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에서 생활하는 청년들의 모습과 생각을 전해드리는 <청춘만세> 시간입니다.
세계화라고 하죠? 남한만 해도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고 있는데요. 지난 시간부터 우리 청춘들이 생각하는 특정 나라 사람들의 성향에 대해 얘기 나누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떤 얘기가 이어질까요? 먼저 이 시간을 함께 할 세 청년부터 만나보시죠.
클레이튼 : 안녕하십니까, 클레이튼이라고 하는데 미국 켄터키 주에서 왔습니다. 한국 온 지 6년 됐고, 해외 이사 전문 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현화 : 네, 안녕하세요. 북한 평안남도 개천시에서 온 현화입니다. 남한에 온 지 10년 됐고, 어르신들 치아가 없으면 틀니를 하잖아요. 그런 걸 만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지민 :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이지민이고, 국제경영을 전공했고, 곧 졸업을 앞두고 있는 평범한 취업준비생입니다. 반갑습니다.
진행자 : 이지민 씨는 남한에서 나고 잘랐고, 현화 씨와 마찬가지로 25살 동갑이에요. 그리고 저는 여러분과 함께 하는 진행자 윤하정입니다.
자, 이제 내용을 좀 바꿔서 여러분이 남한에서도 북한사람, 남한사람, 미국사람 등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을 만나면서 생활하고 있잖아요. 내가 몇 명을 만나다보니 '이 점은 참 이해를 못하겠다!' 이런 걸 얘기해 볼까요? 솔직하게 얘기하면 좋을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내가 생각하면 이 나라 사람들의 단점'이 되겠죠?
현화 : 일단 조금 이기적이다?
진행자 : 누가요?
현화 : 남한 사람들이요. 다 그런 건 아니겠지만 제가 직접 느꼈던 부분은... 그래서 상처를 많이 받았어요. 제가 한국에 처음 와서는 남한 사람들이 다 좋다고 느끼고, 한국 사람들을 많이 믿고 살아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저도 아는 사람들이 생기잖아요. 아는 언니나 또래 친구들과 같이 지내다 보면 어느 순간 가식적으로 느껴지는 거예요. 저는 모든 걸 주는 편이라서 상처를 받았는지 모르겠지만 아직까지도 사람을 잘 믿지 못하는 안 좋은 버릇이 생겼어요.
진행자 : 사람을 만날 때 좀 거리를 두고 만나는 편이다? 지민 씨가 남한 사람들을 대신해 변명이나 항변을 해본다면(웃음)?
지민 : 사실 어느 정도 맞다고 생각하는데, 다 그런 건 아니에요. 사람 나름이고.
진행자 : 어떻게 보면 현화 씨가 북한에 있을 때는 10대였잖아요. 남한에서 본격적으로 생활한 건 20대인데, 남한에서도 10대와 20대는 친구나 사람을 만날 때 분명한 차이가 있을 거예요. 10대 때는 단짝, 영원한 우정을 얘기하지만 20대는 또 다르죠.
클레이튼은 어때요? 5년 살다 보니 '이런 건 참 이해 안 된다!' 그런 거 있나요?
클레이튼 : 거의 다 이해하게 됐지만 약간 싫어하는 점도 있죠. 남한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데 이유 없이 '빨리 빨리 하자!' 왜 그렇게 하는지. 예를 들면 상사가 이건 빨리 빨리 하라고, 그런데 몇 시간 뒤에 새로운 정보 들어왔으니까 다시 하라고. 그런 건 싫어요.
진행자 : 비효율적인 업무처리?
클레이튼 : 맞아요. 그리고 남한 사람들 너무 외모지상주의다?
진행자 : 외모를 너무 우선시하고, 외모에 돈도 많이 투자하고.
클레이튼 : 첫인상에 외모 어느 정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사람의 사고방식이나 성격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진행자 : 그런데 클레이튼은 잘 생겼잖아요. 외모 때문에 자격지심을 느낄 필요는 없을 것 같은데, 그러면 외모지상주의인 곳에서 살기는 더 편하지 않아요? 남한 사람의 어떤 면을 보고 싫다고 말하는 거예요?
클레이튼 : 예를 들면 여자들 가방을 보면 외국에서 온 아주 비싼 명품을 들어야 해요. 돈을 쓸 데 없는 데 쓴다고 생각해서 아주 싫어합니다. 가격이 천 불 정도인데 가방 안에 들어가는 건 그냥 지갑이나 핸드폰이잖아요.
진행자 : 그런데 미국에서도 명품 가방 드는 사람 많은데요?
클레이튼 : 그것도 싫습니다(웃음). 미국보다 한국이 더 심한 것 같습니다.
진행자 : 미국에서는 일부 사람들이 그렇다면 남한에서는 전반적으로 그런 면이 있죠.
클레이튼 : 왜냐면 제가 켄터키 주에서 왔는데 켄터키는 좀 시골이고 지금은 서울에서 사니까 약간 뉴욕 같겠죠. 뉴욕사람은 더 비슷할 수도 있습니다.
