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그리고 해외 청년이 함께 하는 청.춘.만.세
강남 : 안녕하세요, 김강남이라고 합니다. 2010년도에 탈북해서 대한민국에서는 지금 5년이 됐네요. 저 탈북자입니다. 약자의 편에 서는 경찰이 되고 싶어서 경찰행정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고요.
알렉스 : 저는 알렉스라고 하고, 영국에서 왔습니다. 27살이고, 대학원에서 한국학을 공부하고 있어요. 고향에서 한국의 영화나 음악을 많이 접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생겼는데, 한국에 와서 북한에 대한 관심도 생겨서 방송에 나오게 됐어요.
예은 :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예은이고요. 출연자 중에 여자가 저 혼자라서 기쁘네요. 저는 러시아어를 전공하고 있고요. 러시아가 앞으로 통일에 있어 필요한 국가이기도 하고, 지지를 해줄 국가라고도 생각해서 러시아어를 통해서 남북통일에 기여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진행자 : 그리고 저는 이 청춘들과 함께 하는 진행자 윤하정입니다.
Insert. 케이윌 - 오늘부터 1일
오늘 뭐하니
너 지금 바쁘니
별 일 없으면 오늘 나랑 만나줄래
할 말이 있어
뭐 별 얘기는 아닌데 나 너를 좋아하나봐
지난해 여름 발표돼 여전히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케이윌이라는 남한 가수의 '오늘부터 1일'이라는 노래인데요. 어떤 내용의 노래인지 조금만 들어도 아시겠죠?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의 가장 큰 관심은 바로 '사랑, 연애'가 아닐까 합니다. 남북청년들이 함께 하는 인권모임 '나우'의 김강남, 강예은 씨, 그리고 영국에서 온 알렉스 잭슨 씨도 마찬가지일 텐데요. <청춘만세> 오늘은 이 얘기 좀 해볼까요?
진행자 : 20대 하면 학업과 취업, 그리고 청춘사업이라고 하죠? 연애를 빼놓을 수 없을 텐데, 다들 청춘사업은 잘 되고 있나요?
강남 : 저는 지금 여자 친구를 사귀고 있습니다. 청춘사업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알렉스 : 저도 여자 친구는 있어요.
예은 : 저도 있죠.
진행자 : 청춘사업들 무척 잘하고 있네요. 그러면 내 애인은 이런 점이 좋다, 이래서 내가 좋아한다. 애인 소개 좀 해볼까요?
예은 : 일단 저보다 어려서 좋아요(웃음). 연하인데도 불구하고 생각이 어른스럽고, 보수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요. 저와 그런 부분에서는 정말 잘 맞고, 잘 배려해주고.
진행자 : 몇 살이나 어린가요?
예은 : 세 살 어려요.
진행자 : 알렉스도 여자 친구 소개 좀 해주세요.
알렉스 : 저와 동갑이고요. 일단 예쁘고, 인생의 작은 행복들을 잘 알고 감사하고, 갑자기 좋은 생각이 나면 무척 귀엽게 웃거나 하는 게 좋아요.
진행자 : 그런데 지금 여자 친구는 영국에 있나요?
알렉스 : 아니요. 한국 사람이에요.
진행자 : 한국에 와서 만난 거예요? 얼마나 된 거예요?
알렉스 : 3개월 정도 됐어요.
예은 : 지금 한참 불타오를 때네요(웃음).
알렉스 : 강남 군은 어때요?
강남 : 저는 여자 친구가 저보다 한 살 어리고요. 여자 친구의 매력은 착한 거예요. 거기에 반한 것 같아요.
진행자 : 마음만 예쁜가요?
강남 : 아휴, 예쁘죠.
진행자 : 여러분은 연애를 어떻게 하세요? 서로 남자 친구, 여자 친구를 만나면 뭐하나요?
알렉스 : 영국에서와 크게 다르지 않아요. 만나면 영화 보고, 식당가서 식사하고, 커피숍에서 커피 마시고, 술집에서 한 잔하고, 시간 있으면 같이 여행 가고.
강남 : 저 같은 경우는 학생이고 여자 친구도 학생이라서 주말에 가끔 만나는데요. 극장에 가서 영화를 보든가 아니면 꽃구경도 해요.
예은 : 저도 마찬가지예요. 남자친구도 학생이다 보니까 도서관 가서 같이 공부도 하고, 밥도 같이 먹고 커피숍도 가고, 영화도 보고.
