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 출신 박소연 씨는 2011년 11월, 남한에 도착해 올해 남한 생활 5년 차를 맞고 있습니다. 2012년 아들을 데려와 혼자서 키우는 열혈 '워킹맘' 그러니까 일하는 엄마입니다.
<세상 밖으로> 이 시간엔 남한 정착 10년차, 자강도 출신 탈북 기자 문성휘 씨와 함께 박소연 씨의 남한 적응기를 하나하나 따라 가봅니다.
INS - 영화 보면 총 쏘는 장면도 없고 부모, 형제 갈라지는 장면도 없는데 너무 마음이 울먹했습니다. 북한처럼 혁명적인 표현으로 시를 짓는 시인도 아니고 그냥 사람의 마음을 담는 서정적인 시입니다. 별 하나의 사랑과 추억과...
큰 예산을 들여 유명 배우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대작 영화들을 제치고 요즘 남쪽 젊은이들이 가장 많이 보는 영화는 '동주'입니다. 일제 강점기 일본의 형무소에서 생체 실험으로 사망한 시인 윤동주의 28년 짧은 생애를 담은 영화입니다.
남한 사람 누구나 알고 있는 시인 윤동주 그리고 그의 시가 영화로 만들어진다고 했을 때 이 영화가 흥행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 사람은 많지 않았을 겁니다. 의외의 흥행은 분명 해답이 있을텐데요. 많은 사람들이 답을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그의 시에서 찾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세상 밖으로> 윤동주 그리고 시대를 온몸으로 느끼며 살았던 남북의 작가들에 대한 얘기 해봅니다.
진행자 : 저도 앉아서 시를 읽는 사람은 아닙니다. (웃음) 아이들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데 책 내용이 너무 좋고 재밌으면서 작가가 백석이라더라고요. 작품에 평안도 사투리를 사용하는데 그게 아주 독특하고 재밌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고 북쪽에 가선 어떤 작품을 남겼을까 궁금했는데 작품은 거의 없고 숙청됐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문성휘 : 작가나 예술인들에 대한 탄압은 지금도 계속 되고 있고 최근에도 김정은 정권에서도 보천보 전자 악단이 해산되고 왕재산 경음악단, 은하수 관현악단이 모조리 해산되고 거기에 참여했던 작가들, 연주자들이 숙청되고 이러지 않았습니까? 대표적으로 우인희 같은 인물은 남한 같으면 망신을 할 정도이지 총살까지 한다는 건 말이 안 되는 것이고요.
박소연 : 그냥 스캔들로 지나가지 총살까지는 정말 아니죠.
문성휘 : 이춘구 같은 사람은 '심장에 남는 사람'으로 유명한데 대홍단 농장에 쫓겨 가서 결국 거기서 운명을 했습니다. 무엇 때문에 그랬는가? 이 사람, '심장에 남는 사람'은 원래 6부작으로 계획이 됐는데 2부까지 밖에 안 나왔습니다. 여기에 삼각관계를 그린 게 문제가 됐다는데 원래 북한은 삼각관계를 절대로 문학에 그릴 수 없습니다. 그걸 뒤집으라는, 그렇게 쓰지 말라는 걸 굽히지 않았답니다. 그 사람의 소설은 실화를 바탕으로 했던 것이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고이고요. 그리고 리진우 같은 사람은 전쟁 영화, 이름 영웅들 같은 것들을 굉장히 많이 만들었어요.
박소연 : 간첩이라고 하지 않았어요?
문성휘 : 맞아요. 주로 전쟁 영화를 많이 다뤄왔는데 이 사람은 애초에 6.25 전쟁의 비밀을 모르고 그냥 북한에서 배워주는 대로만 그러다가 '붉은 단풍잎'이라고 실제 인물을 다룬 것입니다. 남한의 정항명(실제 주인공-성시백)이라고 남북을 오가던 간첩을 주인공으로 6.25 전쟁은 남한이 일으켰다는 걸 주장하는 영화였는데요. 워낙 6부작이었는데 실제로 계획은 20부작이었답니다. 작가들 속에서 도는 소문은 그렇습니다. 20부작으로 쓰려니 자료가 너무 부족했고 당시 김정일에 대고 자료가 부족하다, 더 많이 보여 달라고 호소했고 러시아 유학생 출신인 리진우는 소련에 나가서 자료를 찾는 것을 허가 받았는데 이 과정에서 6.25전쟁을 스탈린의 지원 약속을 받고 북한이 일으켰다는 걸 알게 됐어요. 그리고 그게 충격이었는지 이 말을 술자리에서 했고 그게 문제가 돼서 숙청당한 겁니다.
진행자 : 그런데 그런 얘기는 책에 나오는 것도 아닌데 다 어떻게 아시는 겁니까?
박소연 : 소문이 다 났었어요.