진행자 : 외모도 너무 따지고, 물질도 너무 따진다는 말인데. 지민 씨는 내가 남한 사람이지만 남한 사람 이런 건 참 싫다?
지민 : 저도 비슷해요. 겉치레가 많죠. 저는 스트레스 받는 게 다이어트? 텔레비전에도 너무 마르고 날씬한 사람들이 많이 나오니까 기준이 점점 세져서 나도 저렇게 날씬해져야겠다, 그리고 약간 뚱뚱하면 안 좋게 보는 시선도 있는 것 같고요.
진행자 : 저 같은 경우는 지민 씨가 처음에 얘기했지만 획일화? 너무 똑같지 않나. 외모도 똑같고, 머리 모양도 똑같고, 게다가 사는 집도 아파트라서 다 똑같죠(웃음). 뭔가 유행하면 그것 외에 다른 것은 잘 받아들이지 않고요.
지민 : 그리고 그런 유행이 너무 빨리 바뀌어요. 1~2년만 지나도 못 입고.
진행자 : 핸드폰도 한 3년 지나면 '너 왜 아직도 이것 써?' 물어보죠.
클레이튼 : 3년 아니고 한 1~2년이요(웃음).
진행자 : 그런가요? 제가 좀 오래 써서(웃음). 자, 이번에는 미국사람 이런 건 이해 안 된다?
저 같은 경우는 예전 회사에 영어방송이 따로 있어서 외국인 직원들이 꽤 있었는데, 남한 회사에서 일하는 데도 한국 문화나 그 기업에 맞춰 무언가 하려는 게 아니라 '미국에서는 이런데 왜 남한은 이렇지?'를 자꾸 나타내는 면이 있었던 것 같아요.
어때요? 지민 씨는 미국인 친구들도 많지 않아요?
지민 : 다른 관점에서 미국 친구들은 연애할 때 좀 빠르고 개방적이다? 덜 진지하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웃음)?
진행자 : 클레이튼은 굉장히 진지하고 보수적인 친구예요(웃음).
클레이튼 : 제 인생에 세 번의 연애가 있었는데 다른 친구들은 훨씬 더 빠른 편이에요. 제 생각에는 결혼 전에 어떤 사람이랑 잘 맞는지, 어떤 사람 좋아하는지 많은 사람을 만나봐야 알 수 있어서 그럴 거예요. 저는 반대입니다(웃음).
진행자 : 제가 아는 클레이튼은 건실한 청년이에요. 그래서 저도 클레이튼 때문에 미국 사람에 대한 편견이 바뀐 거죠.
그러면 청취자 여러분이 가장 궁금해 하실 텐데, 북한 사람들은 어때요?
지민 : 저는 많이 만나본 건 아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자존심이 좀 센 것 같아요. 진짜 가깝다면 서로 조언을 해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조심스러웠어요. 좋은 마음에서 잘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조언을 하면 상처받더라고요.
현화 : 이게 남한 사람들은 저희를 위해서, 생각해서 조언하는 건데 저희는 동정심이라 생각돼서 싫어하는 것 같아요. '이건 이렇게 하는 거야'를 북한 사람이 얘기하면 다 받아들이는데 남한 사람이 얘기하면 '내가 몰라서 좀 그런가...' 생각하니까 남한 사람들은 또 '함부로 말하면 안 되겠구나' 생각한다고 하더라고요.
진행자 : 그건 어떻게 보면 약간의 피해의식이나 자격지심일 수 있겠네요.
현화 : 네.
진행자 : 클레이튼도 북한 친구들을 좀 만나봤죠?
클레이튼 : 네, 미국에 있을 때는 뉴스 보면 군인이 행군하고 있고 로켓이나 폭발 같은 내용만 보니까 북 한 사람들이 다 군인처럼, 로버트처럼 행동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만나보니까 남한 사람들과 비슷해요. 사고방식이 약간 다르긴 하지만, 제가 만났던 북한 사람들은 '대학 어떻게 졸업할까, 졸업하고 나서 어떻게 취직할까'... 그런데 미국 사람들은 뉴스만 보니까 '다 빨갱이다, 공산주의자다' 잘못 생각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 남북의 사고방식이 어떻게 달라요?
클레이튼 : 정확히 잘 모르겠지만 제가 물어봤더니 북한 친구들이 그렇게 얘기했어요. 남한 사람들이 더 개인적으로 생각할 수 있고, 그런데 북한은 조직생활이라서 누가 시키는 것에 익숙하고. 그 리고 남한 사람과 북한 사람 유머, 웃는 지점이 다르다고 들었어요.
