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2) 남북간 통역이 필요하게 되면

0:00 / 0:00

남한에서 생활하는 청년들의 생각을 들어보는 <청춘 만세> 저는 진행자 윤하정입니다.

먼저 이 시간을 함께 꾸며갈 세 청년을 소개할게요.

클레이튼 : 안녕하십니까. 미국에서 온 클레이튼인데 남한에 온 지 6년 됐습니다. 지금 한국 회사 다니고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예은 : 안녕하세요. 저는 스물일곱 살이고, 남한에서 태어나 자란 강예은이라고 합니다. 러시아어를 전공했고, 북한과 통일에 관심이 있어 이렇게 함께 하게 됐습니다.

광성 : 안녕하세요, 정광성입니다. 저는 2006년까지 북한에서 살다 탈북해서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고, 북한전략센터라는 곳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9일 570돌 한글날을 맞아 <청춘 만세> 지난 시간부터 한국어, 한글에 대해 얘기 나누고 있습니다. 북한에서는 조선글이라고 하죠? 조선시대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한민족이 사용하는 고유의 말을 글로 표기하기 위해 만든 훈민정음을 남한에서는 한글이라고 부르는데요.

훈민정음이 반포된 날을 기준으로 남한에서는 해마다 10월 9일을 한글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왕이 백성을 위해 만든 글, 세상에 하나뿐인 글, 쉽고 과학적인 글... 우리 청년들도 이렇게 한글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이 남달랐는데요. 요즘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많아지고, 한글 자체가 예뻐서 한글이 적힌 옷을 입고 다니는 외국인들도 있습니다. 남한 소설이 영어로 번역돼 세계적인 문학상을 받으면서 남한의 글을 지구촌의 더 많은 사람들이 접하게 됐는데요. 정작 남북의 말과 글은 점점 알아듣지 못하게 되는 게 아닌가 걱정입니다. 우리 청년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계속해서 들어보시죠.

진행자 : 한글날이 되면 남한 내는 물론이고 세계에 있는 세종어학당, 그러니까 한국어를 가르치는 곳에서 행사를 많이 해서 한글에 더욱 관심을 갖게 하더라고요. 한글이 예뻐서 배우는 사람들도 있던데요?

예은 : 네, '홋'이라고 쓰면 갓이나 모자를 쓴 사람이 서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한글을 전혀 모르는 외국인들이 신기해해요.

클레이튼 : 제가 한글 처음 배웠을 때 그림 그리는 것 같았어요. 재밌었어요.

예은 : 한글 글씨체가 예쁜 게 많거든요. 한글날 행사 차원에서 인터넷의 한 회사에서는 그걸 무료로 나눠주는 행사를 해요. 여러 사람이 한글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진행자 : 그리고 요즘 보면 캘리그라피라고 해서 한글을 가지고 디자인, 멋진 예술작품으로 표현하기도 하더라고요. 한글 자체가 어떻게 보면 하나의 상품이 되는 거죠.

또 세계에서도 한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는 게 지난 5월 영국의 세계적인 문학상인 맨부커상을 남한의 소설가 한강 씨가 '채식주의자'라는 소설로 수상했잖아요. 사실 해마다 10월이면 노벨 문학상 수상작이 발표되는데 남한의 고은 시인이 항상 후보에는 오르지만 상을 받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번역이 미흡해서라는 지적을 받았죠. 영어로 옮겨야 하는데 본연의 뜻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다고. 이번에 '채식주의자'의 경우 영국인이 번역했는데 한글을 배운 지 6년 만에 번역한 거라고 해요. 대단하죠? 그런데 그 번역가도 한국말은 잘 못한다고 합니다.

광성 : 신기한 게 말이 더 쉽지 않나요?

진행자 : 왜 쓰고 읽는 언어와 말하고 듣는 언어 기능이 다르다고 하잖아요. 남한에서 영어 공부하는 친구들도 글을 읽을 수는 있는데 말을 못하는 경우가 많죠. 클레이튼도 그런가요?

