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탓? 모든 게 남의 탓! (1)

0:00 / 0:00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박소연 씨는 2011년 11월 남한에 도착한 햇내기 입니다. 무산 출신으로 선전대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30대 중반의 여성인데요. 하나원 교육을 끝내고 본격적으로 남한 생활을 시작한지 이제 근 일 년...

<세상 밖으로> 이 시간에는 남한 정착 7년차, 자강도 출신 탈북 기자 문성휘 씨와 함께 박소연 씨의 남한 적응기를 하나하나 따라 가봅니다.

INS - 아들이 휴대전화를 했거든요... 4만 원 이상은 안 빠진데요. 약관은 다 동의하고 1시간 넘게 땀을 짤짤 흘리며 동의를 했어요. 그런데 다음 달엔 요금이 5만6천 9백 원이 나온 거예요. 그 순간에 화가 나서...

소연 씨가 하나원을 나온 아들에게 준 첫 선물은 휴대 전화였습니다. 인터넷도 사용할 수 있는 최신형 스마트폰이었는데 이 전화가 만병의 원인이 돼버렸네요. 전화비가 예상보다 많이 나와서 상점에 따졌더니 판 사람 잘 못이 아니라 잘 못 알고 사용한 소연 씨 잘못이라네요. 소연 씨는 사기라고 펄펄 뛰는데 어떻게 된 얘기일까요.

진행자 : 안녕하세요. 가을입니다.

문성휘 : 이제 시원해졌어요. 살 것 같습니다. (웃음)

박소연 : 너무 좋아요.

진행자 : 날씨는 시원해졌는데 소연 씨는 열 좀 받으셨다고요?

박소연 : 남한 말로 머리 뚜껑이 확 한번 열렸어요.

문성휘 : 왜요? 무슨 일인데요?

박소연 : 문 기자님, 남한에는 왜 이렇게 까다로운 규정이 많아요?

문성휘 : 실지 북한보다 남한에 규정이 너무 많아요... 소연 씨의 말에 공감합니다. 자본주의 세계라는 게 워낙 법 규정이 많습니다. 왜냐면 힘 있는 사람들이 전횡을 부리지 못하게 막기 위해 법으로 규정해 놓은 거죠. 좋은 건데 너무 많아보니 머리가 아플 때도 있습니다.

박소연 : 그런 법도 그렇지만요. 여기 와서 화가 난 이유는요. 아들이 휴대전화를 했거든요... 아이들은 전화기를 쓰기 시작하면 얼마를 써야한다, 요금이 얼마라는 것과 상관없이 한정 없이 쓰잖아요? 상담사랑 얘기를 해보니까 청소년 요금이라는 게 있어서 1-30일까지 전화 사용량을 초과하면 자연히 끊긴데요... 부가세까지 합해서 4만 원 이상은 안 빠진다고 했어요. 그래서 약관에 다 동의하고 1시간 넘게 땀을 짤짤 흘리며 다 수표를 했어요. 그런데 다음 달에 전화 요금이 5만6천 9백 원이 나온 거예요! 그 순간에 화가 나서 알아도 안 보고 그때 그 상담해준 사람한테 전화해서 따졌어요. 왜 이렇게 많이 나왔냐... 화를 내니까 도리어 나한테 화를 내요. 석 달 동안 뭐가, 뭐가 나온다고 설명하지 않았냐고... 그때 알았다고 해놓고 이게 무슨 소리냐고 해요. 일단 저는 몰랐으니까 당신이 4만원이라고 하지 않았느냐고 사기꾼이라고 막 소리치고 크게 싸웠습니다.

문성휘 : 전화 요금은 전화기를 하거나 인터넷을 보는 데만 관계된 얘기이고요. 단말기 그러니까 전화기 값은 따로 나옵니다. 또 초기 1-3달 동안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하는 것들이 있어요. 이건 좀 부당한 건데 전화 회사에서 돈을 벌려고 하는 거죠. 그러니까 무작정 응응 대답만 하지 말고 잘 따져보고 해야 합니다.

박소연 : 사실 대답은 응, 응 잘 했죠...

문성휘 : 그 사람들도 그러도록 유도를 하죠. 역시 그 사람들도 장사꾼입니다. 북한 장사꾼이나 속은 다 같습니다. 다 돈을 벌자는 사람들 아닙니까? 소연 씨, 근데 문건에 다 수표를 했겠죠? 그러니까 이제 뭐 어떡해요...

박소연 : 근데 북한 사기꾼은 사기 친 그 자리를 뜨고 바로 도망을 치잖아요? 남한 사기꾼은 거기에 버젓이 앉아 있을까요?

