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 출신 박소연 씨는 2011년 11월, 남한에 도착해 올해 남한 생활 5년 차를 맞고 있습니다. 2012년 아들을 데려와 혼자서 키우는 열혈 '워킹맘' 그러니까 일하는 엄마입니다.
<세상 밖으로> 이 시간엔 남한 정착 10년차, 자강도 출신 탈북 기자 문성휘 씨와 함께 박소연 씨의 남한 적응기를 하나하나 따라 가봅니다.
INS - 17평보다 더 큰, 그것도 2012년도에 지은 아파트여서... 산이 마주 있어서 공기가 너무 좋고. 아파트 14층인데요...
소연 씨가 지난주 이사를 했습니다. 남한에 와서 처음 받았던 방 하나짜리 작은 아파트를 반납하고 크기가 2배나 되는 새 아파트로 이사했습니다. 목소리 톤이 두 배는 높아졌고 자다가도 웃을 것 같이 좋아하네요. 슬픔은 나누면 절반이 되고 기쁨은 나누면 두 배가 된답니다. 청취자 여러분도 소연 씨의 기쁨, 함께 들어주시죠. 두 배가 돼서 청취자 여러분께 돌려드리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세상 밖으로> 소연 씨의 이사 얘깁니다.
진행자 : 이사하면 분명 배우는 것들이 있어요. 일단 돈 관계, 계약 같은 것들을 처리해야하니까요. 소연 씨는 이번에 어떤 것을 배우셨어요?
박소연 : 나라에서 돈을 꾸는 법을 배웠습니다. 북한식으로 하면 '리자돈'이죠.
진행자 : 남한에서는 대출이라고 합니다.
박소연 : 제가 그 돈 갖고 뛰면 어떻게 하려고 돈을 꿔주더라고요. (웃음) 들어가는 집이 지금 살던 집보다는 좋은 집이라서 바치는 돈이 있습니다. 보증금...
진행자 : 임대 아파트의 경우에는 보증금이라는 명목으로 일정 정도의 목돈을 넣어놓고 다달이 내는 돈이 조금 있습니다.
박소연 : 솔직히... 6천 만 원, 6만 달러. 북한 돈으로 계산하면...
문성휘 : 어... 상상 안 돼요.
박소연 : 북한 돈으로 5억 정도가 되요. 그런데 한국에서도 작은 돈이 아니죠... 집은 받았는데 돈은 없고 고민했는데 사람들이 은행에서 대출이 가능하다고 알아보라고 얘기해줬습니다. 정말 이자가 쌉니다. 2.74 퍼센트라고...
진행자 : 1년엔 2.74 퍼센트인 것이죠?
박소연 : 그렇죠. 북한 같은 경우에는 제일 싼 이자가 10퍼센트입니다.
진행자 : 비싼데요...
박소연 : 그렇게 싼 돈 없어요. (웃음) 이런 돈을 주는 사람은 사실 바보죠. 이런 돈은 없습니다.
문성휘 : 그래서 북한에는 돈을 꾸는 사람은 노력 영웅이고 꾸어준 돈을 받아오는 사람은 공화국 영웅이다... (웃음)
박소연 : 내가 이 기자에게 장사하는데 내가 10%에 돈을 꾸어줄게, 써! 이러면 이 기자를 정말 크게 생각해주는 겁니다. 지금 30-40 퍼센트입니다. 이 정도면 여기서 말하면 사채죠. 거기는 강도 이자, 번개 이자라고 하는데요. 10퍼센트는 정말 땅이 하늘이 되게 절하고 빌려가야 할 돈인데 세상에 2.74라니... 그러나 규정은 있었습니다. 내가 집에 들어가야 할 돈이 6천만 원이라면 80%만 대출이 가능하더라고요. 그리고 문서를 여러 가지 요구합니다. 내가 그걸 쥐고 뛸 수 있잖아요. 내가 그 집의 임자라는 것을 증명한 그 집의 입사증을 갖고 와야 하고요. 그걸 확인하고 돈을 빌려줍니다. 저는 4천만 원 정도 빌렸는데 한 달에 9만 원 정도 돈을 냅니다.