진행자 : 우리가 쭉 얘기를 했지만 오히려 남한 사람들의 경우 '북한 사람은 이렇다!'고 거의 생각하지 않고 사는 것 같아요. 만날 기회도 없고, 문화로 접할 수도 없고. 저도 생각 없이 살다가 이 방송을 하면서, 그러니까 저의 북한사람에 대한 어떤 생각은 여기서 만난 사람들에 의해 형성이 되겠죠? 가장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왜 이렇게 약속을 안 지키는 거예요(웃음)? 방송은 성실함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그것에 반하는 모습이 여러 번 발견되니까 '왜 이렇게 약속을 안 지킬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현화 : 맞는 말씀이에요. 남한에서는 시간 약속이 철저하잖아요. 만약에 3시에 만나자고 하면 5분 전에 나가서 기다리는데, 저도 처음에는 약속을 못 지켜서 많이 혼났거든요. 왜냐면 북한에서는 '아무 때나 만나면 되지'라고 생각하다 남한에서는 꼭 그 시각에 만나야 하니까 그걸 못해서 힘들었던 적도 많아요.
진행자 : 북한에서의 어떤 문화가 영향을 미친 걸까요?
현화 : 북한에서는 서로 살아가기 힘드니까 약속을 잘 안 해요. 하루 벌어 하루 먹고, 한 끼 먹고 살기 힘든데 누구랑 약속을 하겠어요. 그런데 여기 와서 누구와 약속을 하려고 하니까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 것 같아요.
진행자 : 저 같은 경우는 일로 사람을 만나는데 약속이 자꾸 깨지니까 좀 전에 현화 씨가 남한 사람들은 좀 가식적인 것 같아서 못 믿겠다는 것처럼 저도 북한 사람들과 일적으로 약속을 잡으면 '올까? 안 올까?' 이 생각을 계속 하게 되는 거예요.
그런 생각은 해봤어요. 예를 들면 직장에서 일을 할 때도 북한에서는 자기가 일한 만큼 보수를 받는 게 아니잖아요.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대충 하거나 남들보다 더 할 필요가 없잖아요. 그런 것들이 몸에 쌓여서 남한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나?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현화 : 그 말도 맞아요. 왜냐면 남한은 내가 한 만큼 돈을 받잖아요. 그런데 북한에서는 안 해도 한 사람하고 똑같이 받으니까 굳이 약속을 지켜서 이걸 내가 해야 한다는 생각이 없어요.
진행자 : 어떻게 보면 민감한, 서로 얼굴 달아오를 얘기들을 했는데 이제 세계화잖아요. 남한 내에서도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는 만큼 이런 얘기들이 서로 오고가고 충돌을 일으키면서 더 나은 방법을 생각할 수 있을 거예요.
또 하나는 여러분이 본 영화나 책, 직접 만난 사람을 통해서 그 나라에 대한 생각들이 형성되잖아요. 그렇게 보면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민간 외교관이 되는 거잖아요. 그런 점에서는 책임이 크죠. 특히 외국에서 온 클레이튼이나 현화 씨도 마찬가지죠. 남한 사람들에게 '북한 사람들은 저렇구나!'라는 생각을 갖게 하기 때문에.
현화 : 북한 사람들이라고 남한에 와서 다 나쁘게 생활하는 건 아니잖아요. 잘 지내는 사람들을 보면 남한 사람들도 '참 성실하다' 생각하다가 누군가 북한에서 온 사람이 실수를 하면 생각이 또 바뀌게 되죠. 저로 인해, 북한에서 와서 열심히 해서 한국 사람들이 생각하는 나쁜 이미지를 깨도록 약속도 잘 지키고, 그렇게 살아가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지민 : 저는 일단 우리가 다른 환경에서 자라서 다를 뿐 어떤 게 맞고 틀린 게 아니라는 걸 다시 한 번 느꼈고, 제가 전에 만났던 북한 친구들에게 저도 상처를 받았는데 이렇게 들어보니까 그 친구들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겠다 싶었어요.
진행자 : 그러니까 일방적으로 상처를 받은 건 아니에요, 서로 받은 거예요(웃음). 클레이튼은 어때요?
클레이튼 : 한국에 처음 왔을 때부터 어깨가 약간 무거웠습니다. 왜냐면 진짜 제가 미국 대표라고 생각했으니까요. 그래서 항상 예의 바르게 지내고, 한국어와 한국 문화 배우려고 노력하고. 왜냐면 다른 미국 사람들은 어느 나라에 가도 계속 영어로 얘기하고, 저는 그러지 않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진행자 : 오늘 사실 저희가 얼굴 붉힐 수 있는 굉장히 민감한 얘기들을 했어요. 이렇게 끝내 버리면 '쟤가 저런 생각을 했단 말이야!' 이렇게 끝나지만, 다시 만나서 다른 얘기를 하면서 서로 맞춰 가면, 또 그런 게 북한 청취자 여러분에게도 분명히 필요한 문화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청취자 여러분에게 인사드리면서 이 시간 마무리하도록 하죠.
다함께 : 청취자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진행자 : 지금까지 진행에 윤하정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