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박소연 씨는 2011년 11월 남한에 도착한 햇내기 입니다. 무산 출신으로 선전대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30대 중반의 여성인데요. 하나원 교육을 끝내고 본격적으로 남한 생활을 시작한지 이제 근 일 년...
<세상 밖으로> 이 시간에는 남한 정착 7년차, 자강도 출신 탈북 기자 문성휘 씨와 함께 박소연 씨의 남한 적응기를 하나하나 따라 가봅니다.
INS - 아들이 휴대전화를 했거든요... 4만 원 이상은 안 빠진데요. 약관은 다 동의하고 1시간 넘게 땀을 짤짤 흘리며 동의를 했어요. 그런데 다음 달엔 요금이 5만원 6천 9백 원이 나온 거예요. 그 순간에 화가 나서 전화해서 마구 따셨어요...
소연 씨는 예상보다 많이 나온 전화비 때문에 상점 판매원에게 사기꾼이라고 크게 화를 냈습니다. 속 시원히 소리는 질렀는데 결과는 그렇지 않네요. 알아보니 본인의 잘못이 절반 이상이고 손해만 봤습니다. 이 작은 사건으로 본인이 배운 게 많다는데 그 얘기 들어 봅니다.
진행자 : 남쪽 사람들도 문제가 생기면 일단 앞뒤 안 보고 목소리부터 높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북쪽에서 오신 분들은 한 열배 정도 심하신 것 같아요. (웃음)
문성휘 : 맞아요. 그렇습니다. 북한 사람들은 또 문제를 해결하는데 북한 사람들만의 특징이 있죠. 화가 나면 여자들은 머리부터 잡고 남자들은 주먹부터 날리죠.
진행자 : 근데 그러면 뭐가 해결이 됩니까? 그냥 화풀이 하는 거잖아요.
박소연 : 사실 그런 앞뒤를 따지면 그렇게 안 하죠. (웃음) 제가 결혼하기 전에 평양에 강습을 갔는데 강산 청년동맹 강사가 아주 우직하니 몸도 좋고 그랬어요. 당시에 평양 1백화점에서 3단 밥통이 새로 나와서 정말 인기 있었는데 가니까 줄을 죽 섰더라고요. 한 사람 앞에 한 개씩 밖에 팔아를 안 줘요. 그 분이 판매원 보고 3개를 달라고 한 거예요. 판매원이 '손님 안 됩니다, 한 사람 앞에 한 개 밖에 안 된다니까...' 그 분이 판매원한테 주먹을 날렸어요. '저 뒤에 가뜩한 게 안 보이네?!' 그러니까 판매원이 너무 무서우니까 3개 줬어요... 이게 북한 사람이죠. 남한에 와서도 그 표현이 그대로 나오는 겁니다.
문성휘 : 참 씁쓸하죠. 약육강식이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사회라는 거...
진행자 : 그런데 북쪽에선 아무나 목소리를 높일 수는 없지 않아요? 목에 힘 좀 줄 수 있는 사람이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거 아닙니까?
문성휘 : 그러니까 북한에서 못 했던 분풀이를 하는 건지도 모릅니다. (웃음)
박소연 : 오기도 좀 부리는 게 있고요.
진행자 : 그리고 탈북자라고 무시한다는 생각에 더 화를 내시는 건 아닌지... 저는 가끔 그런 느낌도 받아요.
문성휘 : 그렇기도 하지만요.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문제 때문에 자꾸 뭔가 당했구나... 사기를 당했구나... 이런 느낌이 있는 거죠.
박소연 : 그러니까 오해를 하는 측면이 강한 거예요.
문성휘 : 그래요. 네가 나한테 협잡을 쳤구나 하면 그러면 참을 수 없는 화가 나죠. 결국 가서 보면 내가 동의했던 사안이고 내가 몰랐던 거죠. 그러면 그때 가면 화가 사그라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 화가 나요.
진행자 : 왜요? 내 잘 못 인데요?
문성휘 : 무슨 휴대 전화 하나 쓰는데 이렇게도 많은 규정이 있고 복잡하냐... 뭔가 내 잘못은 아니고 다 주변 사람들 잘못인 것 같고요. 내가 그저 그 가운데서 고스란히 피해를 당하는 것 같아서 더 화가 납니다. 금방 왔을 때는 더 그랬었죠. 지금은 오히려 내가 정리해서 물어보고 그러죠.
박소연 : 그건 아시니 물어보시는 거죠. (웃음) 나는 어느 만큼 부딪혀야 그렇게 되려는 지요... 사실 겉멋이 들어서 휴대전화도 학습장만한 걸 끼고 다니는 거죠. 그 기능도 모르고 요금이 많이 나오면 사기를 쳤다고 소리를 지르고요... 진짜 무식한거죠... (웃음)
진행자 : 절대 아닙니다. 이걸 알려주는 학교가 있나요? 그냥 생활하면서 부딪히며 알아가는 것들이니까 결국 살아보면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 그리고 중요한 게 너무 욕심내지 말아야할 것 같습니다.
