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무산 출신 박소연 씨는 2011년 11월, 남한에 도착해 올해 남한 생활 3년 차를 맞고 있습니다. 2012년 아들을 데려와 혼자서 키우는 열혈 '워킹맘' 그러니까 일하는 엄마입니다.
<세상 밖으로> 이 시간엔 남한 정착 8년차, 자강도 출신 탈북 기자 문성휘 씨와 함께 박소연 씨의 남한 적응기를 하나하나 따라 가봅니다.
INS - 어제 태권도 관장님께 전화가 왔는데요. 자기가 우리 시에서 인재를 찾았다고. (웃음) 합판 4장 겹쳐 놓고 격파를 했는데 다른 아이들은 열 번을 쳐도 못 했는데 우리 아이는 한 번에 깼다고...
오늘 소연 씨가 아들 자랑이 늘어졌습니다. 태권도 대회에서 상을 타왔다는데... 아이 키우면서 매일 이렇게 자랑할 만한 일만 있는 건 아니죠. 하루에도 몇 번씩 손이 올라간다는데 남쪽에서 와선 도저히 체벌을 할 수 없다고요. 소연 씨 얘기 들어봅니다.
진행자 : 안녕하세요. 잘 지내셨습니까?
문성휘 : 저야 항상 잘 지내죠.
박소연 : 좋은 일이 많았습니다. 아이가 태권도 학원에 다닌 지 2달 정도 되요. 아침에 태권도 수련? 무슨 경기에 간다고 해서 그런가보다 했습니다. 사실 태권도를 2달 배운 게 거기 가서 뭘 하겠나 싶어서 귀 기울여서 듣지도 않았는데 상을 타왔더라고요. 아이가 말이 없어서 집에 들어올 때도 번호 열쇠를 누르고 들어와서 가방 놓고 '엄마'이러거든요. 근데 밖에서부터 엄마를 부르면서 금상 받았다고 자랑을 하더라고요. (웃음)
문성휘 : 오... 금상을 탔습니까? 대단하네.
박소연 : 네, 태권도 하는 모상 같은 것도 타고 상장이랑 메달도 탔어요. 문성휘 : 가만, 금상이니까 그 메달은 진짜 금일까요?
박소연 : 설마요... (웃음) 북한 같으면 그런 걸 배워줄 생각도 못했을 텐데 탈북자 아이니까 무상으로 학원비를 대주니까요.
문성휘 : 공짜로 가서 배웁니까?
박소연 : 우리 아이는 학교에 들어가서 얼마까지는 학원비를 40만원까지 대준다는 규정이 있답니다. 그래서 40만원까지는 아무 곳이나 다녀도 되니까 태권도 다니고 싶다하기에 좀 이기적인 마음에 공짜인데 아무렴 어떠냐는 심정으로 다니라고 했죠.
문성휘 : 우리 같은 사람에겐 지원이 없을까요? (웃음) 우리 아이들도 좀 보냈으면 좋겠는데요... 저는 전혀 몰랐네요.
진행자 : 학생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웃음) 그것도 소연 씨 아들처럼 초등학교 학생만요. 저도 근데 학원비 지원은 처음 들었네요. 40만원이면 400달러 대주는 거죠?
박소연 : 그것도 규정이 있는데요. 한 부모 가정이어야만 합니다.
진행자 : 이건 탈북자에만 지원되는 건 아니고요. 소득이 많지 않은 가정 중에서 한 부모 가정 그러니까 엄마나 아빠, 어느 한쪽이 아이를 키우는 경우에만 지원이 되는 겁니다. 맞습니까?
박소연 : 맞아요. 저는 남한에 와서 제일 듣기 좋은 말이 한 부모 가정입니다. 북한에서는 혼자 아이 키우면 무조건 과부래요. (웃음) 저게 과부 집 자식이 돼서... 이런 말 정말 많이 듣고요. 이렇게 칭호 자체도 불명예스럽게 불렸는데 여기는 문화어에요. 두 부모가 아니라 한 부모가 아이를 거둔다, 너무 듣기 좋습니다.
문성휘 : 그러게요 진짜... 근데 여기도 과부라는 말은 쓰겠는데요. 쓰나요? 사실 저도 들어 못 봤어요.
진행자 : 네, 과부라는 말 썼어요. 면전에 대놓고 쓰지는 않고요. 한 부모 가정이라는 말보다는 싱글맘? 싱글파? 이렇게 부르죠.
문성휘 : 혼자 아이를 키우는 엄마, 아빠라는 얘긴데요. 진짜 과부보다는 듣기 좋겠습니다.
박소연 : 훨씬 나아요. (웃음) 듣기도 좋고요.
진행자 : 그렇지만 말이죠. 어찌됐든 혼자 아이 키우는 게 쉬운 일은 아니죠. 근데 상을 탄 건 어느 부분입니까? 태권도도 종목이 있잖아요?
