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스타일(2) 요즘 남한에서 유행인 머리 모양

0:00 / 0:00

남한에서 생활하는 청년들의 생각을 들어보는 <청춘만세> 저는 진행자 윤하정입니다. 먼저 이 시간을 함께 꾸며갈 세 청년을 소개할게요.

클레이튼 : 안녕하세요, 미국 켄터키 주에서 온 클레이튼입니다. 한국에 거주한 지 7년 됐고, 한국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강예은 : 안녕하세요, 강예은이라고 합니다. 러시아어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제가 살아갈 세상과 통일 한반도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 많은 이야기를 통해 서로 이해를 넓혀갔으면 좋겠습니다.

광성 : 안녕하세요, 서울에서 회사 다니고 있는 정광성입니다. 고향은 함경북도 회령시고, 남한에 온 지 11년 됐습니다. 북한 청취자 여러분을 위해 좋은 소식 전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헤어스타일, 머리 모양에 대해 지난 시간부터 얘기 나누고 있습니다. 남한에는 미용실이 참 많은데요. 과거 남자들이 머리를 자르던 이발소가 많이 사라진 대신 남자들도 대부분 미용실에서 머리를 자르고요. 남녀 모두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은 물론이고, 파마, 염색 등 유행에 맞는 머리 모양을 하느라 미용실에서 자주, 꽤 많은 돈을 사용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요즘 남한에서 인기가 많은 머리 모양은 어떤 걸까요? <청춘 만세> 지금부터 함께 들어보시죠.

-------------------------------------

진행자 : 요즘 유행인 머리는 어떤 건가요?

예은 : 여자 같은 경우는 긴 머리, 짧은 머리 다양한데요. '레이어드컷'이라고 해서, 컷이 머리를 어떻게 잘랐는지 모양새를 말하는 거거든요. '레이어드컷'은 층을 내서 조금 가볍게 보이게 하는데, 요즘 유행이에요.

광성 : 북한에서도 한때 유행이었어요.

진행자, 예은 : 그래요?

광성 : 저는 들으면서도 깜짝 놀랐는데, 북한에서는 여자들이 면도할 때 쓰는 칼로... 단발머리긴 한데 길이가 들쭉날쭉하더라고요.

예은 : 유행이 돌고 도는데 이 '레이어트컷'의 원조가 일본의 '샤기컷'이라고 할 수 있어요. 예전에는 남한에서 일본의 유행을 많이 따라했거든요. 그래서 예전에 한창 '샤기컷'이 유행이었는데, 지금은 층을 덜 내지만 어쨌든 유행이 다시 돌아온 거예요.

진행자 : 일본 만화나 영화에 많이 나오는 층이 많이 난 머리, 좀 날카로운 게 '샤기컷', 좀 더 부드럽게 안으로 말리는 머리가 '레이어드컷'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예은 : 앞머리는 있는 듯 없는 듯 자르는 걸 '시스루뱅'이라고 해요.

진행자 : '시스루'가 패션 용어죠, 약간 비치는. 그러니까 이마가 보일 듯 안 보일 듯 앞머리를 내는 거예요.

예은 : 오늘은 기분에 앞머리가 있으면 좋겠다 싶으면 앞머리를 내리고, 없으면 좋겠다 싶으면 그냥 옆으로 넘기면 돼요. 단발은 파마를 많이 해요. 아래만 살짝 웨이브를 넣어요.

진행자 : 그걸 'C컬'이라고 하잖아요? 알파벳 C 모양대로 아래만 굴곡이 가도록.

예은 : 2017년도 유행을 찾아봤더니 '히피펌'이라고 머리가 완전히 꼬불꼬불한 파마가 유행할 거라는데 그건 웬만해서는 잘 안 어울릴 것 같아요(웃음).

광성 : 아무리 유행인 머리 모양이 있어도 당사자에게 어울리는 건 따로 있는 것 같아요. 안 어울리고 어색한 머리 하고 다니는 분들도 많아요.

진행자 : 남한에서 여성들 미용실에 갈 때는 인터넷을 이용해서 검색을 합니다. 그리고 '이 연예인 머리를 해달라'고 사진을 보여주죠. 송혜교 머리 해주세요! 그럼 송혜교처럼 될 거라고 생각하거든요(웃음).

광성 : 저도 경험이 있어요. '투블록'이라고 지금도 남자들 사이에서는 유행인데 김정은처럼 옆을 다 밀고.

클레이튼, 예은 : 그건 너무 민 거예요(웃음)!