강남 : 그런데 제가 북한에 있을 때는 북한에 커피숍이나 카페는 없었습니다. 그리고 돈을 주고 물을 사먹는다는 건 정말 비합리적인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빵 같은 것을 사서 대동강 주변을 걸으면서 먹고 동물원이나 유희장에 가서 놀이기구를 타는 거죠.
예은 : 궁금한 게 있는데 남한에서는 데이트(연애) 비용을 요즘 젊은 남녀들은 반반, 예를 들어 남자가 영화를 보여주면 여자는 밥을 사고, 남자가 식사를 사면 여자는 커피숍에서 커피를 사고. 이런 식의 인식이 있는데 북한은 어때요?
강남 : 제가 평양에서는 일을 하느라 데이트를 많이 못해봐서 잘 모르겠는데 북한에서 연애를 할 수 있는 곳은 대부분 국정가격이에요. 예를 들어 나한테 천 원이 있다면 그 천 원으로 충분히 데이트를 할 수 있어요. 그래서 내가 돈을 내고, 네가 돈을 내고 이런 게 없어요.
알렉스 : 유희장 같은 데 가게 되면요?
강남 : 가능하면 남자가 거의 다 내죠. 여자한테서 경제적인 지원을 받기를 꺼려하기 때문에.
예은 : 영국 같은 경우는 더치페이라고 하잖아요. 자기가 먹은 값은 자기가 낸다.
알렉스 : 영국에서 여자 친구와 여행할 때 둘 다 학생이라서 그때는 그렇게 했어요. 그런데 일하면 아마 남자가, 제가 내고 싶은 마음은 있고, 실제로 많이 내는데, 그러면 다음에 여자도 내고... 남한이랑 비슷해요.
진행자 : 우리는 외국 사람들은 대부분 반반씩 낸다고 알고 있었는데 그렇지 않네요?
알렉스 : 네.
강남 : 예은 씨, 남한에서는 연애를 시작하면 며칠이나 돼서 남녀가 처음 손을 잡나요?
예은 : 이건 정말 대답하기가 힘든데요. 사람마다 다 달라서. 연애하기 전부터 손을 잡고 시작한 사람도 있고요. 보통 소개로 만난다고 하면 한 달 안에 사귀는 걸로 알고 있어요. 그러면 그때부터 진도가 나가지 않을까요? 공원을 산책하면서 손을 잡거나.
강남 : 저는 북한에서 연애할 때 여자 친구한테 표현할 줄을 몰랐어요. 여기 와서 바꾸느라 정말 애를 쓰는데요. 아무튼 느낌이 있잖아요. 내가 눈치를 주면 그 친구도 나를 계속 보고, 그런 게 있었거든요. 그래서 하루는 콩밭에 가서 '내가 너를 좋아한다.' 말하고 바로 끌어안았어요.
예은 : 고백하면서요?
강남 : 네, 지금 생각해보면 상대가 얼마나 당황했을까 싶어요.
예은 : 그런데 여자 입장에서는 가끔은 박력 있는 남자를 원하기도 해요.
강남 : 저는 그 기준이 애매해요. 정말 모르겠어요.
예은 : 애매하죠. 왜냐면 여자 마음에 들어야 하니까. 여자가 원할 때 눈치를 좀 줘요. 그러면 그걸 받아서. 사실 남한에서는 아무래도 남자가 이끌어주기를 원하기도 해요. 물론 여자도 참지 못하고 먼저 나서는 경우도 있지만요(웃음).
진행자 : 알렉스는 남한 여성들이 표현력이 조금 부족하다, 좀 수동적이라고 생각해본 적 없어요?
알렉스 : 좀 보수적이라고 생각하죠. 영국이나 서양과 비교하면. 지금도 예은 씨, 강남 씨 얘기 들으면서 문화차이는 느껴요. 왜냐면 일단 서양에서 고백하는 게 따로 없어요. 둘이 만나서 상대방도 마음이 있다고 생각하면 고백 없이 그냥 뽀뽀해 보죠.
예은 : 일단 해보는 거군요(웃음).
진행자 : 그럼 혹시 뺨을 맞을 수도 있나요(웃음)?
알렉스 : 그렇죠(웃음). 일단 여자랑 만나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다시 만나자고 했을 때 여자가 좋다고 하면 마음이 있다고 생각해서 그 다음에는 입맞춤해도 괜찮고. 그런데 입을 맞췄다고 사귀는 건 아니에요. 그건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진행자 : 그러니까 입을 맞췄다고 연인은 아니라는 거죠?
