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3) 미녀 응원단?

0:00 / 0:00

무산 출신 박소연 씨는 2011년 11월, 남한에 도착해 올해 남한 생활 3년 차를 맞고 있습니다. 2012년 아들을 데려와 혼자서 키우는 열혈 '워킹맘' 그러니까 일하는 엄마입니다.

<세상 밖으로> 이 시간엔 남한 정착 8년차, 자강도 출신 탈북 기자 문성휘 씨와 함께 박소연 씨의 남한 적응기를 하나하나 따라 가봅니다.

박소연: 이번 월드컵에서도 남한 선수들의 제일 첫 경기, 러시아랑 했던가요? 아침 7시에 지하철 타고 출근하면서 봤는데요. 지하철에서 지진 나는 줄 알았습니다. 다들 핸드폰을 보다가... 한꺼번에 (웃음)

지난 14일 브라질 월드컵이 막을 내렸습니다.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국가들이 줄줄이 탈락하더니 브라질이 독일에게 1대 7로 대패를 당하고 4위에 머물렀고요. 독일이 통산 4번째 월드컵 우승을 이뤄냈습니다.

이런 저런 이변이 많았던 이번 월드컵에서 남쪽은 예선전 1 무, 2패를 기록하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는데요. 그래서 끝나고도 한동안은 시끄러웠습니다.

의외로 볼 차기를 꽤 좋아한다는 소연 씨, 또 의외로 체육 경기에 영 흥미 없는 문성휘 기자... 이 두 사람이 본 월드컵과 그 속에 떠올리는 북쪽 얘기, 마지막 시간입니다.

문성휘 : 정치적으로 연관 시키지 않으면 어려워도 사람들 얼굴에 웃음이 나와요. 장마당에 나가서 아낙네들끼리, 남자들끼리 쌍소리 잘 합니다. 남자들 왔는데 막 일부러 들어라 하고 그럽니다. 그러면 장마당에 모였던 사람들 다 함께 웃어요. 정치적으로 연관 안 되면 북한 사람들 얼굴에도 웃음이 핍니다. 그리고 2002년 월드컵이 끝나고 중국에서 축구 주패(카드)라는 게 많이 나왔었어요.

박소연 : 처음 들었네요.

문성휘 : 중국에서 많이 들여왔다가 나중에 싹 걷어 들였어요. 그리고 못 들어오게 했죠. 왜냐면 그기... 스페이스 공병 2자에, 그 땐 누군지 몰랐는데 박지성 선수가 있었어요.

진행자 : 카드 사진에 남한 선수가 들어가 있어 회수했단 얘기군요.

문성휘 : 그래요. 우리도 나중에 알고서 보니까 아주 작게 팔에 태극기가 보이더라고요. 그걸 다 일일이 회수할 수 없으니까 갖고 있는 사람도 있었는데... 북쪽 사람들은 공개된 장소에서 주패 놀이 잘 하거든요. 그걸로 하다가 걸리면 큰일이니까 박지성 선수 팔에 태극기를 원주필 갖고 까맣게 칠했어요. (웃음) 그래야 걸려도 빠져나갈 구멍이 있죠.

진행자 : 근데 월드컵 응원 얘기를 하다보니까, 생각나는데요. 다음 달에 인천에서 열리는 아시안 경기 대회에 북쪽에서 응원단을 파견하죠? 대구랑 부산 때처럼.

문성휘 : 이건 정말 웃기는 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우리 있을 때 간부 강연회에서 나온 얘깁니다. 남조선 사람들이 이렇게 감동을 받았다, 우리 장군님의 초상과 남쪽의 김대중 대통령의 초상이 양쪽에 나란히 있었는데 우리 선수들이 비가 오니까 장군님 면상이 비에 젖는다고 막 옷으로 덮어줬다, 근데 남조선 사람들은 옷을 덮어주고 그런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그래서 남조선 인민들도 정말 감동 받았다...

진행자 : 대구 때 얘기군요? 그걸 간부 강연회에서 얘기했다는 말이죠?

문성휘 : 네, 그때는 그냥 들었는데 여기 와보니까 그것 때문에 대개 욕하더라고요. (웃음) 그게 무슨 꼴이냐고, 비 맞으면 김정일이만 비 맞냐고, 우리 김대중이도 다 같이 비를 맞지. 그것 때문에 북한에 대한 인식이 많이 나빠지는 계기가 됐다고 들었어요.

진행자 : 소연 씨는 지금 문 기자가 얘기하는 이 사건에 대해 아세요?

박소연 : 여기 와서 들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미녀 응원단으로 왔으면 저도 그랬을 거예요. 그리고 아마 저는 돌아가면 입당하고 출세를 했겠죠.

진행자 : 그게... 대구 때 사건입니다. 부산 때는 분위기가 좋았죠. 처음이기도 했고 남북 관계도 아주 순풍이었고. 대구 때는 여러 가지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지금 말씀하신 거죠. 응원단들이 버스를 타고 이동하다가 갑자기 차를 세워달라고 해서 내리더니 뛰어 가서 높이 달린 현수막을 떼어내서 막 껴안고 울고 그랬습니다. 비 때문에 현수막을 내릴 수도 있었겠죠.

거기까진 이해는 하는데 그걸 막 가슴에 안고 눈물을 흘리고... 이런 걸 보면서 아, 정말 같이 살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거죠.

문성휘 : 이게 고난의 행군을 다 겪은 이후인데... 완전 쇼죠.

박소연 : 그래요. 사실 진짜 쇼입니다.