광성 : 옆을 살짝만 밀고(웃음) 위쪽은 좀 더 길게 남겨두는 건데, 미용실에 가서 '투블록'을 해달라고 했어요. 그런데 미용사가 '머리모양이 잘 안 어울릴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웃음). 저 같은 두상은 '투블록'이 잘 안 어울릴 거라고 경고를 했는데 괜찮다고, 한 번 바꿔보겠다고 변화를 시도했어요. 내내 후회했죠, 너무 안 어울리는 거예요. '머리 모양은 각자에게 맞는 게 따로 있구나' 알게 됐죠.

진행자 : 그럼 지금 광성 군 머리는 어떤 스타일(모양)이에요?

광성 : 저는 특별한 스타일은 아니에요.

예은 : 염색은 해봤어요?

광성 : 아니오. 한번은 시도해볼까 해요. 지금 나이가 서른 살에 가까워지고 있으니까 서른 전에 해볼까 생각 중이에요.

진행자 : 남자들 중에 특별히 유행에 관심 없는 사람들은 파마나 염색을 전혀 안 하는데 서른 살 즈음에 '내가 더 늙기 전에 해본다'면서 변화를 주는 사람들 많아요.

광성 : 저도 그래요.

진행자 : 클레이튼은 미용실 가서 어떤 머리 모양 해달라고 해요?

클레이튼 : 어렸을 때는 20년 동안 똑같은 컷이었는데, 옆은 약간 짧고, 위는 좀 길게.

예은 : '투블록' 아니에요?

클레이튼 : '투블록'은 아니었어요. 그리고 사관학교 들어가서 첫 학기에는 완전히 밀어야 해요. 그 다음에는 '페이드', 옆은 짧게 시작해서 위로 올라갈수록 조금씩 길어지는 거예요. 그리고 작년 10월부터 '투블록'으로 바꿨어요. 그때 미용실에서 기다리고 있는데, 먼저 했던 남자 머리 모양이 괜찮은 거예요. 왠지 나도 바꿔보고 싶어서 '저 남자는 무슨 머리냐'고 물었더니 '투블록'이라고 해줬어요. 마음에 들었어요(웃음).

진행자 : 그러니까 남자들 사이에서도 유행하는 헤어스타일이 있는 거예요.

예은 : 그리고 여기 있는 오빠들은 잘 모르는데 요즘 남자들이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 데 관심이 정말 많아요. 제 남동생만 해도 옷도 많이 사고 머리 모양도 자주 바꾸고. 요즘 남자들이 자주 하는 머리가 5대 5 가르마를 해서 위쪽에 파마를 넣은 거예요. 그리고 작년, 재작년에는 '포머드머리'라고 해서 2대 8 가르마에 제품을 사용해서 머리카락이 딱 달라붙게 넘기는 거예요. 이건 아무나 어울리는 건 아닌데 저는 그게 왜 그렇게 멋있어 보이는지 모르겠어요.

진행자 : 저도 좋아해요, 정장에 어울리는 머리모양이죠.

광성 : 요즘 남자들이 외모에 관심이 많은 게 염색도 많이 하지만, 제일 특이한 건 화장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는 거예요. 저는 이상하다고 생각하지만.

진행자 : 남자들만 보는 잡지도 따로 있잖아요. 옷차림이나 머리 모양 등을 언급한 패션잡지.

클레이튼 : 미국에서 제일 유명한 건 라는 건데, 남자들을 위한 잡지예요. 저는 본 적이 없죠(웃음).

진행자 : 여기 있는 두 청년이 별로 관심이 없는 것이지 남자들 중에도 패션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꽤 많아요.

예은 : 그런데 외국인들이 한국인을 볼 때 특히 남자들이 외모에 관심이 많으면 좀 이상하게 생각하더라고요. 왜냐면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남자들이 남성다움을 더 추구하는데 남한에서는 여성의 전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에 관심을 보이니까.

진행자 : 예전에 영국의 어떤 기사에 남한 남자들 '플라워 보이'라고. 꽃미남? 남자들이 머리 모양에도 많이 신경 쓰고, 화장도 한다고 적혀 있더라고요. 여기서 화장이라는 건 얼굴을 뽀얗게 해주는 비비크림 정도를 바르는 거죠.

클레이튼 : 미국도 약간 여성화 되어가는 것 같아요. 1990년대인가 'metro sexual'이라는 말이 나왔어요. 남자도 외모에 관심이 많아서 여자처럼 머리 길게 하고, 묶기도 하고. 남한이 훨씬 많은 것 같지만 미국도 점점 많아지고 있어요.