클레이튼 : 네, 읽고 쓰는 게 훨씬 더 쉬워요. 그래서 친구들과 휴대전화 문자로 얘기하면 말하는 것보다 훨씬 쉽고 정확해요. 이 방송 듣는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제 발음 정확하지 않을 때 많잖아요. 그것 때문에 상대가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들을 때 많은데 문자로 얘기하면 확실히 알아들어요.

진행자 : 저도 처음에 클레이튼과 휴대전화 문자로 먼저 연락을 했는데 옆에서 남한 사람이 대신 문자를 보내주는 줄 알았어요. 표현이 아주 정확해서.

클레이튼 : 그런데 실제로 봤을 때는 어떻게 생각하셨어요? '글은 잘 쓰는데 말을 왜 이렇게 못하지?' 라고 생각하셨어요(웃음)?

진행자 : 한국어 배운 지 5년 만에 클레이튼이 방송을 하는 거잖아요. 5년 만에 다른 나라 언어를 배워서 방송을 하는 건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해요. 클레이튼은 말을 빨리 배운 편이고, 그래서 저희 방송에서 계속 함께 하고 있습니다(웃음).

그런가하면 한글을 비롯한 한국어가 한반도에서 가장 중요한 점 중의 하나는 바로 남북한이 함께 사용하고 있다는 거잖아요. 그 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해요?

예은 : 남북한이 한글을 함께 쓰고 있지만 분단된 지 너무 오래돼서 단어 자체가 다른 경우가 많아요.

진행자 : 맞아요, 똑같은 사물이나 상황을 다르게 표현하는 거죠.

클레이튼 : 그리고 쓰는 법도 조금 다르지 않나요? 예를 들면 '이명박' 대통령을 북한에서는 '리명박'이라고 하잖아요.

예은 : 그래서 따로 사전이나 번역기를 찾아봐야 하는 경우가 있어요. 예를 들어 경찰서를 북한에서는 뭐라고 하는지 인터넷에 검색하면 보안서로 나와요.

광성 : 책으로 된 북한말 사전을 민간단체에서 만들기도 하더라고요. 그런데 제 생각에는 말은 어차피 같기 때문에 나중에 통일돼서 '보안서가 경찰서다'라고 인식하면 큰 어려움은 없을 것 같아요. 대신 두음법칙, '임진각을 림진각'이라고 얘기한다거나 그런 부분은 문제가 있겠죠.

진행자 : 그런데 '노동'을 '로동'이라고 얘기하면 무슨 말인지는 다 알아듣잖아요. 하지만 단어가 아예 다르면 무슨 말인지 모르죠.

예은 : 네, 가끔 (탈북자와 얘기할 때) 전반적인 내용은 전체적인 문맥에서 알아들을 수 있는데 사투리에 단어까지 다르니까 알아듣기 힘들 때가 있어요. 두음법칙은 남한에서도 표준어 규칙이 바뀌기 전에는 그렇게 사용했기 때문에 대충 알아들을 수 있지만 단어가 다르면, 그것도 한두 개가 아니니까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나눌 때 부딪히는 경우가 많을 것 같아요.

광성 : 그런데 서울 사람과 대구 사람도 서로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잖아요. 경상도나 전라도도 사투리가 있고. 물론 북한은 좀 다른 상황이긴 하지만 사투리는 큰 문제가 아닐 것 같아요.

클레이튼 : 저도 이건 큰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예를 들면 미국이나 영국, 호주 모두 영어를 사용하는데 조금씩 달라요. '색깔'이라는 단어만 봐도 미국(color)과 영국(colour)의 철자가 조금 다르거든요.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이해할 수 있어서 큰 문제 아니라고 생각해요.

진행자 : 남한에서의 지역별 사투리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많이 다루잖아요. 그래서 대략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요. 그리고 남한에는 인터넷 표준대국어사전에서 '고뿌'를 검색하면 '북한에서 사용하는 컵이라는 단어'라는 식으로 설명이 되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북한 분들은 남한의 말을 거의 모를 수 있다는 거죠.

