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에서 생활하는 청년들의 생각을 들어보는 <청춘만세> 저는 진행자 윤하정입니다. 먼저 이 시간을 함께 꾸며갈 세 청년을 소개할게요.
클레이튼 : 안녕하십니까. 미국에서 온 클레이튼인데 남한에 온 지 6년 됐습니다. 지금 한국 회사 다니고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예은 : 안녕하세요. 저는 스물일곱 살이고, 남한에서 태어나 자란 강예은이라고 합니다. 러시아어를 전공했고, 북한과 통일에 관심이 있어 이렇게 함께 하게 됐습니다.
광성 : 안녕하세요, 정광성입니다. 저는 2006년까지 북한에서 살다 탈북해서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고, 북한전략센터라는 곳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청춘만세> 지난 시간부터 사투리에 대해 얘기 나누고 있는데요. 남한에서는 드라마나 영화, 또 코미디 방송에서 북한 사투리가 종종 나옵니다. 북한은 어떤가요? 사투리가 있다는 건 표준어도 있다는 거겠죠? 또 방송이나 신문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규정도 있을 텐데요. 남북이 어떻게 다른지 청춘들의 얘기, 계속해서 들어보시죠.
진행자 : 어쨌든 남한에는 표준어라는 게 있거든요. 북한에도 표준어가 있나요?
광성 : 있죠, 남한에서 서울말이 표준어인 것처럼.
진행자 : 서울말이라기보다는 표준어는 언어의 장벽을 없애기 위해서 공용으로 쓰는 말이잖아요. 남한에서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현대 서울말'로 풀이해요. 거기에 서울말이라는 표현이 있지만 서울 토박이들에게도 서울 사투리가 있긴 해요. 북한에서는 표준어의 정의가 뭔가요?
광성 : 글쎄요, 표준어가 평양말도 아닌 것 같아요. 일단 텔레비전에 나오는 말이 표준어가 아닐까.
진행자 : 그렇겠죠, 남한에서도 뉴스에 나오는 말이 표준어니까.
광성 : 북한에서 보도를 하는 이춘희 아나운서가 유명하잖아요. 어떻게 보면 그게 표준어가 될 수도 있는 거죠. 표준어를 쓰라고 강요를 많이 했어요. 그런데 그게 돼요? 내가 자란 지방의 말이 있고, 계속 듣고 자라오는데.
진행자 : 지난 당 대회 때 남한 뉴스에서 짤막짤막하게 보여주는 북한 뉴스 말고 북한 뉴스를 20분 정도 통으로 봤는데요. 남자 앵커더라고요. 앵커를 북한에서는 뭐라고 하죠?
광성 : 보도원.
진행자: 네, 북한 특유의 억양은 있지만 발음은 굉장히 정확하더라고요. 흔히 북한말이라고 생각하는 사투리는 거의 없고, 가장 신기했던 건 20분 동안 계속 말을 하는데 한 글자도 안 틀리더라고요. 사실 남한에서 뉴스는 생방송이기도 하고 중간에 '누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하면서 넘기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두 글자 틀릴 수 있는데, 그 앵커는 20분 동안 혼자 진행하는데 한 글자도 안 틀리더라고요. 로봇인가(웃음)?
광성 : 그래서 북한에서는 생방송을 안 하고 다 녹화예요.
진행자 : 혹시 틀리면...?
광성 : 자리에서 밀려나겠죠. 한 글자 틀린다고 잘리지는 않겠지만 대신 '위대한 영도자' 이런 부분에서 틀리면 끝나는 거죠(웃음). 친구가 그쪽을 잘 안다고 해서 들어봤는데, 훈련을 엄청나게 한대요. 뉴스 없을 때는 계속 그 연습만 하니까 틀릴 수가 없대요. 그리고 북한 사람들은 암기를 잘 해요. 왜냐면 태어나서부터 김일성 생일, 김정일 생일, 김 씨 일가에 대해 다 외워야 하니까 암기력은 뛰어나요.
진행자 : 북한 분들이 가장 못하는 발음이 '오'와 '어'의 구분이 아닐까 싶은데 그래서 '오마니, 오데로' 이렇게 되잖아요. 그런데 그 발음도 명확해서 저게 북한 표준어인가 생각했어요.
광성 : 그게 표준어일 것 같아요.
진행자 : 그런데 욕도 하더라고요(웃음).
예은 : 아, 북한 뉴스 보면 과격한 표현이 나오더라고요. 그런데 공영 방송에서 어떻게 그런 말을 쓸 수 있나요? 신기했어요.
광성 : 그건 약한 것이고, 노동신문을 보면 정말 심해요. 제가 일 하는 것과 관련이 있어서 찾아보는데 사람으로서 이렇게 욕을 할 수 있나 정도로 심해요. 남한을 욕할 때만 그런 심한 말을 많이 써요.
