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무산 출신 박소연 씨는 2011년 11월, 남한에 도착해 올해 남한 생활 4년 차를 맞고 있습니다. 2012년 아들을 데려와 혼자서 키우는 열혈 '워킹맘' 그러니까 일하는 엄마입니다.
<세상 밖으로> 이 시간엔 남한 정착 9년차, 자강도 출신 탈북 기자 문성휘 씨와 함께 박소연 씨의 남한 적응기를 하나하나 따라 가봅니다.
INS - 재밌는 게 그래도 남조선은 산에 가면 나무가 많잖아요. 심는 사람은 전혀 안 보이고 북한은 번대산인데 작은 아이들까지 다 동원돼서 나무를 심습니다...
남한의 4월은 나무 심는 달입니다. 4월 5일이 식목일이고 청명, 한식이 다 있으니 나라에선 4월을 이렇게 정해놓긴 했는데... 정착 4년차인 소연 씨도, 근 10년이 다 되가는 문 기자도 남쪽에 와서 나무 심어본 적이 없답니다. 그래서 궁금하답니다.
남쪽 산에 그 많은 나무는 누가 심었고 북쪽 사람들이 심는 그 많은 나무는 다 어디로 가는가?
오늘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에서 그 답을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진행자 : 안녕하세요.
박소연, 문성휘 : 안녕하세요.
진행자 : 잘 지내셨습니까? 남쪽은 4월 5일이 식목일인데요. 어떻게 올해 식목일은 나무 좀 심으셨습니까?
박소연 : 아니요. 누구 나무 심으라고 찾으러 오는 사람도 없고. 누군가 심겠지 하고 직장 나갔습니다. (웃음)
문성휘 : 그러고 보니까 남쪽에서는 나무를 누가 심어요?
박소연 : 그러게요.
진행자 : 저도 이번엔 안 심었습니다. (웃음) 문 기자도, 소연 씨도 안 심었으니...
박소연 : 진짜 궁금하네요. 북한은 온 인민반이고 뭐고 직장이고 난리도 아닌데...
진행자 : 식목일이 그렇게 난리입니까?
문성휘 : 식목일이 아닌 때에도 나무를 심으라고 지령이 떨어지면 여름철에도 묘목이 들어올 때가 있는데요. 그리고 지시라는 게 때가 없습니다. 어디 지나가다가 국가 지도자가 야, 저기 나무가 왜 그렇게 없냐 그러면 봄, 여름, 가을, 겨울이고 상관없이 전국이 몽땅 나무를 심어야 하는데 한국은 지시도 없지, 인민반이라는 것도 없지...
박소연 : 근데 재밌는 게 그래도 남조선은 산에 가면 나무가 많잖아요. 심는 사람은 전혀 안 보이고 북한은 번대산인데 작은 아이들까지 다 동원돼서 나무를 심습니다. 그 나무... 다 어디 갔는지 모르겠어요.
진행자 : 식목일 즈음에는 지방자치단체 별로 행사를 하면서 나무를 심기도 하고 시민단체들에서 나무 심기 같은 행사를 열지만 북쪽처럼 전 인민적인 대규모 동원은 없습니다. 최근에 제가 목격한 식목일 행사는 서울 시청 앞에서 식목일 당일 날, 꽃나무 묘목 나눠준 것이네요.
문성휘 : 그 나무 묘목을 받아서 어쩐다는 겁니까?
진행자 : 큰 나무가 아닙니다. 작은 묘목이니까 원하는 곳에 심으면 되는 거죠. 집 화분이나 사무실 화분이나...
문성휘 : 화분에다 심으라고?
진행자 : 네 그렇죠.
문성휘 : 저는 나눠주고 산에 가서, 여기서부터 여기까지 땅을 파고 몇 미터씩 간격으로 심고 부식토 덥고... 이렇게 하고 온다는 줄 알았네요.
진행자 : 아닙니다. 저는 그런 행사에는 동원돼 본 적은 없네요.
박소연 : 그럼 나무를 못 심어 보셨어요?
진행자 : 네.... 개인으로 화분에만.
문성휘 : 와...엄청 무식하다.
박소연 : 심하게 말씀하시네요. (웃음)
진행자 : 아니, 나무 못 심으면 무식한 거예요!
문성휘 : 저 그런 부분에선 엄청 유식합니다!
박소연 : 문 기자님은 어떤 조였는데요?
