보를 꺼내게 되죠. 예를 들면 서울 사람들은 깍쟁이고, 경상도 사람은 무뚝뚝하고, 충청도 사람은 느리다는 것처럼.

일단 여기 미국, 북한, 남한이 있으니까 각 나라에 대해 첫 번째로 떠오르는 단어 등을 짧게 얘기해볼까요? 미국부터 하면 저는 자유분방함.

지민 : 활발함.

현화 : 개인주의.

진행자 : 그럼 남한은? 급하다?

클레이튼 : 맞아요, 빨리빨리!

현화 : 자유.

클레이튼 : 서열이 강하다. '찬물도 위아래 있다' 같은.

진행자 : 그럼 북한에 대한 생각?

클레이튼 : 뉴스 많이 봤으니까 군인, 지시에 따르는... 그런 생각이 나요.

지민 : 저도 비슷해요. 약간 순종적이다?

현화 : 순종적이라는 건 맞는 것 같아요.

진행자 : 자, 그러면 조금 더 깊게 얘기를 해보죠. 우리가 사실 '한 나라 민족을 통틀어 이런 성향이 있다'고 말하는 데는 무리가 있지만 아마도 우리가 여기서 하는 얘기들은 여러분이 지금껏 만나온 사람들, '내가 만나다 보니 그 나라 사람들은 이런 것 같더라'는 어떤 편견일 텐데, 일단 여기가 서울이니까 남한에 대한, 남한이라는 표현보다는 한국, 대한민국, 코리아라는 표현을 쓸 텐데 6년 전 클레이튼은 미국에서 한국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어요?

클레이튼 : 사실 오기 전에는 남한보다 북한에 대한 정보를 훨씬 많이 알고 있었습니다. 한국 오기 전에는 대기업 이름만 알았고, 한국 사람의 사고방식은 전혀 몰랐습니다.

진행자 : 현화 씨는 어땠어요? 남한 생각하면 자유가 떠오른다고 했는데, 남한 사람들에 대해서도 같이 살 사람들이니까 생각을 했을 것 같아요. 특히 북한에서는 교육을 받지 않나요?

현화 : 많이 받죠. 교과서에 나오는 것도 한국 어린이들은 헐벗고 굶주리고, 우리들보다 못 산다고 인식돼 있어요. 그래서 한국에 간다고 했을 때 여기보다 더 못사는 거 아닐까, 괜히 가는 거 아닐까 생각했는데, 북한에도 중국을 통해 한국 드라마가 많이 들어오거든요. 그거 보면 못 사는 사람들도 2층짜리 집에 살고, 아침 보면 항상 과일에 빵 먹으니까 '잘 사나?' 이런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실제로 한국에 와보니까 드라마와는 정반대, 북한보다 못 산다는 것도 정반대인 것 같아요.

진행자 : 드라마와 정반대라는 건 무슨 말인가요?

현화 : 드라마에서는 못 사는 사람도 옷도 잘 입고, 2층짜리 집을 쓰는데 모두가 그렇지는 않더라고요.

진행자 : 지민 씨는 남한 사람 어떤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외국 친구가 '남한 사람 어때?' 라고 물으면 뭐라고 말해요?

지민 : 요즘 제 또래를 보면 획일화된 것 같아요. 다 비슷한 생각, 학교 나오고 직장 갖고. 삶이 아주 특별하지는 않겠지만 전체적으로 너무 비슷해져서 점점 사람들이 비슷해진다?

진행자 : 예전에는 남한 사람 얘기하면 '정이 많다' 이런 말이 많았는데, 그런 얘기는 많이 못 들어봤나 봐요?

클레이튼 : 저는 많이 느꼈죠. 왜냐면 한국 사람들이 저 같은 외국인 보면 멀리서 왔다고 밥이라도 같이 먹자고 하고. 그런 정은 많이 느꼈습니다.

진행자 : 그리고 클레이튼이 말한 것처럼 서열문화는 분명히 있죠. 위아래가 분명하고.

클레이튼 : 그래서 제가 한국어 배울 때 존댓말부터 배웠어요. 친한 사람끼리 반말 써도 된다고 생각했는데, 친한 누나한테 '안녕, 뭐해?'라고 말했더니 '뭐하는 거냐!'고. 그때 진짜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제대로 배웠어요.

진행자 : 그럼 미국인은 어떤 것 같아요?