진행자 : 언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의 기준은 남한과 많이 다르군요. 남한에서는 욕이나 비속어 등은 사용하면 안 되는데.
광성 : 그렇죠. 남한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있어서 그런 걸 규정하는데 북한은 어차피 원고를 써서 중앙당 검열을 받고, 아예 중앙당에서 고쳐줘요. 그러면 그걸 그대로 읽으면 되니까.
진행자 : (남한에서는)최근에 '응답하라' 이런 남한 드라마에서는 인물들이 경상도나 전라도 사람들이어서 그 지역 출신 배우들이 연기를 했잖아요. 사투리를 정말 맛깔나게 쓰니까 화제가 됐잖아요. 사람들이 따라 하기도 하고.
예은 : 진짜 자연스러웠어요. 일반 사람들이 사투리를 흉내 내는 게 아니라 정말 사투리를 쓰던 사람들이 해서 정감 있게 들었어요.
진행자 : 그래서 무시한다는 것보다는 오히려 재미있게, 같은 직장에 그 지역 출신 사람이 있으면 '너도 사투리 한 번 해봐' 하면서. 또 북한 사투리는 개그맨, 희극인들이 많이 다뤄서 그래도 대략은 듣고 있거든요. 광성 씨가 들었을 때는 아니에요?
광성 : 제가 생각했을 때는 저렇게 안 하는데... 희극인들이 할 때는 부풀려서 하잖아요.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어요. 이제는 저 사람들이 웃기려고 그런다는 걸 알게 됐죠. 그런데 영화는 좀 다르더라고요. 예전영화는 평양 사투리 위주였는데, 지금 드라마나 영화 보면 함경도 사투리를 쓰기도 하고. 예를 들어 <카인과 아벨>이라는 드라마가 있었는데 탈북하는 과정이나 남한에서 살아가는 이야기인데 들어봤던 사투리더라고요. 요즘은 많이 바뀌고 있어요.
진행자 : 남한에 탈북자가 2만 8천 명 정도니까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들어오기도 하고, 또 드라마나 영화에서 인물이 북한 사람이라면 탈북자에게 사투리를 직접 배웁니다. 그러니까 조금 더 현실감이 있겠죠.
광성 : 북한에서도 드라마 <태양의 후예>를 많이 몰래 몰래 보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거기에는 진짜 탈북자가 나왔어요. 유시진 대위가 북한 평양 옥류관 가서 냉면을 먹는 장면이 있어요. 거기 접대원이 실제로 북한에서 온 친구라서 사투리도 맛깔나게 쓰더라고요. 그렇게 한 번씩 텔레비전에 나오면 남한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북한 사투리에 대한 이질감을 덜 느끼지 않을까 생각해요.
예은:남한 사람이 특이한 사투리를 들었을 때 '신기하다'는 반응이 먼저 나오니까 처음에는 부담스러운 게 아닐까.
광성 : 저는 남한에서 10년 살다보니까 솔직히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왜냐면 내가 몰랐던 지역 사람들, 또 다른 나라 사람들을 만나면 신기하거든요. 제가 평소에 들었던 그쪽에 대한 정보도 물어보고 싶고. 언론 등에서 북한을 심각하게 접하게 되는데 북한이 실제로 그런지 물어보려고 하면 북한에서 오신 분들은 저를 포함해서, 저도 그랬으니까 거부감, 자격지심이 있어서 피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해요.
예은 : 같은 남한 사람으로 대해주길 바라는데, 그건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요.
광성 : 시간이 필요한 일이고, 남북이 하나가 돼 가는 과정이라고 희망적으로 생각해요.
진행자 : 클레이튼은 이제 경상도와 전라도 사투리는 구분할 수 있을 테고, 북한 사투리도 알겠어요? <청춘 만세>에서 여러 명의 탈북 친구들을 만났잖아요.
클레이튼 : 잘 모르겠어요. 경상도 아니고, 전라도 아니고, 남한에서 들었던 사투리와 다르니까 북한 사투리인가... 생각해요.
진행자 : 딱 북한말이라고는 모르겠어요?
클레이튼 : 네, 가끔 영화 보면 '~가라우 ~오라우' 하는 정도만(웃음).
진행자 : 개그맨, 희극인들은 북한 사투리뿐만 아니라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사투리도 재밌게 표현하느라고 더 강조를 하는데 혹시 북한에서도 남한 말로 뭔가 하는 게 있나요?
광성 : 없어요. 한국이라는 자체를 언급도 하지 않고 꺼려해요. 보통 뉴스에는 잘 안 나오는데 시사 프로그램에서는 남한의 시위하는 장면을 가끔 보여줘요. 그런데 태극기나 한국이라는 문구가 나오는 장면은 지우거나 모자이크 처리해요. 북한 보도에는 한국이라는 단어가 안 나오고 남쪽, 남한이라고 말해요.