문성휘 : 사실 그게 남한 시중 은행에서 꾸어주는 돈 중에서도 가장 이자가 낮은 돈입니다. 임대 아파트에 들어가는 사람들은 북한으로 말하면 생활이 좀 힘든 사람, 배려를 받아야할 계층으로 보기 때문에 혜택을 많이 주고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겁니다. 그리고 상환 기간... 돈을 갚아야할 기간, 돈을 물어줘야 하는 기간이 10년 - 20년 씩 시간이 깁니다. 그런데 북한은 10 퍼센트에서 30,40 퍼센트까지 그 돈을 꾸는 기간이 아주 짧습니다.
박소연 : 맞아요. 길어야 한 달입니다.
문성휘 : 한 달 지나면 이자의 이자가 붙어요. 그런데 한국은 그런 게 없고...
진행자 : 배려를 받아야하는 취약 계층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남한 국민 대부분의 가장 큰 재산은 부동산, 집이거든요. 집값을 지탱해주기 위해 국가에서 싸게 돈을 빌려 주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는 거죠.
박소연 : 그래요. 그래서 제가 처음 남한에 와서 큰 집에 사는 사람들에게 '돈이 많나봐요...' 이렇게 말하면 '이 집 주인은 은행인데요' 이런 얘길 하기에 저는 농담인 줄 알았습니다. (웃음) 나중에 보니 농담이 아니었네요. 은행 이자가 이렇게 싸니까 그냥 대출 받아서 아무 부담 없이 집을 사는 것 같습니다.
진행자 : 아무 부담이 없진 않습니다. (웃음) 어쨌든 갚아야 하잖아요.
박소연 : 그래도 북한에서 살던 우리 입장에서 보면 2 퍼센트면 거저입니다.
문성휘 : 맞아요. 돈을 갚는 기간이 오래니까 충분한 여유가 있고 북한처럼 막 가슴을 졸이지 않습니다. 왜냐면 내 집이 있고 그걸 담보로 돈을 꾸었으니까 나중에 그 돈을 못 물면 집을 빼앗기면 끝인데요. 북한은 단순히 집만 빼앗기는 것이 아니라 쫓아다니면서 돈을 내놓으라고 하면 정말 갑갑한 것이죠. 그리고 또 여기는 최하층 계급을 위한 임대 아파트라든가... 이런 것이 있는데 북한은 그런 시설이 없으니까 비교가 많이 되죠.
진행자 : 사실 집값이 비싸니까 이런 임대 아파트 같은 것이 있는 거죠. 그런데 2.74 퍼센트면 부럽습니다. (웃음) 굉장히 낮은 금리에요...
문성휘 : 저도 그렇습니다. 저는 이제 그런 혜택들은 다 끝났고 저도 은행 집에서 삽니다. (웃음) 돈을 빌려서 산 집이죠. 그런데도 조급하거나 다급한 느낌은 없어요. 저도 벌고 집 사람도 버니까... 그 기한이면 갚을 수 있겠다.
진행자 : 네, 이렇게 '갚을 수 있겠다'라는 계획이 세워질 때 대출을 받아야 하는 것이죠.
문성휘 : 은행도 같습니다. (웃음) '받을 수 있겠다'는 이런 전제 조건 아래서 돈을 꾸어주는 것이죠.
박소연 : 맞아요. 은행은 남한하고 북한이 다른 것이 우리는 몸에 돈을 얼마나 차고 있는지 서로 말을 안 하지 않습니까? 물어보는 사람도 없지만... 근데 남한은 인터넷으로 치면 그 집 재산이 다 나온답니다. 그러니까 빌려주는 사람도 그런 걸 확인해보고 빌려주는 것 같습니다. 비밀이 없다니까요!
진행자 : 아무나 볼 수 있는 것은 아니고요. 은행 같은 금융 기관에서 개인들의 재산 정보가 필요하면 개인들에게 볼 수 있는 권한을 달라고 허가 요청을 하고, 개인들이 허가를 해줘야 관계 기관을 통해 알아 볼 수 있는 겁니다.
