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에서 생활하는 청년들의 생각을 들어보는 <청춘만세> 저는 진행자 윤하정입니다.
먼저 이 시간을 함께 꾸며갈 세 청년을 소개할게요. 클레이튼 : 안녕하세요, 미국 켄터키 주에서 온 클레이튼입니다. 한국에 거주한 지 7년 됐고, 한국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강예은 : 안녕하세요, 강예은이라고 합니다. 러시아어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제가 살아갈 세상과 통일 한반도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 많은 이야기를 통해 서로 이해를 넓혀갔으면 좋겠습니다.
광성 : 안녕하세요, 서울에서 회사 다니고 있는 정광성입니다. 고향은 함경북도 회령시고, 남한에 온 지 11년 됐습니다. 북한 청취자 여러분을 위해 좋은 소식 전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insert 1. 엄청난 덕내다, 교실 전체에 덕후 냄새가 진동을 하고 있어. 선생님까지 트랜스포머 덕후라니 정말 대단할 걸.
insert 2. 어느 날 'T T'가 귀에 꽂혀서 저도 모르게 입덕을 한 거예요. 원래는 레드벨벳 팬인데 지금 트와이스에 입덕했다고 했더니 팬들이 심각하게 '아, 잡덕 안 좋아하는데...'
예능이라고 남한 오락 방송 두 편에 나왔던 내용을 짧게 전해드렸는데요. 무슨 말인지 이해하셨나요?
아마 남한에서도 나이가 지긋한 분들은 알아듣기 힘들었을 텐데요.
덕후, 덕내, 입덕, 잡덕...
외계어도 아니고 외래어도 아닌 이 단어들은 최근 남한 청년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는 말입니다.
방송이나 신문 등 매체에서도 곧잘 등장하는데요. 요즘 남한의 문화를 잘 드러내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덕후'를 비롯해 파생어들이 참 많은데요. 어떤 뜻인지, 우리 청년들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청춘 만세> 지금부터 함께 들어보시죠.
진행자 : 안녕하세요. 요즘 텔레비전 등을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에 하나가 '덕후'가 아닐까 합니다. 북한에서도 남한의 드라마는 물론이고 예능이라고 오락 방송도 많이 보니까 일단 '덕후'가 무엇인지 예은 씨가 설명을 해줄래요?
예은 : '덕후'는 '오타쿠'라는 일본말을 한국식으로 변형한 '오덕후'의 줄임말입니다. 처음에 일본에서 오타쿠는 어떤 것 하나에 빠져서 집중적으로 취미생활을 즐기는 사람, 집 밖에 나가지도 않아서 사회성이 결여된 사람을 의미했어요. 시간이 지나서는 좀 더 긍정적으로 그냥 한 곳에 몰두하는 사람을 뜻하는데요. 남한에서도 처음에는 부정적으로 인식됐어요. 예전에 한 방송에서 출연자가 일본 만화에 등장하는 인물, 캐릭터 베개를 가지고 나와서 그 캐릭터와 결혼하고 싶다, 같이 밥도 먹고 싶고 영화도 보고 싶다고 말했는데 그 사람을 '오타쿠, 오덕후'라고 부르기 시작했거든요. 그래서 '오덕후'하면 떠오르는 모습은 만화 등장인물을 지나치게 좋아하고 좀 비현실적인 사람이었어요. 그러다 일본처럼 시간이 흐르면서 '덕후'가 긍정적인 표현으로 바뀌어서 지금은 마니아, 어떤 분야에 준전문가급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뜻하고 모두가 자신이 덕후라고 인정받고 싶어 해요.
진행자 : 오타쿠라는 단어가 일본에서는 1970년대에 등장했다고 해요. 남한에 2000년대쯤 들어왔을 때는 예은 씨가 말한 것처럼 부정적인 느낌이 강했는데 지금은 취미생활을 좀 과하게 하는 사람,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진행자 : '덕후'를 뜻하는 다른 표현을 얘기해 볼까요?
클레이튼 : 미국에서는 약간 나쁜 뜻인데, 'fanatic'? 팬(fan)이라는 표현이 있어요. 예를 들어 '나 이 축구팀의 팬이다'. 팬은 적당히 좋아하는 건데, 'fanatic'이라고 하면 미친 듯이 좋아하고 완전히 빠졌다는 뜻이에요.
진행자 : 남한 식으로 하면 '광팬'이네요.