예은 : 그건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고 최근에는 남한 드라마나 영화를 많이 본다고 했잖아요. 그러면 말투를 따라 하고 싶어 하지 않을까요?
광성 : 따라 해요. 저도 따라 했어요. 제가 북한에서 가장 재밌게 본 남한 드라마가 <올인>인데.
클레이튼 : 저도 봤어요. 남한 처음 왔을 때 <올인> 봤어요.
진행자 : 클레이튼이 봤을 정도면... 이병헌 멋있죠(웃음).
광성 : 저는 송혜교 씨가 예쁘더라고요. 특히 살살 녹는 서울말이 너무 간드러지는 거예요. 게다가 피부가 하얗고 예쁜 송혜교 씨가 나와서 하니까 얼마나 더 하겠어요. 조폭 영화도 많이 오는데 그런 데서 욕도, 가장 빨리 배우는 게 욕이죠(웃음).
진행자 : 욕도 달라요? 들어보고 싶다(웃음).
광성 : 다르죠. 남한에서 보편적으로 쓰는 'ㅅ' 'ㅂ'은...
클레이튼 : 무슨 말이에요(웃음)?
예은 : 신발이요(웃음).
클레이튼 : 아, 신발이 욕이에요? 몰랐어요(웃음).
진행자 : 그 욕이 북한에는 없어요?
광성 : 없죠. 그런데 지금은 친구들끼리 몰래 써요.
진행자 : 북한 분들이 남한 드라마나 영화 보면서 남한 말투 어떻게 흉내 낼지 참 궁금하네요. 자, 사투리는 원인이야 어찌됐든 특히 서울에 오면 사람들이 쓰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말이죠. 그런데 왜 이렇게 외래어는 많이 쓰는 걸까요?
예은 : 요즘에는 외래어 없이는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고, 저희도 이렇게 방송 녹음할 때 외래어를 많이 쓰다 보니까 그걸 설명하는 게 힘들어요.
진행자 : 심지어 탈북자 분들이 외래어를 더 많이 쓰세요(웃음).
광성 : 그것 때문에 스트레스를 너무 받다 보니까.
진행자 : 스트레스, 외래어 또 나왔죠.
광성 : 아, 부담감(웃음).
진행자 : 우리 방송에서 하는 말도 남한에서 쓰지 않는 말을 북한 청취자를 위해서 바꿔서 하는 말이 굉장히 많잖아요. 누가 남한이라고 해요. 다 한국이라고 하죠. 가끔 저희 아빠가 이 방송을 들으시는데 이상한 단어를 쓰니까 정말 북한 사람 같다고(웃음). 남한부터 시작해서 말을 풀어 쓰고 바꿔 쓰다 보니까 이 방송을 남한 사람들이 들으면 무척 이상하다고 생각할 거예요. 청취자 분들은 모르시겠지만 저희가 말을 했다 이 표현은 모르시겠다 싶어서 다시 말하고 편집하는 과정이 굉장히 많거든요.
광성 : 저도 마찬가지고 탈북자들이 남한에서 가장 힘들었던 점이 뭐냐고 물으면 외래어일 거예요.
진행자 : 사투리보다 더?
광성 : 그렇죠. 왜냐면 외래어는 아예 다른 말이고 그 뜻을 모르니까 의사소통이 안 되는 거죠.
예은 : 새로 배워야 할 것 같아요. 이 단어는 이 뜻이다.
광성 : 그래서 하나원이라고 탈북자들의 남한 정착을 돕는 기관이 있는데 그 교육과정에 외래어 강좌가 따로 있어요. 제 기억에 수첩 같은 것에 적혀 있었어요.
예은 : 제가 흥미로운 글을 봤는데 얼마 전에 선거가 있었잖아요. 선거 공약에서는 되도록 한글을 쓰라고 한대요. 그런데 외래어를 안 쓸 수가 없는 게 예를 들어 학교에 무슨 네트워크 구축, 인프라 구축, 센터 건립 등 그래서 우리 삶 속에 외래어가 너무 많이 쓰이고 있구나...
진행자 : 그럼 클레이튼은 반대로 남한에 외래어가 많아서 생활하기 편한가요?
클레이튼 : 네, 그래서 생활하기 좀 편하지만 다른 생각도 들어요. 미국에 있을 때는 외래어 간판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한인 타운에는 한국어 있고, 중국인 타운에는 중국어 있는데 켄터키 같은 경우는 영어 외의 간판은 하나도 없어요. 남한 사람들이 왜 이렇게 영어를 많이 쓰는지.
진행자 : 왜 많이 쓰나요(웃음)?
청취자 여러분도 남한의 드라마나 영화를 볼 때 외래어 때문에 많이 힘드신가요? 남한에서는 외래어를 왜 이렇게 많이 사용하는 걸까요? 이 얘기는 다음 시간에 계속 나눠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윤하정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