문성휘 : 그 사람, 절대 사기꾼이 아닙니다. (웃음)

박소연 : 제가 화가 나서 막 사기꾼이라고 하고 인터넷에 막 올리겠다고 했습니다. 화가 나서...

문성휘 : 저도 아직 그런 짓을 많이 합니다. 막 화를 내고 나서 나중에 알아보곤 내 잘못이라는 걸 알고요. 그러니까 그 약관은 다 읽어봐야 하는 겁니다. 그걸 다 읽어 보지도 않았어도 종이에 사인을 했으면 그 책임은 나한테 있는 거고요. 소연 씨가 사인한 이상 판매한 사람에겐 책임은 없는 겁니다. 그러니까 사기를 친 것이 아니죠.

진행자 : 사인 그러니까 수표를 했으면 종이에 가득 인쇄돼 있는 그 많은 규정을 다 알았고 이해했다, 동의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수표 함부로 하시면 안 됩니다.

문성휘 : 그러니까 아직 그런 걸 배우려면 멀었습니다.

박소연 : 그걸 언제나 알겠는지...

문성휘 : 시간이 지나야 합니다. 이제 살아보니까 대충 요령이 생겼어요. 저희 아이들도 그렇고 처음에 온 사람들은 많이 당합니다. 인터넷도 그래, 휴대 전화도 그래... 굉장히 비슷한 경우가 많은데 너무 시끄러우니까 규정들을 읽어보지 않고 그냥 수표를 합니다.

박소연 : 그걸 다 읽자면 밤을 새야겠는데요?

문성휘 : 그러고는 다음엔 돈이 날라 오면 전화를 해서 난리를 피는 겁니다. 내가 언제 돈을 물겠다고 했느냐... 이러면서요.

박소연 : 저는 그랬어요. 딱 확답을 받았어요. 코하고 코가 맞닿을 정도로 앉아서 확답을 받았습니다. 4만 원 이상 안 나오는 거죠? 분명 그 사람이 그렇다고 했다니까요. 제가 뭐 할 수 있는 게 있나요? 목소리도 가뜩이나 예쁘지 않은데 일단 고아댔죠... (웃음) 나중에 다른 영업소에 가서 알아보니까 그 사람 말이 맞더라고요...

문성휘 : 이게 탈북 선배들과 후배들의 차이에요.

진행자 : 아이고... 선배님들도 후배님과 큰 차이는 없는 것 같은데요?

문성휘 : 사실 그렇죠. (웃음) 똑같아요. 저도 집 문제 갖고 얼마 전에 비슷한 일을 한번 치렀네요. 나도 분명 잘 못한 부분이 있는데 당신이 잘못 했다고 막 따지고 그랬습니다. 그리고는 뭔가 물어봐야겠는데 전화를 다시 못하고 있네요. (웃음) 저도 화부터 내는 버릇은 완전히 못 고쳤지만 시간이 지나면 익숙해집니다. 처음엔 너무 규정이 많고 복잡해 이해가 안 되니까 이렇게 복잡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찌 살아가나... 아찔한 생각도 들더라고요.

진행자 : 소연 씨도 그러세요?

박소연 : 저는 전화 이용 고지서를 받는데 딱 그 우리 90년대 노임 딱지 받는 기분이었어요. 총액이 90원이고 부조, 보험, 사로청맹비 얼마... 복잡한 항목으로 다 빠지고 절반이 뚝 잘라서 오는데 딱 그거 보는 기분이었어요.

문성휘 : 근데 자본주의는 노임딱지보다 더 복잡합니다. 텔레비전 하나 사는 영수증도 노임딱지보다 복잡할 겁니다. (웃음) 그런데 뭐가 다르냐... 사회주의는 국가가 다 책임진다, 우리가 이 노임 중에서 요만큼만 내가 쓰도록 허용해줄게...

진행자 : 통보군요.

문성휘 : 그렇죠. 일방적인 통보죠. 자본주의는 우리는 요만큼만 권한이 있다, 전파를 제공하고 휴대 전화 기계 값은 분할해서 받겠으니 동의를 해라... 그 권한을 뺀 나머지 부분에 대해 우리의 동의를 요구하는 거죠.

진행자 : 함정은 있습니다. 그 부분에 상술과 꼼수가 합해지니 그걸 골라내기 힘든 때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낙담하실 건 없어요. 지금 소연 씨 같은 일은 남한 사람들도 많이 겪습니다.