클레이튼 : 스포츠 fanatic 정도는 사람들이 이해하는데 제가 어렸을 때 '스타워즈'라는 공상과학영화를 굉장히 좋아했거든요. 그런데 보통 어린이들이 많이 좋아하는 거라서 아직도 '스타워즈 fanatic'이라고 하면 사람들이 나이 값 좀 하라고 해요(웃음).
진행자 : '마니아'라고도 하지 않나요? 남한에서도 무언가를 좋아하면 '팬'이라고 하잖아요. 거기에서 좀 지나치면 '광팬', 너무 빠져서 '빠순이', '죽순이'라고도 하죠.
예은 : 네, 보통 특정 가수를 좋아하는 팬들을 '빠순이', '광팬'이라고 하는데 그게 이제 '덕후'라는 표현으로 바뀐 것 같아요.
진행자 : 사실 초반에는 방송 등의 매체에서 덕후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거든요. 이제는 덕후라는 말이 방송에도 아주 자연스럽게 나오더라고요. 남한 방송 보시면서 '저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궁금하셨던 분들을 위해 저희가 오늘은 덕후에 대해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여러분도 무언가의 덕후인가요?
예은 : 저는 '해리포터'라는 소설을 무척 좋아했어요.
진행자 : 클레이튼이 어렸을 때 '스타워즈'를 좋아했다고 했는데 '스타워즈'가 1990년대에 나왔나요?
클레이튼 : 1977년에 처음 나왔고, 1980년, 1983년, 1997년에도 나왔습니다.
진행자 : 이렇게 잘 아는 거예요(웃음). '스타워즈'가 좀 예전 공상과학영화라면...
예은 : '해리포터'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의 작가가 쓴 소설인데 이 소설이 성경책 다음으로 많이 팔렸다고 할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았고 모두 영화로도 만들어졌어요. 제가 지금은 '해리포터'를 좋아하지 않지만 예전에는 책 전권을 소장하고 있었고 그 책을 수없이 많이 봐서 수많은 등장인물들의 이름이나 특징을 다 꿰차고 있었고 마법에 관한 이야기라서 주문도 다 외우고 있었어요.
진행자 : 주문 한번 해볼까요(웃음)?
예은 : 지금은 기억이 안 나요(웃음).
진행자 : 몸에 배어 있을 거예요. 덕후라는 걸 증명해야죠!
예은 : '알로호모라'라고 자물쇠를 여는 주문이에요. 그리고 영화도 다 소장하고 있어요. 생각날 때마다 한 번씩 보거든요.
클레이튼 : 제가 더 심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스타워즈' 덕후여서 일단 77년, 80년, 83년에 나왔던 영화를 수백 번은 본 것 같아요, 대사를 다 외울 만큼. 그리고 요즘 새로운 '스타워즈' 나왔는데 극장에서 두 번 봤고. '스타워즈' 이야기 이어지는 책도 있는데 몇 권을 읽었는지 모르겠어요. 사실 책을 별로 안 읽는데 '스타워즈'는 그 정도로 좋아하는 거예요. '스타워즈' 장난감도 몇 백 개 정도 있고요. 미국 집 가면 지하실 한 부분이 제 스타워즈 장난감이에요(웃음).
광성 : 클레이튼 형 승리네요(웃음).
진행자 : 저는 공연 덕후인 것 같아요. 가수들 공연을 굉장히 좋아해서 20대에는 티켓 가격이 비씨지만 일주일에 한 편 정도는 공연을 보러 다녔어요. 그러다 북한에서는 가무극이라고 하죠, 뮤지컬이나 연극까지 확장되고 출입처가 따로 있는데도 공연은 덤으로 취재를 하고. 계속 보다 보니까 공연의 본고장이라고 할 수 있는 유럽에 관심이 많아져서 회사를 그만뒀잖아요(웃음). 지금도 일주일에 한 편 이상은 공연을 봅니다.
클레이튼, 광성, 예은 : 덕후 인정이요(웃음)!
광성 : 제가 가장 약한 것 같아요. 저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챙겨 보고, 재밌는 부분 다시 보고. 다운 받을 수 있거든요, 저장해 놓고 심심할 때마다 또 보고 또 보고. '무한도전'이라는 방송을 좋아해서 매주 챙겨 보고, 한 회도 빠짐없이 다 봤거든요.
진행자 : 예능 프로그램의 덕후라고 했는데, 거기 나오는 출연자들이 여러 사정으로 교체될 때가 있잖아요. '무한도전'도 출연진이 교체될 때 덕후들이 가만있지 않습니다. '저 사람은 안 된다!' 식으로 덕후들이 관여를 많이 하거든요.