현화 : 북한에서는 미국을 진짜 안 좋게 봐요. 사람이라는 단어를 안 붙이고, 그냥 양코배기놈이에요. 북한에서는 미국사람이라고 말해본 적이 없어요. 그렇게 말하면 어느 날 쥐도 새도 모르게 없어지니까. 남한에 와서는 너무 쉽게 외국인들을 보니까.

진행자 : 미국인들도 꽤 접했을 거예요. 남한에서 만난 미국인은 어땠나요?

현화 : 너무 친절하고 좋았어요. 처음에는 많이 경계했는데, 학교에서 방학 때면 교회단체가 주도하는 영어 캠프에 갔어요. 저는 북한에 가족이 있으니까 항상 기도 제목이 가족을 다시 만나는 거였거든요. 기도를 할 때마다 우니까 그분들이 저를 안고 울어주면서... 너무 감동받아서 아직도 그때 친했던 분들과 연락해요. 북한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죠.

진행자 : 북한에서의 주적이 친구가 된 거네요. 상대적으로 미국 사람들은 표정도 다양하고 표현도 많이 하니까 더 친절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지민 씨는 어떻게 생각해요?

지민 : 미국인들이 들으면 어떨지 모르겠는데 미국에 대한 자부심이 많이 느껴지는 편이에요. 예를 들어 여행을 갔는데 미국 국기가 그려진 모자를 쓰고 있거나.

클레이튼 : 사실 어렸을 때는 미국에 대한 자부심이 많이 강했어요. 그런데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그런 자부심 약해졌어요. 역사도 공부하고, 외국인들과 얘기하면서 미국 외에 다른 나라도 다른 좋은 생각 있고, 다른 생각도 들어야 한다고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진행자 : 그럼 북한 청취자들이 관심 있을 만한 다른 나라 사람들의 성향도 개괄적으로 얘기해 볼까요? 보통 일본 사람들은 굉장히 예의바르고 성격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고 말하는데, 한편으로는 속내를 모르겠다고 하죠.

클레이튼 : 미국에 있을 때는 일본인들은 굉장히 착하고 다른 사람한테 화내지 못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었습니다.

현화 : 북한에서는 미국인이 양코배기놈이면 일본인은 쪽발이예요(웃음).

진행자 : 중국인은 어때요? 중국이 가장 우호적인가요?

현화 : 그렇죠, 왜냐면 식량이 떨어지거나 하면 중국에 손 내밀었을 때 바로 해주니까 중국에 대해서는 함부로 말하지 못한다고 생각해요.

진행자 : 여러분은 중국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지민 : 목소리가 크다?

클레이튼 : 맞습니다(웃음). 미국에 있을 때는 중국어를 들을 일이 없었지만 남한에서는 중국인들 많이 만나니까, 생각보다 중국어 시끄러운 편이에요.

진행자 : 특히 명동에 가면 중국인이 정말 많거든요. 귀마개를 하고 싶을 정도로 중국인 소리만 들려요(웃음). 저는 약간 무질서하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현화 :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북한에도 중국 사람들이 많이 관광와요. 소리가 너무 커서 누구한테 말은 안 했지만 진짜 시끄럽다고 생각했어요.

지민 : 그런데 저는 미국인도 소리가 크다는 말 많이 들었어요.

클레이튼 : 그런 편이죠(웃음).

진행자 : 러시아는 어떤가요?

지민 : 술을 좋아한다?

진행자 : 러시아 사람들이 의외로 한반도 사람들과 비슷한 기질이라는 말은 들은 것 같아요. 북한에서는 뭐라고 해요?

현화 : 저는 많이 못 들어봤어요. 그런데 부산에 가면 부산역 앞에 러시아인들이 무척 많더라고요. 길거리에서 병맥주를 들고 마시다가도 싸우기도 해요. 그래서 러시아 사람들은 싸움을 자주 하고 화를 많이 내나 생각했어요.

진행자 : 그게 표현방식의 문제이기도 한 게, 러시아에 갔을 때 어떤 분이 계속 저한테 화를 낸다고 생각했어요. 다른 분이 통역해 주는데 '어떤 걸 이렇게 하면 좋다'고 권해주는 거였는데, 저는 화내는 거라고 생각했어요. 표정도 굳어 있으니까. 미국에서는 러시아 사람들 어떻게 생각해요?

