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무산 출신 박소연 씨는 2011년 11월, 남한에 도착해 올해 남한 생활 3년 차를 맞고 있습니다. 2012년 아들을 데려와 혼자서 키우는 열혈 '워킹맘' 그러니까 일하는 엄마입니다.
<세상 밖으로> 이 시간엔 남한 정착 8년차, 자강도 출신 탈북 기자 문성휘 씨와 함께 박소연 씨의 남한 적응기를 하나하나 따라 가봅니다.
INS - 생일 축하 노래도 제가 불렀습니다. (웃음) 민망하지 않았어요. 애가 정말 좋아했습니다...
얼마 전에 소연 씨 아들 생일이었답니다. 무슨 아이 생일까지 챙기느냐 하시겠지만 남한은 어려서 그리고 나이 들어서 생일을 더 챙깁니다. 게다가 이번엔 남한에 와서 첫 생일이라고 하네요. 오늘 <세상 밖으로> 지난 시간에 이어서 생일 얘깁니다.
문성휘 : 북한도 시대에 따라 다릅니다. 저희 때는 한창 동유럽 사회주의가 허물어 질 때고 힘들 때니까 북한이 큰 선물이 없었어요. 그 이전 시대에도 그랬고요. 주로 남자끼리 생일 선물을 라이터를 주던지 고급담배. 북한에는 빨줄이 달린 담배, 여긴 필터 담배죠? 그리고 자기 마실 술은 꽁무니에 차고 오죠. 그렇게 생일을 보내는데 지금은.... 내가 아까도 말하지 않았습니까? 생일 장사를 했구만... 돈 많은 간부들은 생일이 큰 돈을 벌 기회라고 하잖아요?
박소연 : 맞아요. 맞아요... 저는 생일에 남한이 재미없어요. 솔직히 말하면... 가문에서 제가 결혼 전에는 아버지 생일이 김일성 생일보다 더 잘 쇠었어요. 집안마다...
문성휘 : 그건 맞죠.
박소연 : 아버지 생일날에는 불을 때니까 구들이 뜨거워서 레자를 걷었습니다. 생각나시죠? 둘둘 감아서...아... 앉아서 그러죠. 매일 생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설기 떡에 콩부시... 그걸 남은 걸 주먹으로 쥐먹고 콩나물도 소랭이에 양념해놓은 걸 가서리 손으로 막 먹고 얼마나 맛있고 신났는지 모릅니다. 남쪽은 그냥 식당에서 촛불이나 키고 박수 치고... 이런 재미가 없어요.
진행자 : 근데 소연 씨는 지금 아들과 가족이 둘이잖아요? 남쪽도 가족이 많으면 집에서 합니다. 집안 식구들 많이 모이면 특히, 엄마 생일일 경우 본인들이 챙기면 너무 힘드니까 일 편하자고 밖에서 먹는데요. 집에서도 차리죠.
문성휘 : 에이, 근데 소연 씨 말 맞아요. 저도 한국에서 생일이라는 게 별 의미가 없다고 해야 하나요? 특별히 기억이 안 남아요. 그 우리 어렸을 때 전혜영이 설맞이 공연에서 노래 부른 게 있잖아요?
박소연 : 날마다 설날이면 좋겠네...
문성휘 : 날마다 생일이면 좋겠네... 그랬죠. 설날보다 생일을 더 크게 쇠니까요. 어쩌다 생일이면 친구들과 모여앉아 술 한 잔 하고 돼지고기도 마련해서 나눠 먹고... 얼마나 의미가 있습니까? 여긴 생일날 돼지고기 사서 먹었다, 설날 돼지고기 먹었다? 이게 특별한 소리가 아니죠. 그러니까 한국은 그러니까 생일이 평범한 날 중에 그냥 하루에요.
박소연 : 그날 태어났다는 날짜뿐인 거죠.
진행자 : 이제 생일날... 먹는 것 때문에 특별히 기억에 남는 날은 아닌 거죠.