문성휘 : 아...저도 잊고 있었는데 지금 말하면서 생각이 나네요. 한 사람은 앞으로 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구덩이를 파고, 누구는 따라가며 물을 주고, 다음은 흙을 덥고...
박소연 : 보통 여자들이 물 조를 하죠.
진행자 : 물이 무거울 텐데 여자가 물 조 인가요?
박소연 : 할 수 없어요. 북한은 여자가 돼서 헐한 일을 하고 남자가 되서 힘든 일을 하고 이런 건 없습니다. 저도 해마다 심었네요.
문성휘 : 근데 별로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나무를 떠오라면 나무 키는 1미터-1.8미터 사이, 뿌리는 직경 80센티 이상 이렇게 정해주는데요. 근데... 그걸 어떻게 떠옵니까? 그 크기에 뿌리까지 뜨자면 산에 손수레를 갖고 가서 싣고 와야 하는데요. 산에서 끌고 도로까지 내려올 수도 없고 또 내려온다고 해도 어떻게 운반을 해요...
진행자 : 잠깐만요. 떠오신다는 건 산에서 나무를 뽑아 갖고 오신다는 의미죠? 식수절은 산에 가서 나무를 심어야지 이건 반대인데요?
문성휘 : 북한의 식수는 산에 걸 뽑아다 들에다 심고. 이쪽 산에 있는 걸 뽑아다 들에다 심는 게 식수입니다.
박소연 : 제 털 뽑아 제 구멍 메우는 거죠. (웃음)
문성휘 : 올해 보도에도 나오지 않았어요? 김정은 장군님께서 식목일 맞아서 몇 군 비행사들하고 이렇게 키 큰 나무를 심지 않았어요? 이렇게 키 큰 나무를 심는 종묘장이 어딨어요? 그냥 산에 가서 뽑아 와서 준비하고 있다가 심은 거죠. 이쪽 산에 것을 이쪽에 심은 겁니다.
진행자 : 그럼 주민들이 매 식수절마다 심는 그 나무들은 어디서 뽑아온 것이란 말입니까?
박소연 : 그게 여러 가지인데요. 종묘장에는 버들가지, 회초리 같은 거 있죠. 큰 건 없습니다. 인민반 별로, 여맹 별로 과제가 내려옵니다. 한 인민 반에서 5년 자란 나무 7 그루씩 따라... 이런 식으로. 우리 때는 4월 달에 식수를 해서 그나마 쉬웠어요. 산에 가서 나무뿌리를 뽑으려면 사방 한 미터 씩 파야하는데 너무 길면 도끼로 막 잘랐어요. 우리도 하면서 그래요. 이게 가서 살겠냐 말겠냐. 그래도 그날은 필요하니까 어쩔 수 없죠.
문성휘 : 식수절은 대개 큰 나무를 심죠. 작은 건 분위기가 안 뜨니까 모두 큰 나무를 들고 다녀야 분위기가 나고 텔레비전이랑도 보기 좋죠... 조별 과제가 나오면 식수절 되기 전에 미리 산에 가서 나무를 떠오죠. 그걸 식수절 날, 길바닥에 심는 거고요.
진행자 : 아니, 자꾸 여쭤봐서 죄송한데. 저는 좀 이해가 안 가서요. 나무를 심자고 하는 식수절인데 산에 나무를 뽑아 들에 옮기면 나무를 더 심는 것도 아니고 또 옮겨 심어도 살지 말지 모르니까 오히려 줄어드는 행사 아닙니까?
문성휘 : 맞죠. 식수절이면 솔직한 말로 숱한 나무가 죽습니다. 식수절에 큰 나무를 심는데요. 만약 5명이 1-1.5미터 사이 나무를 7대 떠올 과제를 받았다면 여기 사람들은 그 나무 어떻게 뜨니, 그것도 하루에... 이렇게 생각하겠지만 우리는 간단하게 뜹니다. 산에 올라가서 뿌리라고 생긴 건 거의 다 잘라버리고 흙도 버립니다. 흙이 붙어 있으면 무거워서 들고 올 수 없으니까요. 그리고 직장에 가져갈 때 잘 해야 합니다.
박소연 : 위장을 잘 해야 하는 거죠.
문성휘 : 그래요. 직장에서도 뭐... 다 알아요. 낡은 마대에 흙을 대충 채워놓고 가마를 둥글게 부풀려서 그 위에 나무를 꼽아서 직장에 가져다 바치죠.
