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무산 출신 박소연 씨는 2011년 남한에 도착해 올해로 남한에서 생활 5년차를 맞고 있습니다. 갖은 고생 끝에 2012년 아들도 남한으로 데려와... 지금은 엄마로, 또 직장인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세상 밖으로> 이 시간은 소연 씨가 북한을 떠나 남한이라는 세상에서 보고 겪은 경험담을 전해드립니다. 남한의 신기한 세상만사를 얘기하다고 보면 떠오르는 고향의 추억들도 함께 나눠 봅니다.
INS - 벌써 졸업 사진을 찍었고요.
이 맘 때 사람들이 제일 많이들 하는 얘기가 시간 참 빠르다, 세월 참 빠르다... 이런 말일 것 같습니다. 그 시간 속에 우리에게 남겨 진 것 있는지, 빈손으로 시간만 흘려보낸 건 아닌지... 매년 이 시간엔 우리 모두, 같은 마음이 아닐까 싶습니다.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저희 세 사람도 오늘 세월 빠르다... 이 얘기 많이 했네요. 소연 씨가 벌써 졸업이랍니다.
진행자 : 안녕하세요. 날씨 추워지는데요?
문성휘 : 안녕하세요.
박소연 : 안녕하세요. 밖에 눈 옵니다.
문성휘 : 지금 눈이 옵니까??
진행자 : 진짜 사무실에 앉아 있으면 눈이 오는지 어쩐지 모르는 때도 많죠.
박소연 : 그렇죠? 저는 이제 막 눈 맞으며 밖에서 들어왔으니까 알죠.
문성휘 : 진짜 휴가랑 받으면 2-3일 동안 밖에 안 나갈 때도 있습니다. 화장실 집 안에 있겠다, 인터넷 되겠다...
진행자 : 문 기자 집 참 좋아하시네요. (웃음)
박소연 : 남북이 좀 달라요. 남한은 여자들이 집에 박혀있으면 집순이고 집 안 살림 잘 한다고 하는데 북한은 여자가 집에만 있으면 맨날 집에 쳐 박혀 있다고 욕해요.
문성휘 : 욕먹지. 맞지.
박소연 : 맹하다는데요! 공기만 먹고 죽만 마시고 사나... 나가서 떨어야 돼요. 그래야 돈이 들어오죠.
진행자 : 남존여비 사상이 많이 깔린 말이긴 한데 여자가 밖에 나가서 치마 바람 날리면 안 좋다... 이런 식의 얘기를 많이 했죠. 남쪽에서 옛날에는요. (웃음)
문성휘 : 북쪽도 옛날에는 그랬습니다.
박소연 : 여자하고 도리깨는 안 돌린다고. 하지만 이젠 안 돌리면 굶어 죽는데 어떡해요?
진행자 : 요즘은 안 나가고 돈 못 버는 여자는 못났다고 평가되는 시절인데요. 좀 억울한 면도 없지 않습니다. (웃음) 세상은 이렇게 바뀌고 시간도 빠르게 흐르고 있네요. 소연 씨 아들도 벌써 초등학교 졸업이죠?
박소연 : 아들만 졸업한 것이 아니라 저도 대학 졸업했습니다.
진행자 : 네? 소연 씨 벌써 졸업하십니까? 소연 씨야 말로 들어갔다는 얘기 들은 것이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박소연 : 이 방송을 거의 시작하면서 들어갔으니까 벌써 4년이 됐다는 거죠.
진행자 : 소연 씨가 다니는 대학이 사이버 대학.
박소연 : 네, 집에서 인터넷으로 공부하는 대학이죠.
진행자 : 그래서 저희가 그 때 인터넷 강의가 듣기 어렵다, 시험 보는 것도 쉽지 않다... 이런 얘기 했던 게 기억이 납니다.
박소연 : 좀 부끄러운 일이지만 초반에는 점수가 꽤 괜찮았는데 4학년에 오면서 점수가 보통입니다. (웃음) 일에 치우치다보니 그랬는데요. 어쨌든 낙제하지 않고 올라가서 이번에 학사모를 쓰고 졸업 사진도 찍고 했습니다.
문성휘 : 아이고... 우리 딸아이도 처음에는 학점이 좋던 것이 점점 낮아지고. 보기만 하면 화가 나 죽겠습니다.
진행자 : 어쨌든 소연 씨는 점수 나쁘다고 누가 혼낼 사람이 있나요... 그냥 자기 공부니까, 자기가 자기 사진을 다독거리며 가는 거죠. 만족하십니까?
박소연 : 정말 만족합니다.
문성휘 : 근데 졸업을 벌써 해요?
박소연 : 아, 졸업은 2월에 하는데요. 먼저 졸업 사진을 찍어요. 북한은 졸업식 할 때 졸업 사진을 찍는데 남한은 먼저 찍어서 사진첩도 만들고 김일성 김정일 초상화처럼 크게 액자를 만들어 줘요. 학사모... 대학교 졸업했다는 그런 모자를 쓰고 독사진을 찍고 그걸 액자로 만들어 주는 거죠.
진행자 : 학사모라고 해서 모자 위쪽이 네모나게 판판한 모자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서양에서 들어온 관습인 듯 한데요. 학교 졸업식에 쓰는 모자입니다. 아마 청취자분들도 영화에서 혹시 그런 장면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학교 졸업식에서 졸업생들이 모자를 벗어서 하늘로 휙 던지는...