남쪽 사람들도 모르는 일들이 많습니다. 모르면 모르는 대로 살아가는데요. 오히려 탈북자들이 뭐든 꼭 알아야 할 것처럼, 모르면 큰일인 것처럼 생각하실 때가 많습니다.
문성휘 : 남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는 일이라고 가정하니까 그런 것입니다. 똑같이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 북한에서 살 때 당의 유일사상 체제를 다 외우고 살았습니까?
박소연 : 근데 북한엔 그런 말 있잖아요. 무식은 반동이다... (웃음) 북한은 내가 남새 장사를 한다면 밭에 가서 사와서 거기에다 일원, 이원을 붙여 팔면 되고 수분이 많이 빠질 것 같으면 사람이 안 볼 때 물 휙 치면 되고... 간단하잖아요? 근데 남한은 솔직히 너무 복잡합니다. 우스운 소리지만 제 친구가 이번 여름휴가 기간에 남자친구가 북한에서도 즐겨 못 봤다는데 한번 즐겨보라고 어디 가고 싶은지 말하라고 하더래요. 그래서 친구가 그랬답니다. 알아야 가지!... (웃음) 전 이 얘기 듣고 진짜 많이 웃었는데요. 알아야 이 좋은 세상도 좀 즐기며 잘 살죠. 그리고 또 이렇게 당하잖아요? 사실 당한 건 아니고 지가 몰라 그러고는 상대의 잘못인 것처럼 남한테 덤터기를 씌우고요. 언제까지 남에게 덤터기를 씌울지는 잘 모르겠는데요... (웃음)
진행자 : 지금부터 배우시면 되지요. 여기서 살아오신 날보다 앞으로 살아가실 날이 더 많은데요.
문성휘 : 너무 모든 것에 관심을 갖지 마세요. 이것도 병이에요. 우리 탈북자들 처음 와서 남한에 있는 모든 것에 관심을 갖는데 아직 시작이 멀었고요... 때가 되면 됩니다.
박소연 : 알았어요. 그리고 남하고 자꾸 걸고 들지 말고요. 제 잘못을요...
문성휘 : 그래요 진짜. 우리가 뭘 잘못하는지 먼저 깨달아야하고 내가 너무 욕심을 내는 건 아니냐 너무 앞서 가는 거 아닌가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박소연 : 근데 우리는 문 기자님이나 저나, 우리가 못 사는 게 미국하고 남조선 사람들 때문이다... 이렇게 세뇌 받은 게 영향이 있어요. 여기 와서도 항시 너 때문이라고 남 탓을 해요.(웃음)
문성휘 : 맞아요. 굉장히 영향을 미쳐요. 근데 그게 한두 해에 끝나는 게 아닙니다. 지금 저의 생활을 살펴보아도 그게 상당히 오래 지속됩니다.
진행자 : 진짜 그런 영향이 있단 말입니까? 이것도 남탓 아니고요? (웃음) 사실이라면 남한 사회에서 살아가는 큰 걸림돌인데요. 남한에서는 대부분이 내 책임이잖습니까?
문성휘 : 제가 항상 맞다고 생각하는 말이 있어요. 사람이 환경에 따라 좌우되는 동물이다... 이 말이 딱 맞습니다. 또 한 번 적응한 환경을 쉽게 벗어날 수 없는 게 인간인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태어나서 살아온 북한이라는 땅은 우리한테 거대한 영향을 미쳤고 또 거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 일생 동안 굉장히, 몸부림 쳐야할 것 같아요. 그런 걸 보면 어떤 나라에서 태어나느냐가 굉장히 중요하죠. 왜 북한에서 태어났는지...
박소연 : 진짜 그 말은 사실이에요. 그러니까 우리 탓할 것 없었어.... 이게 다 김정일 탓이에요... (웃음)
진행자 : 근데 그것도 남 탓인데요? (웃음) 남 탓 안 하신다면서요...
소연 씨, 남 탓 안 하는 게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북쪽 사회의 모든 것이 나쁘다고 부정할 순 없습니다. 그렇지만 분명 유일사상체계에 통제되고 폐쇄된 북한 사회는 비틀린 면이 있는데요. 그걸 알고 또 인정했다면 그게 변화의 중요한 시작점이겠죠. 다만 평생을 몸부림 쳐야 겨우 벗어날 수 있다는 문 기자의 말이 무겁게 다가옵니다.
오늘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여기까집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이현주 였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