광성 : 저도 인터넷에 댓글을 썼어요. 내가 싫어하는 사람이 합류하면 '굳이 저 사람이 해야 하느냐'며 글을 남겼어요.
진행자 : 덕후를 판정하는 기준도 있다면서요?
예은 : 네, 내가 덕후인지 아닌지 알아보는 테스트가 있어요. 총 7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예, 아니오로 답해 주세요.
1번, 무언가를 바라보거나 생각하면 그저 웃음이 나온다.
진행자, 클레이튼, 광성 : 네, 당연하죠(웃음). 예은 : 2번, 무언가에 대해 무제한 토론도 가능하다.
진행자, 클레이튼, 광성 : 가능합니다, 자신 있어요(웃음).
예은 : 3번, 무언가에 몰입할 때는 초인적인 집중력이 생긴다.
진행자, 클레이튼, 광성 : 그렇습니다.
예은 : 4번, 무언가에 돈을 쓸 때는 상한선이 없어진다.
진행자 : 네.
광성 : 그건 아닌 것 같아요.
클레이튼 : 제가 돈은... 아닙니다.
예은 : 5번, 무언가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찾아본다.
진행자, 클레이튼, 광성 : 네.
예은 : 6번, 무언가 앞에서 논리나 이해관계를 따지지 않는다.
진행자, 클레이튼, 광성 : 이건 아닌 것 같아요.
예은 : 7번, 무언가에 관해서 계획, 다짐을 어겨본 적이 없다.
진행자, 클레이튼, 광성 : 아닙니다.
예은 : 어, 그래본 적이 없어요? '내가 이걸 해야겠다' 하면 반드시...
진행자 : 아, 저는 공연을 보기 위해 약속을 취소해요(웃음).
예은 : 총 7개 문항인데 4개 이상이 '예'면 덕후 유망주예요.
광성 : 제가 유망주네요.
클레이튼 : 저도 합격.
진행자 : 저는 6개.
예은 : 덕후네요, 그냥(웃음).
진행자 : 제가 공연 관련 어떤 기사를 썼는데 공연 덕후들이 댓글을 달았어요, 저더러 '덕중덕'이라고. 덕후 중에 덕후래요(웃음). 덕중덕처럼 파생된 단어들도 많죠?
예은 : 네, 덕후들이 하는 행동을 '덕질' 덕후가 되는 것을 한자 '들 입'을 이용해서 '입덕' 덕후 행동을 쉬는 것을 '휴덕', 덕후 활동을 접으면 '탈덕', 내가 덕후라고 세상에 알리는 걸 '덕밍아웃'이라고 해요. '커밍아웃'이라는 영어를 활용해서(웃음). 그리고 덕질을 어느 정도 한 사람들의 내공을 '덕력'이라고 해요. '잡덕'이라는 것도 있는데, 원래 덕후가 한 곳에 몰두해야 하는데 잡덕은 여러 곳에 집중하는 사람을 뜻해요.
진행자 : 누군가를, 무언가를 좋아하는 마음을 '덕심'이라고도 하고 '덕통사고'라는 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클레이튼이 원래는 '스타워즈' 덕후인데 어느 날 '해리포터'를 보고 빠져버린 거예요. 교통사고처럼 덕통사고가 난 거죠. 굉장히 재밌죠(웃음)? 그리고 '성덕'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덕질을 하다 준전문가가 돼서 정말 관련 일을 하기도 하고, 아니면 어떤 가수를 따라다니다 그 사람의 일을 봐주는 주변인이 되거나 실제로 배우나 가수가 되는 사람들도 있더라고요.
클레이튼 : 메탈리카라고 미국의 헤비메탈 그룹 좋아하는데 메탈리카 때문에 전자기타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10년 정도 연습하면 저도 메탈리카에 들어갈 수 있지 않을까.
진행자 : 맞아요, 그때도 메탈리카가 활동을 하고 있어야 할 텐데(웃음).
남한 예능 방송을 보면 자주 등장하는 '덕후'라는 표현에 대해 이제 의문이 풀리셨나요? 방송을 들으면서 '나는 무엇의 덕후일까' 생각하는 청취자 분들도 계실 텐데요. 남한에 있는 특이한 덕후들, 또 북한에 있는 덕후들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계속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청춘 만세> 오늘은 여기서 인사드릴게요. 지금까지 진행에 윤하정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