문성휘 : 맞습니다. 애초에 전화기를 파는 사람이 소연 씨에게 설명을 대강했을 수 있어요. 어떤 부분들은 이제 남한 사람들이 상식으로 다 아는 거니까 생략하고 넘어가는데 소연 씨는 모를 수 있었다는 거죠.

진행자 : 파는 사람도 북쪽에서 왔는지 모르고, 탈북자들은 또 몰라서 안 물어보고... 그래서 이런 경우가 생기는 것 아닐까요?

문성휘 : 그래서 안타까운 일도 있죠. 휴대 전화를 할 때처럼, 때때로는 참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에 맞닥뜨리면 '저희들 탈북자입니다' 이렇게 밝힐 때가 있습니다. 탈북자인데요, 그러면 뭘 받아서 적던 사람이 올려다보면서... 사람들 참 여러 부류죠? 어? 북한에서 오셨어요? 아, 이런 건 진짜 모르겠네... 이렇게 얘기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이렇게 올려다보며 에? 탈북자? 북한에서는 휴대 전화 안 써요...이런 소리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거긴 여기하고 규정이 달라요? 이럽니다. 그럼 아주 열불이 나죠.

진행자 : 그건 너무 한심한 경우고요.

문성휘 : 그리고 인터넷 등을 통해 북한에 대한 정보를 많이 접한 사람들, 그런 사람들은 대뜸 압니다. 북한에서 왔구나, 이런 걸 모르겠구나... 애초에 북한 사람들은 몹시 남한에 관심이 많습니다. 자기네 보다 잘 산다니까. 그런데 남한 사람들은 참 관심 없는 사람들 많습니다...

진행자 : 어쨌든 그래도 탈북자라고 하면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까?

문성휘 : 그렇죠. 대부분은 그렇습니다.

진행자 : 소연 씨는 탈북자라고 밝히셨어요?

박소연 : 말하기 전에 알더라고요. 아저씨, 아저씨 그러니까요... (웃음) 무턱대고 아무나 아저씨라고 하고요. 근데 주민등록증이 있으니 조선족은 아니고 그러니까, 어디 샐 데 없죠. 저보고 북한에서 오셨어요? 묻더라고요. 척보면 알린데요. 그래서 이번에 두 번째 석이꺼 할 때는... 아, 우리 아이가 또 스마트폰을 한번 깨먹었어요. 자전거를 타다가...

문성휘 : 그럼 수리하면 되잖아요?

박소연 : 수리할 정도도 못 됐어요. 완전히 박살이 났거든요. 그래서 이번에 딱 제정신을 차렸어요. 두 번째 할 때는 실수 안 하겠다고요. 그 분하고 한번 싸움했으니 이번엔 다른 가게에 갔죠. 점장님한테 물어보니까 원래 이런 경우엔 자기 했던 가게에 가서 다시 하면 좀 싸게 할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쌈했는데 어떻게 갑니까? 못 가고 다른 데 가서 했습니다... 나밖에 손해나는 사람이 없네요. (웃음) 결국 내 손해입니다.

진행자 : 맞습니다. 다 자기 손해죠... 남쪽 사람들도 시시비비를 따지기 전에 일단 화부터 내고 보는 사람 있어요. 그런데 북쪽에서 온 사람들은 그게 열배 정도 심합니다.

문성휘 : 맞아요. 심하죠... 근데 이해할 수가 없으니 열불이 나는 건 어쩔 수 없어요. 북한 사람들은 북한 사람들만의 특징이 있습니다. 북한 같았으면 여자들의 경우엔 일단 머리부터 잡죠, 남자들은 주먹이 날아가죠. (웃음) 그러니까 더 열불이 나죠. 화가 나면 속 시원하게 주먹을 날리면 됐는데...

남쪽에선 속 시원 하자고 주먹을 날렸다간 파출소 그러니까 분주소에 가서 벌금도 내야하고 맞은 사람의 치료비까지 물어줘야 합니다. 한 순간의 화를 참지 못한 값은 톡톡히 치러야하죠.

소연 씨는 전화기 판매원을 사기꾼으로 몰았지만 결국 자신이 잘 몰랐기 때문에 당한 일이라는 걸 알았는데요. 이번 일로 두 가지를 깨달았다고 말합니다.

우선, 절대 수표를 아무데나 쉽게 하지 말 것. 둘째, 남 탓 하지 말 것.. 그러면서 이 남 탓 하는 버릇은 다 김정일 위원장 때문이라는데요? 이 얘기 다음 시간에 이어갑니다.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다음 주 이 시간 인사드리겠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