강남 : 남한에서 입맞춤은 연인만 하는 걸로 생각하는 편인데.
진행자 : 그런데 요즘 젊은 친구들은 좀 다른 것 같아요.
예은 : 네, 그래도 전 아직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웃음).
진행자 : 애정 표현 방식 좀 얘기해볼까요?
예은 : 남한 여자들은 남자에게 애교를 많이 부리잖아요. 특히 남한 남자들이 오빠라고 불러주는 걸 무척 좋아한대요. 그래서 예전 남자친구들도 오빠라고 불러주면 좋아하고, 그리고 애교를 섞어 말하면 잘 들어주더라고요.
강남 : 북한 사람들은 '사랑해'라는 말을 잘 못해요. 남한에 와서 가장 충격 받았던 건 편의점(상점)에 갔는데 '고객님 사랑합니다!'라고 하는 거예요. 이게 뭐지? 왜 나더러 사랑한다는 거지? 남한에서는 여자 친구한테 '사랑해'라고 자주 하는데 그 말 하는 게 정말 힘들고, 땅 속에 들어가고 싶고.
예은 : 그럼 감정표현은 어떻게 해요? 손을 잡거나 포옹하거나 그런 걸로 알 수 있는 거예요?
강남 : 편지를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예은 : 아, 글로는 쓸 수 있지만 입으로 내뱉은 건 쑥스러운가 보군요.
강남 : 여자들도 '사랑해' 그런 건 거의 없어요.
예은 : 저는 자연스럽게 나오던데(웃음).
진행자 : '사랑'이라는 단어가 있기는 있죠?
강남 : 확실히 있어요. 그런데 사랑이라는 단어를 언제 많이 사용하느냐면 '장군님이 너희들을 사랑한다.' 그래서 그 사랑을 너와 나의 관계에서 사용하면 부적절한 것 같아요.
진행자 : 그러면 뭐라고 해요? 좋아해?
강남 : 네, 오히려 그 말을 많이 써요.
예은 : 저희 생각에는 연애 초기 단계나 아니면 중고등학생이 '사랑해'라는 표현을 쓰기에는 아직 너무 어려서 많이 쓰지 만약 1년 반 정도 만났는데 '너 좋아해' 라고 하면 '나를 깊게 좋아하지 않나?' 이런 마음이 들어요.
진행자 : 그렇죠, 좋아한다는 것의 몇 단계 위가 사랑해죠. 알렉스 여자 친구는 애정표현을 많이 하는 편인가요?
알렉스 : 많이 안 하는 편이에요(웃음). 그런데 아예 안 하는 게 아니고 가끔 하니까, 해줄 때 더 좋더라고요. 그런데 북한과 일본이 좀 비슷한 점이 있는 것 같아요.
예은 : 일본 사람들도 표현을 아껴요?
알렉스 : 안 해요. '사랑해' 라는 말을 일본말로 하는 경우는 없는 것 같아요. 일본에서 몇 년 동안 살았는데, 저도 말하거나 들어본 적이 없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도 연애하면서 사랑한다고 말하는 건 못 들어봤어요.
진행자 : 그러면 지금의 연인들에게 좋아하는 마음을 담아서 짧게 얘기해 볼까요? 그러면 확연히 차이가 보일 것 같아요.
강남 : 오빠가 많이 너를 좋아한다. 부족한 나를 많이 이해해줘서 많이 감사하고, 앞으로 나도 너한테 잘 할게. 정말 많이 좋아해.
알렉스 : 예를 들어 하루 종일 같이 있다 헤어질 때, 오늘 정말 재밌었고, 같이 있어서 행복하고, 많이 좋아해.
예은 : 자기야, 자기를 만나서 정말 많은 추억을 쌓았고, 내가 사랑받을 수 있는 여자라는 걸 느끼게 해줘서 정말 고마워. 우리 앞으로도 오랫동안 이렇게 좋은 사랑 지켜가길 바랄게. 사랑해(웃음).
강남 : 참, 할 말이 아니다(웃음).
내레이션 : 세 사람 모두 애인은 있는데, 연애를 하는 방식이나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은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른 것 같죠? 자, 국적이 다른 연인을 만나는 친구들도 있는데요. 문화적인 차이나 어려움은 없는지, 이 얘기는 다음 시간에 들어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윤하정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