문성휘 : 그러니까 이번에 응원단이 오면 제발 그러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북한 사람들은 그게 지네 자랑스러울 수 있지만 세계적인 시각으로 보면 그게 추한 모습입니다. 제발 이번에 오면 그런 행동을 하지 말았으면... 누구 칭찬하는 사람도 없는데 저절로 난리 아닙니까?

박소연 : 부르고 쓰고, 부르고 쓰고 그러는 거죠.

문성휘 : 21세기 태양, 21세기 태양이라지만 하늘에 해가 있는데 누가 태양이에요? 제발 그러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진행자 : 대구 유니버시아드 대회 때 응원단이 도착해 숙소로 들어갈 때 그 현장에 있었어요. 그 때... 대구 은행 직원 연수원에 응원단 숙소를 마련했는데 대구 은행 직원들도 환영한다고 나와 있었고요. 도착 전에 직원들을 인터뷰를 했는데 다들 담담했습니다. 근데.. 응원단들이 버스에서 내리고 다들 인사하고 들어가는데 여자 직원들 몇몇이 눈물을 흘리더라고요.

북한에 전혀 관심도 없고 같은 민족이다... 이런 생각을 진지하게 해본적도 없다고 얘기하는 젊은 은행원이었는데 그냥 얼굴 보고, 같이 민족이라는 게 느껴지니까 본인도 모르게 북받쳤다고 했습니다. 대구 때는 응원단이 오는 과정에도 잡음이 많아서 이러면서 꼭 와야 하나 싶었는데 정작 그런 모습을 보니까 응원단이 오는 일도 상당히 의미가 있는 일이다 싶더라고요. 그렇지만 나중에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을 보면서 다시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이게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이번에는 정말 순수하게, 잘 있다가 별 탈 없이 갔으면 좋겠습니다.

박소연 : 그런데 그 응원단들은 사실 말이 응원단이지 북한에서 파견한 정치공작대라고 봐야 해요. 자본주의 사회에 가서 우리 사회주의와 공화국의 우월성을 보여주라는 정치 교육을 많이 받고 나오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다른 걸 기대할 수 없어요. 우리는 사고라고 생각하지만 북한 사람들의 입장에서 아주 모범적으로 혁명적인 행동인 거죠.

문성휘 : 응원단 얘기가 나오니까 북한 김정은 제1비서의 아내 이설주가 부산, 대구 응원단에 다 오지 않았어요? 그 중에 이설주가 새파란 한복을 입고 초상화를 달고 웃는 사진이 있는데 그 사진이 아직도 찾으면 나옵니다. 그런데 어느 날인가 이설주 동지... 이러면서 나오는데 어찌나 놀랐는지. (웃음) 이 아가씨가 이렇게 됐어? 그랬습니다.

사실 미녀 응원단이라고 했지만 개별적인 사진을 놓고 보면 그다지 예쁘지 않아요.

진행자 : 그 이름은 남한 언론들이 응원단에 붙여준 것이잖아요? 사실 남쪽 여성들은 반대하죠. (웃음)

문성휘 : 미녀 아니죠. 미녀, 얼마 없어요.

진행자 : 그런데 북쪽에선 이설주가 부산, 대구에 응원단에 왔다는 사실은 아나요?

박소연 : 모르죠. 죽어도 모르죠.

문성휘 : 북한은 응원단을 전국 대학생들 속에서 제일 미인만 뽑았는데 우리가 미인이 아니라면, 북한 사람들은 아마 남조선 여자들은 얼마나 잘 생겼기에...그럴 겁니다. (웃음)

진행자 : 남북이 예쁜 여성의 기준이 다르죠. (웃음) 응원단이 오면 전에는 체류 비용부터 다 남쪽에서 감당을 했습니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같은 민족이기 때문이잖아요? 그런데 응원단이 우리 민족이다... 그런 좋은 선례를 남기고 가야지 상처를 남기고 가면 안 되지 않을까요?

문성휘 : 그렇죠. 대구에서 그 일이 있기 전까지 뭔가 하나됨, 통일에 대해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북한하고 화합할 수 있다는 기대를 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지금 와서는 사라져 가고 있어요. 그리고 그 이후엔 민족끼리 충돌하는 사건들이 너무 많았습니다. 연평도 사건이라든가... 국가적인 감정도, 국민들의 여론도 좋지 않고 나쁜 인식이 많아져서 그러니까 미녀 응원단이 온다고 해도 참 옛날 같지는 않을 것이고 우려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진행자 : 자, 축구 얘기로 시작해서 여기까지 굴러왔네요. 우리가 축구를 포함해서 스포츠, 체육이라고 부르는 것들로 국제 경기를 하는 이유는 정치, 사회, 이념, 종교를 배제하고 하나 될 수 있기 때문이 아니겠습니까? 이번 인천이 그런 자리가 됐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봅니다.

두 분 말씀 감사합니다. 문성휘, 박소연 : 감사합니다.

잡음이 있어도 사실 북쪽 여성 응원단들은 남쪽에서 인기 만점입니다. 꼭 얼굴이 예뻐서라기보다는 풋풋하고 활기차 보이는 그 모습이 남쪽 사람들이 북쪽에 갖고 있는 이미지와 많이 달라서 그런 것 같은데요.

공격적이고 정치적이고 날선 모습이 아니라 활짝 웃고 활기찬 모습... 남한 사람들이 같은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보고 싶은 북한이 바로 이런 모습이라는 얘기도 될 것 같습니다.

응원단 얘기는 9월에 다시 한 번 하게 될 것 같은데요. 아쉽지만 저는 함께 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개인 사정으로 잠시 자리를 비우는데요. 진행자는 바뀌지만 소연 씨와 문 기자의 얘기는 계속 됩니다. 항상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오늘은 여기서 인사드립니다. 진행에 이현주였습니다. 함께해주신 청취자 여러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