문성휘 : 왜냐면 '붉은 단풍잎'은 리진우로 나가다가 마지막 부는 급격히 끊어 버리면서 작가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박소연 : 저도 다 알 정도면 다 아는 거죠! (웃음)
문성휘 : 북한은 늘 6.25는 미국이 일으켰다. 왜 일요일을 택했는가? 일요일은 기독교 나라들이 쉬는 날이다. 그래서 일요일에 일으켰다면 누구도 미국이 전쟁을 일으켰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일요일이었다는 내용으로 선전을 하지만 작가들은 가끔 아니라는 걸 보여줍니다. 례하면 김책을 다룬 '전선 길'이라는 책에서 첫 미군하고 만난 전투가 오산에서 있었다. 스미스 특공대가 완전 괴멸했다 이렇게 써있는데 책 읽던 사람들이 조금 이상하게 생각하는 거죠.
진행자 : 그 얘기들 많이 하시더라고요. 북한을 쳐들어 온 미군이 어떻게 북한군하고 1달이나 지나서 만났나 궁금했다고.
문성휘 : 네, 북한은 48년도에 미군이 철수했다는 말을 절대로 하지 않아요. 소련하고 미국하고 동시에 철수하지 않았습니까? 그런 얘기는 하지 않고 미국이 전쟁을 일으켰다고 하니 그대로 믿었는데 '전선 길' 같은데서 첫 오산 지구 전투에서 처음 미군을 만났다고 하니 그 한 달 간의 공백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 굉장히 논란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쯤은 아마 북한의 대부분의 지식인들이 6.25를 북한이 일으켰다는 걸 알고 있을 겁니다.
진행자 : 그 말씀을 하시니까 바로 드는 생각이... 알면 어떡하겠습니까?
박소연 : 그렇죠. 북한에선 알면 죄가 됩니다. (웃음) 그냥 모르는 게 제일 좋죠. 이자... 이 기자님이 말씀하신 백석 시를 꼭 읽어볼게요. 지금 문 기자가 6.25 소리를 하니까 기억나는데요. 이수복 영웅이요. '조국을 위하여' 이 시 하나 때문에 화구를 막은 수많은 군인들보다 더 써줍니다. 왜? 정책적으로 필요했으니까. 그래서 윤동주? 백석? 아무도 몰라도 남녀노소할 것 없이 이수복은 잘 알죠.
진행자 : 그러고 보면 세상에서 제일 불쌍한 작가들이 이런 월북 작가들인 것 같습니다. 남쪽에서도 한동안 제대로 평가 받지 못 했고 북쪽에서는 이제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 작가들.
문성휘 : 슬픈 일이지만 저는 지식인들이 뭔가 착각했던 탓도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도 사회주의라는 이상향을 높게 그려냈고 그것이 인생의 착오를 만들어내 자신을 궁지로 몰아 넣은 결과를 갖고 온 것 같습니다. 그런 면에서 월북 작가들 슬프고 안쓰럽고...
진행자 : 그래서 우리가 그런 작가들과 작품들을 기억해 주는 게 필요할 것 같고요. 그런 의미에서 소연 씨가 봤다는 영화 '동주' 같은 영화를 통해 그 시대, 시인들의 작품이 사람 속에서 다시 기억되고 있다는 게 참 감사한 일인 것 같습니다.
박소연 : 네, 맞아요. 너무 좋고요. 강요하지 않았는데도 사람들이 이렇게 기억하고 있다는 게 참 의미있는 일이고요.
문성휘 : 저는 이런 월북 작가들 얘기를 하다보면 문학이라는 게 참 허무하구나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 사람들의 운명이 너무나 슬프기 때문에 글 쓰는 것에 대해 부질없다는 생각이 들고 동시에 누구에게나 어느 시대에나 공감이 갈 수 있는 글을 써야겠다는 조급증과 내가 그러지 못한데서 오는 실망도 있고요...
박소연 : 그런데 문 기자님... 지금 우리는 여기 있기 때문에 우리가 말하고, 우리가 쓰는 것이 묻힐 일은 없잖아요? 우리 탈북자들 속에서도 얼마나 좋은 작가들이 많습니까? 저도 시를 하나 쓴 것을 얼마 전 잡지에 한 번 낸 적이 있었는데요. 그 이후로는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못 썼습니다. 그런데 영화 '동주'를 보면서 그런 생각이 강해졌어요. 그래, 이제 써야겠다. 어느 책에 혹시 실리면 누군가는 볼 것이고 이 글을 탈북자가 썼구나 알 것이고요. 이제는, 우리는, 써야합니다!
진행자 : 네, 기대하겠습니다. 오늘 <세상 밖으로>는 영화 '동주'에서 소개되는 윤동주의 시 '참회록'을 끝인사로 대신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문성휘, 박소연 그리고 이현주였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