광성 : 가장 큰 문제는 외래어라고 생각해요. 남한에서는 편하게 외래어를 사용하지만 북한에서 살던 사람이 통일이 돼서 서로 만나면 의사소통이 안 될 거예요. 왜냐면 제가 그랬거든요. 제가 탈북한 뒤 대구에서 고등학교를 다녔는데, 친구들과 대화가 안 되는 거예요. 서로 한국어로 말하고 한글을 쓰는데 의미가 잘 안 통해서 무척 힘들었어요.

진행자 : 예은 씨는 어때요? 처음 북한에서 오신 분들 만났을 때 대화가 원활하게 잘 됐어요?

예은 : 사실 탈북민을 자주 접하지는 못했는데 가끔 대화를 하다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어요. 그런데 저는 그냥 조용히 넘어갔죠(웃음).

진행자 : 저도 이 방송하면서 탈북자들과 미리 만나서 얘기를 할 때가 있잖아요. 광성 씨 같은 경우는 남한에서 10년 정도 살았기 때문에 거의 말하는 방식이 남한화가 됐죠. 그런데 오신 지 1~2년 된 분들과 단독으로 얘기하면 나중에 선배들이 물어봐요. 무슨 말인지 알아듣겠느냐고. 그 정도로 격차가 있다는 거죠. 외래어의 문제도 있지만 남한 사람들도 북한에서 오신 분들의 말을 잘 못 알아듣는 거예요. 어쩌면 광성 씨가 이제 탈북한 친구들의 말은 못 알아들을 수도 있어요(웃음).

클레이튼 : 아, 제가 활동하는 축구팀의 50%가 탈북자들이에요. 대부분 남한에 온 지 5~10년 정도 됐으니까 대화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는데, 한 번 탈북한 지 3개월 된 어떤 형이랑 얘기하는데 이해하기 정말 힘들었어요. 중국인하고 얘기하는 것 같고, 20~30% 밖에는 이해 못했어요.

예은 : 제 남자친구는 러시아인이다 보니 러시아에서 남북한 사람들을 각각 통역할 때가 있어요. 한국어는 남한식으로 배웠는데, 북한 사람을 통역하려면 북한 단어를 다 조사해야 한대요. 실제 통역 때도 70% 정도는 못 알아들었다고 해요(웃음). 그리고 남한 말을 쓰면 북한 사람들이 정말 기분 나빠 한대요.

진행자 : 클레이튼이 '색깔'의 영어 철자가 미국과 영국이 좀 다르다고 했는데 그렇게 맞춤법이 좀 다른 건 뜻은 이해할 수 있겠죠. 그런데 똑같은 지우개를 놓고 미국과 영국에서 말하는 단어 자체가 다르잖아요. 그렇게 점점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로 이해하기 힘들겠죠. 시간이 더 지나면 북한말을 이해하는 데도 통역, 번역가가 필요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광성 : 저는 극복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게 제가 극복을 했으니까요. 대신 북쪽 말도 유산이니까 지방 사투리을 잘 보존하면서 서로 의사소통이 되도록 노력했으면 좋겠어요.

진행자 : 맞아요, 남한식 말을 무조건 우선시 하는 게 아니라 남북한의 말을 통합하고 새롭게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겠죠.

예은 : 새로운 단어를 많이 배워야겠네요(웃음). 진행자 : 네, 한글날을 맞아서 한반도, 한민족의 자랑이라고 할 수 있는 한글에 대해서 다 함께 얘기해봤습니다. 북한에 계신 청취자 여러분도 이 시간을 통해서 한글, 조선어의 우수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네요.

다 함께 인사드리면서 이 시간 마무리하겠습니다.

다 함께 : 청취자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진행자 : <청춘만세> 지금까지 진행에 윤하정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