박소연 : 나는... 남한에 와서 정말 나쁜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데요. 텔레비전을 자꾸 보니까 어떤 사람들은 불법적으로 모은 돈, 비자금이라고 하더라고요. 비자금이 적발돼서 검찰에 불려다니는 게 텔레비전으로 나오는 데 그래... 내가 만약에 큰돈이 생기면 은행에 가져가지 말고 오 만 원짜리 지폐로 바꿔서 뒷산에 묻어야지. 그럼 나라에서 내가 돈이 얼마나 있는지 모르지 않을까? (웃음) 돈을 많이 갖고 있으면 돈을 나라에 내야한데요. 그런데 땅에 묻어 놓으면 안 내도 되지 않습니까?
문성휘 : 네, 세금을 내야죠.
박소연 : 아니, 내가 힘들 게 번 돈인데 나라에 세금을 왜 내야합니까? 지금도 이해를 못해요. 몇 년 살면서 조금은 알게 됐지만 여전히 이해가 잘 안 됩니다.
문성휘 : 이자, 비자금이라고 하지 않았습니까? 왜 그 돈을 만든 것이 범죄가 되느냐... 세금을 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개인도 기업도 마찬가지고요. 기업에 그런 돈이 있다면 그걸 개인들이 자기를 위해 쓸 수 있지 않습니까? 분명 회사 돈인데요. 그러니까 범죄라고 하는 거죠.
진행자 : 회사 돈을 대표자가 자기 재산처럼 빼돌려 비자금을 만들었다면 횡령, 배임... 이런 죄가 적용됩니다.
박소연 : 아직 저는 남한 사람이 되려면 멀었습니다. (웃음)
진행자 : 복잡한 얘기고요. 다시 대출 얘기로 돌아가서. 만약에 소연 씨가 돈을 벌었는데 아무도 모르게 땅에 묻어 놓았다... 은행에 넣지 않고 조용히 썼다... ? 은행에서 대출 같은 거 못 받습니다. (웃음)
박소연 : 왜죠? 내가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는 지금도 모르잖습니까?
진행자 : 알고 있습니다. 소연 씨가 직장에서 매달 노임을 받으시죠? 건강 보험, 고용 보험, 산재 보험, 국민 연금 내시고요? 그렇다면 매달 노임을 받을 때 이미 소득세라는 세금이 징수되고요. 4대 보험 등을 기준으로 국가에서는 이미 알고 있죠. 소연 씨가 얼마나 버는지... 은행도 그런 정보를 통해서 이 사람에게 어느 정도 돈을 빌려주면 몇 년 정도면 갚겠다는 계산이 나오는 것이고요...
박소연 : 어머나... 너무 똑똑해요.
문성휘 : 사람이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계산해줍니다. (웃음) 나도 대출을 받아보니까 정말 시스템이 잘 돼있다... 그리고 신용도를 평가하는 기관이 있는데요. 신용도가 높을수록 그 사람에게 많이 대출 받을 수 있고... 개인이 요청하면 그 사람의 신용도를 알려주기도 합니다. 저는 신용도 3으로 높습니다.
박소연 : 뭐에요, 신용도도 자랑을 하시는 겁니까? (웃음)
소연 씨가 돈을 빌리면서 제일 기억에 남는 건 꾼 돈을 내주던 은행 직원의 웃음이었답니다. 꾸어주는 사람도 꾸는 사람도 목숨을 걸 듯 비장했던 북쪽과는 많이 다른 것이 느껴졌다고요.
우리가 집을 사거나, 빚을 얻는 과정에서 만나는 가장 큰 걸림돌은 가난과 무능력보다는 바로 우리의 욕심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좀 더 좋은 집, 좀 더 큰 이문, 좀 더 좀 더... 하는 그 욕심이요.
나머지 이사 얘기는 다음 시간에 이어가겠습니다. 진행에 이현주였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