진행자 : 머리를 기르는 남자는 외국이 더 많지 않아요?

예은 : 록 하는 사람들(웃음).

클레이튼 : 특히 80년대에 무척 많았어요.

진행자 : 그럼 미국에서는 남자들이 외모에 신경 쓰는 걸 좀 안 좋게 봐요? 유럽에서는 예은 씨가 말한 것처럼 성적 정체성이 남다른가 생각하기도 하더라고요.

클레이튼 : 예전에는 그랬는데, 90년대부터 바뀌기 시작했어요. 이제는 좀 이해할 수 있고 적응된 것 같아요. 그런데 우리 식구들은 보수적이라서 제가 그러면 '집에서 나가'라고 할 거예요(웃음).

진행자 : 머리 모양, 헤어스타일로도 화제가 되는 사람이 김정은 위원장이잖아요.

광성 : 그 머리 모양이 김일성이 젊었을 때 했던 거예요. 김일성의 향수를 자극하기 위해 그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는 얘기도 있어요. 맞지 않나. 젊은 사람이 설마 자기 의지로 그 머리 모양을 할까. 누가 봐도 그 머리 모양은 아닌 것 같아요.

클레이튼 : 너무 웃겨요.

예은 : 그걸 '패기머리'라고 하더라고요. 해외 언론에서도 김정은 위원장 머리가 화제가 됐었는데, 런던의 어떤 미용실에서 김정은 사진을 광고로 붙인 거예요. 이 머리스타일이 별로라면서 혹시 지금 머리 모양이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은 싸게 해주겠다고 광고를 했어요. 그걸 본 북한대사관 측에서 항의해서 광고를 내렸는데, 그게 기사화되면서 이 미용실에 더 많은 손님들이 오고 있다고 해요.

진행자 : 머리 모양 화제인 걸로는 트럼프 대통령도 빼놓을 수 없잖아요.

클레이튼 : 미국에서 많이 화제가 돼요. 가발 쓴 것 같아요.

진행자 : 영화배우 알렉 볼드윈이 많이 따라하던데요.

클레이튼 : 네, 오락 방송에서 머리 모양도 그렇고 똑같이 따라 해요.

진행자 : 트럼프도 당선되기 전에는 더 특이한 머리 모양으로 화제가 됐는데, 머리 모양으로 화제가 되는 정치인들도 있네요.

김정은 위원장도 전문 미용사가 있겠죠?

광성 : 있겠죠, 그런 얘기가 있어요. 옛날부터 독재자들은 미용사를 가장 무서워한다고. 가위도 있고 면도칼도 있으니까.

진행자 : 아, 순식간이니까. 그런 생각은 한 번도 못해봤는데(웃음).

북한에서 김정은이라는 이름은 사용할 수 없다고 했잖아요.

머리 모양은 해도 돼요?

광성 : 제가 알기로는 안 돼요. 김정일 때도 안 됐어요.

예은 : 저는 기사를 봤는데, 김정은의 머리 모양이 사회주의 표본이라고 젊은 사람들, 특히 교사들에게 권장한다고 들었어요.

진행자 : 미용실이나 이발소에 가면 1번, 2번 등 사진이 붙어 있어서 '3번 머리 해달라'는 식으로 말한다고는 들었어요.

광성 : 평양에는 있어요. 지방에도 예전에는 있었는데 90년 후반에 모든 게 무너지면서 미용실도 많이 없어지고 그런 것도 사라졌어요.

예은 : 북한에서는 염색해요?

광성 : 안 해요. 흰머리 염색은 하죠.

예은 : 염색약이 있어요?

광성 : 있어요.

진행자 : 그럼 검은색만 있고 다른 색은 없는 거예요?

광성 : 다른 색은 없어요. 새치염색 외에 염색 자체를 못해요.

예은 : 그런 자유가 없으면 사람들이 다 똑같을 거 아녜요!

----------------------------------

그런 자유, 그러니까 머리 모양을 마음대로 바꾸고 머리 색깔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자유. 청취자 여러분은 누리고 계신가요? 남한에도 과거에는 머리 모양에 대한 규제가 있었습니다. 특히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엄격한 편이었는데요. 요즘은 어떻게 달라졌는지 다음 시간에 계속 얘기 나눠보죠. <청춘 만세> 오늘은 여기서 인사드립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윤하정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