진행자 : 그래서 북한산에 나무가 없는 거네요...
문성휘 : 그런데다 나무를 심자면 큰 나무들은 아래쪽에 받침대를 3-4대를 받쳐줘야 하거든요. 그건 어디서 나온 답니까? 그것도 산에서 해 와야 하는 겁니다. 버팀목 하나에 나무 한 그루씩인 거죠.
진행자 : 그 나무에, 버팀목까지 적어도 4대는 베어지는 거네요. 이렇게 얘기하고 있자니까 진짜 식목일, 없어야 할 것 같습니다.
문성휘 : 네, 맞아요.
박소연 : 우리 절로도 그래요. 제발 이런 놀음 없어져야 한다. 산에서 자라는 나무들 그냥 놔두지 왜 이렇게 못 살게 구느냐... 그래도 우리도 그런 얘기했어요.
진행자 : 주민들도 이런 상황을 다 알고 계시는 거잖아요? 그럼 바뀌어야 하는데 왜 안 바뀌나요?
문성휘 : 장군님이 바꾸지 않는데 어떻게 바꾸나요. (웃음)
박소연 : 불가능 합니다.
진행자 : 그런가요? 사실 남쪽도 식목일이 문젭니다. 식목일 날 불이 많이 나서 문제에요. 지난 2천년, 동해안 2만4천여 ha가 전소된 산불. 또 유명한 고찰이죠? 낙산사... 들어보셨죠? 낙산사가 2005년 불이 났는데요. 그것도 역시 식목일 즈음이었습니다. 그래서 행사를 좀 자제하는 편이기도 하죠.
박소연 : 산에 간 사람이 불을 지르는 겁니까?
문성휘 : 담배를 태우거나 하면...
진행자 : 맞습니다. 산불의 가장 큰 원인이 담뱃불이라고 합니다. 문 기자님 찔리시죠? (웃음)
문성휘 : 그래서 저는 산에 잘 가지 않습니다. (웃음)
박소연 : 산에 불을 낸 사람은 잡힙니까?
진행자 : 그럼요. 산불을 낸 사람의 검거율이 60%가 넘습니다.
박소연 : 어떤 처벌을 받습니까?
문성휘 : 남한의 처벌이라는 게 워낙 물러서요...
진행자 : 우연이냐 고의냐에 따라 징역 얼마에, 벌금 얼마 이렇게 나오죠. 형량이나 벌금은 사건에 따라 다릅니다.
박소연 : 사실 북쪽은 어떤 일을 저질러도 100의 하나나 잡힐까? 산불도 같아요. 또 어떤 산불을 껐느냐가 중요하죠. 저희가 살 때 강산 뒷산에 불이 나서 산림 보호원이 끄다 죽었는데... 그러다 말았죠. 그런데 언젠가... 제가 오기 전에 일인데 꽤 오래된 일입니다. 북한 군대들이 구호목이 있는 산에 불이 나서 그걸 끄다 죽었는데 공화국 영웅이 됐죠.
문성휘 : 그게 연사군이던가 삼봉군이던가 그렇죠?
박소연 : 그래서 그때 막 사람들이 야... 불도 어떤 산에 났느냐가 중요하고 나무에도 계급이 있다고 막 그랬었죠. 그냥 산에 불 끄다 죽으면 재해 사망이 되지만 구호목 있는 산에 불 끄다 죽으면 영웅이 되고...
여러분도 잘 아시는 '무재봉 불사조' 얘기였습니다...
이번 방송은 아마 저희 세 명이 근 4년간 얘기해 온 주제 중에 가장 답답한 질문과 답이 오가지 않았나 싶습니다.
문 기자, 소연 씨는 제가 남한 식 나무 심기 방법을 모른다고 답답해했고 저는 그걸 묻는 두 사람을 답답해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도 그냥 평범한 직장인인 제가 나무를 심으려면 땅을 몇 센티 파고, 나무뿌리는 어떻게 하고, 부식토는 어떻게 덥고 하는 나무 심는 법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뭐... 답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전문 산림원이 아닌데도 지금까지 수백 그루는 족히 심었을 것 같은 소연 씨와 문 기자... 남한에 와서도 나무를 보는 눈은 남한 사람과 많이 다릅니다. 또 황폐한 북한의 산림에 대해서도 다시 고민하게 됐다고요. 이 얘긴 다음 주에 이어가겠습니다.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오늘은 여기까집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이현주였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