박소연 : 어제 태권도 관장님께 전화가 왔는데요. 자기가 우리 시에서 인재를 찾았다고. (웃음) 합판 4장 겹쳐 놓고 격파를 했는데 다른 아이들은 열 번을 쳐도 못 했는데 우리 아이는 한 번에 깼다고. 자기가 맡아서 키우고 싶다고요. 그래서 저는 전문적으로 시키지 않겠다, 남한에 와서는 공부를 먼저 좀 했으면 좋겠다고 태권도는 재미삼아 시키고 싶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진행자 : 북쪽에서도 원래 운동을 잘 했어요?
박소연 : 아이 아버지가 주먹이 셌어요. 제가 좀 자랑 같지만 저번에 인터넷으로 뭘 구매했는데 그게 정말 무거웠어요. 장식대를 산 건데 그 무거운 걸 지가 땀을 짤짤 흘리며 조립하는 거 보니까 손아귀 힘이 있어요. 어쨌든 저는 대견할 뿐입니다... (웃음)
진행자 : 아이가 뭘 잘 한다... 엄마한테 이것보다 더 힘나는 소리가 없죠. (웃음) 온지 얼마나 됐죠?
박소연 : 7개월 됐습니다.
문성휘 : 좋겠다. (웃음) 그 땅에 그냥 있었으면 이젠 화목대(땔감 비용)를 바치고 바빴겠는데요...
진행자 : 근데 보면 어른들보다는 아이들이 적응이 참 빠른 것 같습니다. 소연 씨 아들도 온 지 1년이 안 됐는데요.
박소연 : 7개월 됐죠.
문성휘 : 아무래도 아이들은 사회적인 경험도 적고 정치적 견해도 적고 순진할 때니까요.
박소연 : 요즘은 학교 가란 말을 안 해도 너무 잘 갑니다. 한동안 걱정 많이 했는데...
진행자 : 다행입니다.
문성휘 : 다행이긴 아직 사춘기 전이구만요. (웃음) 사춘기만 돼보세요. 귀여운 아들이 아니라 갖다 버리고 싶은 아들이죠. (웃음) 박소연 : 저도 솔직히 금상 탔을 때만 기쁘지 속을 안태우는 건 아닙니다. 저번에도 정말 머리 뚜껑이 열렸습니다. 돈 가방에서 돈 만 원이 없어졌어요. 집에 식구라곤 저하고 나밖에 없는데요. 전 자기 전에 돈 가방 돈 딱 세놓고 자거든요. 저도 엄마 돈 가방에까진 손을 안 댔지만 돈을 다른 곳에 쓰고 그래서 빨래 방치로도 맞아봤으니까... (웃음) 제가 남한에 와서 온 아파트가 들썩하게 아이를 잡을 순 없고 미리 조심하자는 생각에서 건사를 하고 있는데 아침에 혼냈더니 눈물을 흘리며 죽어도 아니래요. 이렇게 속 뒤집어 지는 일도 있습니다.
문성휘 : 저도 어렸을 땐 엄마 돈 많이 훔쳤죠. (웃음) 엄마가 장마당에서 짐을 끌고 들어오며 이거 좀 받아 그럴 때가 가장 좋은 때에요. 미처 돈이 얼만지 못 세었을 때니까 그럴 때 몇 백 원 빼면 엄마는 나중에 돈을 세면서 이상하게 요즘 계산이 안 맞는다고 그러죠. (웃음) 근데 지금은 엄마를 만나서 사죄하고 싶은 생각이 들어요... 근데 북한에선 말 안 들으면 이런 추운 겨울엔 밖으로 내쫓으면 됐죠. 나가! 이럼 막 빌고 문을 두드리면서 아빠 잘 못했습니다... 그랬죠. 한국에선 그걸 못합니다. 내쫓으면 PC방이니 찜질방이니 아이들이 갈 데가 너무 많아요. 오히려 잠깐 피신하고 좋은 일 시켜주는 겁니다. (웃음)
박소연 : 근데 지금 애들이야 그렇죠. 이 기자님 때도 안 그랬을 것 같은데요.
진행자 : 저희도 쪼르르 다 쫓겨났죠. 형제들이 모두 함께... 문 밖에서 울고 서 있으면 엄마가 들어와, 이럼 들어가서 다시 안 그러겠다고 그러고... (웃음) 요즘 남쪽 부모들은 체벌에 크게 찬성 안 합니다. 되도록 때리기 보다는 말로 하자는 주의고요. 정말 체벌이 필요할 때는 횟수를 정해놓고 정해진 회초리로.
문성휘 : 사실 체벌은 안 하는 게 아니라 못 한다는 표현이 맞겠네요.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었는데 주먹질 하거나 쫓아내면 다른 데로 달아날까봐. 어떻게든 참습니다. 그 시간을 넘기고 아이도 화가 난 게 다 풀렸을 때 조용히 접근해서 차근차근 얘기해봅니다. 그러면 아이도 받아들입니다.
진행자 : 문 기자는 아이들이 벌써 다 성장했잖습니까? 그러니까 말로 하는 게 통하겠죠. 소연 씨는 어떠세요. 아직도 북한 방식으로 체벌하거나 혼내십니까?