박소연 : 네, 북한은 아직 안 그렇죠. 저는 남편 없이 혼자 살다보니 생일날 아침에 굶은 적이 있었어요. 장사 갔다가 새벽에 왔는데 먹을 건 없고 아이는 어리고. 그냥 주린 배 안고 잤더니 동생이 한 12시쯤 돼서 올라와서... 그때 좀 많이 서러웠죠. 그러니까 생일도 그냥 부모님 밑에서 동생들과 한 구들에 오구작작 있을 때 제일 기억에 남아요. 결혼을 하고 이렇게 풍파를 겪고 애하고 혼자 살다보니 그게 안 되더라고요.
진행자 : 저도 결혼하고 나서는 생일날 미역국을 제 손으로 끓여야 하니 그게 좀 그렇더라고요.
박소연 : 아니, 왜 남편이 안 끓여주고?
진행자 : 아... 그게 모든 남편들이 다 해주는 건 아닙니다. 드라마를 현실과 착각하시면 안 됩니다.
문성휘 : 전 다른 것 못해도 미역국은 꼭 끓여줍니다. 이게 우리 탈북자들이 더 잘 합니다. 왜냐면 완전 백지 상태에서 한국에 딱 왔는데 생일날엔 꼭 미역국을 끓여준다니까, 끓여줘야 하나보다 하는 거죠. 그러니까 탈북자 남자들이 더 잘 할 겁니다.
박소연 : 북한식으로 표현하자면 여기 사람들은 늘 먹었죠. (웃음)
진행자 :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탈북자들 중에서도 그러신 분도 계시고 아닌 분도 계시죠.
문성휘 : 아니, 이 기자가 그걸 어찌 압니까! 사귀어 봤어요, 살아를 봤어요?
진행자 : 꼭 그래야 압니까? 아주머니들 모여서 얘기하지 않습니까? 남편 욕 많이 하시거든요.
문성휘 : 탈북자 남자들의 망신 다 시키는 아내들이 있나?
진행자 : 아마 그런 남성들은 문 기자가 탈북자 남자 망신 다 시킨다고 생각할 겁니다. 정말 북쪽에서 갖고 있던 사고방식 그대로 갖고 사는 분도 계시잖아요?
문성휘 : 그래요. 그런 사람도 있어요. 저 놈 우추사다... 이래 가면서. 그래도 심정이야 그렇지 않죠. 그리고 생일날, 북한에서도 한국 드라마 하도 많이 봐서 생일날 미역국 끓여 먹는 답니다. 우리 때는 그런 거 몰랐죠.
박소연 : 제가 올 때만 해도 그렇진 않았는데요. 제가 나오던 그 해에 아버지 생일상에 생일케이크를 놓았습니다. 중국에서 주문했는데 120원짜리 케이크였는데 초까지 다 넘어왔더라고요.
진행자 : 아버님은 뭐라고 하셨습니까?
박소연 : 아우, 좋아하시죠. 밀수꾼이 넘겨줬는데... 근데 우리가 북한에서도 그 노래를 알았어요. 생일 축하 합니다... 당시엔 부르면서 서로 어색했죠. 얼굴이 빨개지면서... 그런데 아버지가 너무 좋아하시는 거예요. 내가 이래서 자식을 많이 낳았다... 그러면서요.
진행자 : 제가 상상하는 북한이라고 하면, 아버지가 이거 자본주의, 날라리 사상이라면서 막 화내는...
박소연 : 어우, 아니에요... (웃음)
문성휘 : 북한에서도 이제 중국에서 케이크가 많이 들어오고요. 내륙에선 개인집에서 생일 케이크를 만들어 판답니다. 근데 그게 우리가 말하는 한국의 케이크가 아니라 설기 떡을 둥글게 만들어서 색소를 입힌 거라는데 어떤 모양일지 상상이 됩니다.
진행자 : 한국도 떡 케이크가 있는데요.
박소연 : 북한도 그런 문화가 생겼네요. 그리고 북쪽에서는 환갑을 61-62세에 하는데요. 형제끼리 분담을 하죠. 그걸 한 덩지씩 맡는다고 하는데 환갑날에 아이들 돌 생일 하는 것처럼 옷을 죽 걸어놓고 엄마가 손님이 오면 소개를 하죠. 이건 맏이가 이건 둘째가...