클레이튼 : 1990년대 초까지 냉전이었잖아요. 그래서 그때까지는 사실 미국사람들이 북한 사람 보는 것처럼 공산주의자, 빨갱이 그렇게 봤어요. 하지만 요즘에는 그런 생각 없죠. 러시아 생각하면 먼저 떠오르는 건 술, 보드카예요(웃음).

진행자 : 독일 얘기도 나올 수 있겠죠. 북한에서도 동독에 대해서는 우호적이죠?

현화 : 네.

지민 : 저는 독일 친구들이 많은데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많이 물어봤어요. 아직도 동독과 서독의 차이가 있는지. 많이 없어지고 노력하고 있지만, 그래도 남아 있다고는 하더라고요.

진행자 : 남한 사람들은 독일인 하면 근면하고 성실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데, 유럽권에서는 어떻게 보면 한반도에서 일본인을 생각하는 것처럼 속내를 모르겠는 사람들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더라고요.

클레이튼 : 미국에서는 독일인하면 효율적이다, 기계처럼 원칙적이고.

진행자 : 아주 원칙적이죠. 저도 20분 전에 공항에 도착했는데 절대 비행기를 태워줄 수 없다고 해서 표를 날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진행자 : 프랑스 사람들에 대한 생각은 어때요?

지민 : 미식가다? 먹는 것을 무척 중요하게 생각하고.

클레이튼 : 자기 나라 언어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다? 제 동생이 2년 정도 파리에 살았는데, 불어를 완벽하게 못하면 프랑스인들이 싫어한대요.

지민 : 영어로 말해도 프랑스어로 답해요. 알아들으면서도.

진행자 : 우리가 콧대 높다고 표현하죠(웃음). 영국 사람은?

지민 : 신사?

클레이튼 : 미국인은 영국인 만나면 '와 발음 멋있다' 생각해요. 비슷한 영어 쓰지만 발음 때문에 독특하고 멋있다고 생각합니다.

진행자 : 발음 자체도 영국이 딱딱한 편이죠.

북한 청취자들은 이동의 자유가 없으니까 외국에 갈 수도 없고, 그래서 쭉 얘기를 해봤는데, 현화 씨보다는 클레이튼이나 지민 씨가 정보가 많은 이유는 더 많이 접해봤기 때문이겠죠. 사실 클레이튼도 우리가 말한 모든 국가를 다 여행해본 건 아니잖아요.

클레이튼 : 어렸을 때부터 여행은 많이 했는데 현지인과 얘기할 기회는 없었죠. 그보다는 드라마나 영화로 이런 생각들이 생겼어요.

진행자 : 지민 씨는 얘기 들어보면 친구들이 굉장히 세계적이에요. 어떻게 그렇게 많은 친구들을 만났어요?

지민 : 저는 드라마나 영화를 많이 보면서 궁금증이 생겼어요. 남한도 드라마와 실상이 다른 것처럼 그 나라는 어떨까. 그래서 아일랜드라는 나라에서 10개월 정도 살았는데, 거기에서 만난 다른 나라 사람들한테 이것저것 물어보면서 친구가 됐죠. 또 그 친구의 친구를 알게 되면서 친구가 많아졌어요.

진행자 : 인터넷 사용이 자유로우니까 세계의 친구들과 만날 수 있고. 북한에서는 이런 것에 제약이 많다 보니까 동갑인데도 현화 씨는 다른 나라 친구들이 많지 는 않은 거죠.

현화 : 많이 부러워요. 사실 북한에서는 한국 드라마 하나를 봐도 집 창문마다 이불을 대고 몰래 보는데, 그러다 걸리면 감옥에 가고.

진행자 : 책이나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다른 나라에 대해 알아가는 건데, 그런 기회가 너무 제한적이다 보니까.

세 청춘과 함께 몇몇 나라 사람들의 성향에 대해 개괄적인 얘기들을 나눠봤습니다. 다음 주에는 이런 얘기들 좀 해보려고요!

현화 : 조금 이기적이다? 클레이튼 : 왜 이유 없이 빨리빨리 하라고 하는지. 진행자 : 왜 이렇게들 약속을 안 지키는 거예요?

어째 좋은 얘기들은 아닌 것 같죠? 세 청춘이 생각하는 남한 사람, 북한 사람, 그리고 미국인에 대해 다음 주에 계속 들어보시죠. <청춘만세> 지금까지 진행에 윤하정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