박소연 : 솔직히 말하면 우리 아들은 어릴 때 나한테 너무 많이 맞았죠. 남편이 없는 설움, 살아가기 힘든 화풀이를 아이한테 했던 겁니다. 지금도 제일 가슴이 아픈 게 제가 그때 장사를 할 때였는데 무산 역전에서 사과하고 배를 넘겨받아서 그게 그날 중에서 못 팔면 감모가 갈까봐 김치 움에 넣고 너무 피곤해서 잠이 들었어요. 얼마쯤 잤을까 시장에 나갈 시간이 돼서 일어나서 김치 움에 가봤더니 배 먹고 남은 부분이 열 개가 넘게 떨어져 있더라고요. 파는 물건이라 애를 하나를 못 줬습니다. 근데 그걸 팔게 되면 쌀 몇 킬로 값인데요... 화가 나서 아이를 밖에 나가서 찾았습니다. 그 때가 아마 5-6살 즈음이었는데 배가 뽈록해서 친구들하고 놀고 있는 아이를 뒷덜미를 끌고 와서 사정없이 밟았습니다. 그게 돈이 얼마 되는 지 아냐고... 엄마는 그거 먹고 싶지 않아서 안 먹는 줄 아냐고. 그러고는 아이를 밖에 던졌는데 아이가 자정이 되도록 안 들어오는 겁니다. 그때부터는 제가 미친 사람처럼 울면서 역전으로 찾아 헤맸어요. 나중에 보니까 창고 안에 쭈그리고 앉아있더라고요... 제가 중국에서 넘어 와서 한국으로 올 때, 아이랑 영 갈라질 수도 있는 그 때... 그 생각이 제일 먼저 나더라고요. 그리고 다짐했어요. 다시 만나면 다시는 안 때리겠다고. 한국에 와서 저도 변하긴 했어요. 남의 눈이 무서워서... 내 성질에 하루에도 몇 번씩 불이 나는데 한국에 와선 한 번도 안 때렸네요. (웃음)
진행자 : 다짐을 지킨 게 아니고 남의 눈이 무서워서요? (웃음)
박소연 : 여기 사회적 흐름이나 사회적 인식이 아이를 때리면 굉장히 몰상식해 보입니다. 저 속으로 진짜 때리고 싶어요...(웃음)
문성휘 : 아파트에서 애를 때리는 건 말도 안 되죠. 아마 경찰에 신고할지도 모릅니다.
박소연 : 저도 남쪽에 왔으면 여기 사람들처럼 말을 듣던 안 듣던 말로... 북한처럼 빨래방치, 먼지털개(먼지떨이) 쥐고 때리지 말고 말로 해야겠죠. 그때 때려준 게 지금도 너무 가슴 아픈데요. 그때는 진짜 살아가자니까 그런 거였습니다.
진행자 : 근데 참 아이 먹이자고 하는 장사인데...
문성휘 : 그런 일은 북한에선 보통입니다. 수도 없이 많아요. 엄마가 장마당에 내다 판다고 창고에 명태를 말렸습니다. 창고 열쇠를 엄마가 갖고 있었는데 북한 국영공장에서 만들어 나온 열쇠들이 다 그렇듯이...(웃음) 아무 열쇠로나 막 열립니다. 그걸 열고 들어가서 아마 3분의 1은 먹었을 겁니다. 엄마가 며칠 있다가 나가더니 명태를 다 걷어 갖고 들어와서 통곡을 하시더라고요. 먹을 때는 맛있었지만 한쪽으로 근심하며 먹었어요. 언젠가는 혼날 거라고 생각했지만 엄마가 통곡을 하니까... 참...
박소연 : 북한은 항상 그 먹을 것이 문젭니다. 우리 애가 압록강을 넘어올 때 잡혀서 국경 경비대에 3일 정도 혼자 있었습니다. 저는 거의 탈진할 정도가 됐어도 어떻게든 돈을 써서 아이를 빼왔죠. 엄마는 울고불고 난리가 났는데 우리 아들 건너와서 첫 전화 통화에서 뭐 랬는 줄 아세요? 엄마 나 포도 먹었다...
그래요. 참, 그 먹는 게 문젭니다. 청취자 여러분도 어렸을 때 비슷한 경험이 있으시죠?
나는 그저 먹고 싶었을 뿐인데 빨래 방치와 먼지털개(먼지떨이)를 들었던 우리 부모들, 그게 나를 향한 게 아니라 당신들을 향한 분노였음을 나이가 들어서는 잘 알고 있습니다.
이제 북쪽에서 남한으로 와서 여러 가지 반대의 상황에서 아이를 키워야하는 탈북자들. 아이들을 훈육하는 방식도 이렇게 다르지만 학교도 많이 다릅니다. 이 얘기, 다음 시간에 이어 가겠습니다.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여기까집니다. 다음 주, 이 시간 다시 인사드리겠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