문성휘 : 맞다... 저도 생각나네요. 북한은 흔히 밖에서 생일을 하질 않으니까 아버지 환갑 생일인데 생일날이랑 오면 손님들에게 국수를 내죠. 아버지 환갑 생일에 제가 국수를 맡았던 게... 그 생각이 나네요. (웃음)
진행자 : 남쪽은 이제 환갑은 거의 안 하고 칠순, 팔순을 하죠.
문성휘 : 잔치 대신 해외여행 보내드리는 집도 많습니다.
박소연 : 그거는 좋네요. 북한 같으면 상상도 못하죠... (웃음)
진행자 : 경제가 나아지면 가능하겠죠.
문성휘 : 언제 그렇게 나아지겠어요? 북한에서 그러잖아요? 생일도 모르고 지나갔다. 생일을 모르고야 지나갔겠습니까? 사실 북한에서도 돈 많은 사람들이나 간부들은 생일을 크게 쇱니다. 그렇지만 생일도 하기 어려울 정도로 가난한 사람들 많아요. 생일을 모르고 지난 게 아니라 애초에 생일을 쇨 꿈도 못 꾸는 거죠. 저도 그런 친구가 있었습니다. 정말 가난하게 살았는데 그 친구가 그 때 신혼이었습니다. 결혼하면서 돈이란 돈을 다 긁어 써서 아마 생일은 꿈도 못 꿨을 거예요. 친구 중에 하나가 그 친구 생일을 기억해서 다 같이 가기로 했는데 보나마나 그 집에 뭐가 있겠어요. 그래서 우리끼리 준비를 해갔습니다. 나 지금도 기억나는 게 그때가 정말 힘들어 질 때라 우리가 준비해 간 게... (웃음) 돈을 모아서 일단 술을 한 빵까 사고 그리고 국수를, 물에 불린 국수를 이렇게 한 봉지 사 갔는데... 남자들이 그 국수 봉다리를 들고 가던 생각을 해보세요. (웃음) 아, 근데 그 집에 가보니까 자강도나 깊은 산골 고산지대는 감자를 많이 심으니까요. 소연 씨도 까리 국수(감자 전분을 짜고 남은 섬유질로 뺀 국수) 생각이 나요? 우리는 그거 말고 강냉이 국수를 들고 갔는데...
박소연 : 강냉이 국수면 고급이죠.
문성휘 : 그런데 친구는 막 눈물이 글썽하고 부인은 뒤를 돌아 울더라고요. 아우...지금도 가끔 생각납니다.
박소연 : 그런 생각, 저도 가끔 해요.
문성휘 : 어떻게 그 땅에서 살던 사람들이 그 생각을 잊을 수가 있겠습니까?.... 그리고 동네 아낙네들 모여 앉으면 자기네 수준 자랑을 하는 게 있지 않아요? 까리 국수 자랑을 합니다. 아, 이번에 까리 국수 20킬로 하는데 저번에 먹을 때는 좀 그래서 밀가루 몇 킬로 했다, 녹말 몇 킬로 섞었다... 은근히 과시하는 겁니다.... 우리는 생까리 국수는 안 먹는다는 거죠. (웃음) 그래, 생일날에 그 까리 국수 먹던 거... 아우, 생각납니다...
그 까리 국수, 저도 한번 먹어보고 싶네요. 이런 얘길 듣고 있으면 진짜 일반 주민들의 사는 풍경이 눈앞에 그려지고요. 정겹습니다.
이런 고향, 가족을 어쩔 수 없이 떠나온 탈북자들... 생일날 당연히 고향 생각합니다. 또 그날은 북쪽에 계신 가족들, 친구들도 국수 한 그릇 먹었으려나... 떠나간 사람을 생각해줄 거고요. 서로 서로 그리워하는 의미있는 날이 바로 탈북자들의 생일날인 것 같습니다.
소연 씨는 남쪽에서 이번 생일이 세 번째라는데요. 아들은 자기가 챙겨준다지만 자기는 정작 챙겨줄 사람이 없을 것 같다고요. 제가 스스로 한번 챙겨봐라... 셀프 선물을 제안했는데 문 기자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행태랍니다. 셀프 선물이 뭔지... 다음 시간에 알려드리죠.
<세상 밖으로> 오늘은 여기까집니다. 청취자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