문성휘 : 맞아요. 저도 옛날에 그런 모자를 영화에서 본 적이 있는데 교회에 있는, 기독교나 어디 그런 종교에 관계된 사람들이 쓰는 모자라고 생각했네요.
진행자 : 남쪽은 학사모 쓴 사진이 대학을 졸업했다는 증거? 표시로 여겨진 적도 있었어요. 지금이야 대학 졸업자가 워낙 많으니까 그렇지 않지만 한 때는 꼭 집에 걸어놓고 또 졸업식 날엔 부모님께 꼭 학사모를 쓰게 해서 사진도 찍고 그랬습니다.
문성휘 : 저는 너무 어색했습니다. (웃음) 저도 여기 와서 학교를 이 곳, 저 곳을 졸업했으니까... 써봤는데 쓸 때마다 약간 어울리지 않는 것 같아서.
박소연 : 저희도 남자들은 어울리지 않아 막 그러는데 여자들은 입고 피아노 옆에서 사진도 찍고 막 그랬네요. (웃음) 그거 보면서 남자들은 남북이 다 비슷하구나 했습니다.
진행자 : 무슨 과 였죠?
박소연 : 사회 복지학과였고요. 많이 배웠죠. 한 강의가 1백 60분인데요. 그거 듣기도 힘들고 리포트라고 하나요? 선생님이 내주는 일종의 과제물이에요. 그걸 8-9장 짜리를 과목 6개에 써서 내려면 힘들었어요. 나중에 요령을 알아서 글만 쓰는 게 아니라 사진을 막 중간에 넣어서 양을 채우고...(웃음) 그래도 점수는 나오던데요? 그래도 공부하면서 사회복지라는 게 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노인과 아이들에 대해서도. 배운 것이 너무 많습니다.
진행자 : 그러네요... 근데 진짜 졸업은 소연 씨가 했는데 왜 제가 기분이 이상한가요? (웃음) 시간 참 빠르다 하는 생각도 들고요.
박소연 : 그리고 저, 내년에는 대학원 가려고요. 이미 알아봤고요.
진행자 : 어떤 공부를 하려고요?
박소연 : 북한 사회요. 정치 말고 사회요. 제가 암만 여기 와서 글도 쓰고 방송도 하지만 내가 알던 북한은 내가 살던 동네뿐이라는 걸 알았습니다. 전체적인 틀에서 어떤 체계에 의해서 움직였고 어떻게 조직된 국가인지 알고 싶어요. 그리고 학사를 땄으니 이제 석사도 따고 싶고.... 알고 싶고, 배우고 싶어요.
문성휘 : 참 이상한 걸... 이제 그만 배우세요!
박소연 : 안 돼요. 더 알고 싶습니다. (웃음)
문성휘 : 아니 그게 아니라...
박소연 : 배우고 배우고 또 배우고 싶습니다! 저는 북한에서 밀수를 했어요. 남한에 와보니까 북한의 밀수에 대한 글이 많은데 체계적으로 정리한 글은 없었습니다. 어떻게 시작했고 밀수가 어떻게 발전했고 사람들이 어떻게 먹고 살았는지, 이거 바로 내가 써야할 글이구나 생각했습니다.
진행자 : 그런데 소연 씨, 북쪽에서 공부를... (웃음)
박소연 : 안 했죠. (웃음) 여기 와서 관심이 생겼어요. 거기는 풍각재질 했죠. (웃음) 농사전투로! 막 이러매. 제가 참 수준 없는 일을 하다 왔다는 자각이 생겼고 그래서 체계적으로 뭔가를 배우고 싶습니다. 그리고 제가 항상 제 직업에 있을 수 없잖아요? 60세까지는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을 때 적어도 석사 정도는 쥐어야 할 것 같아서... 근데 문 기자님은 왜 이렇게 아까부터 아스피린 풀어먹은 인상이에요!
문성휘 : 말이 실감나지 않으니까... 다 초자 돼서 저래요. 경험이 없어서... (웃음) 나도 금방 왔을 때는 몇 년간 그 처지였습니다.
박소연 : 그 때 대학원 다니지 않으셨습니까?
문성휘 : 네!
박소연 : 그러니까 제가 그 길을 그대로 가는 겁니다. (웃음)
문성휘 : 그건 맞다... 저도 정말 그러고 보니 개구리 올챙이 때 생각 못 한다고 컴퓨터 디자인도 공부하고 회계사 자격도 따고 무슨, 무슨 학교를 다니고... 그때는 저도 참 뭘 할지 모르고 불안하고 그래서 이런 저런 공부도 하고 자격도 따고 그랬네요.
박소연 : 아마 저도 제가 문 기자 위치에 있으면 후배한테 다 부질없다~ 아마 이러겠지만요. 그런 날이 올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웃음)
5년이 금세 갔으니 소연 씨, 그런 소릴 할 날 곧 오겠네요.
지난 방송을 찾아보니까 소연 씨가 대학을 가기로 했다면서 방송에서 얘기한 것이 2013년 10월이네요. 4년 만에 졸업하는 탈북자들이 드물어서 6년 안에는 대학을 꼭 졸업하겠다 다짐을 했고 대학을 가겠다고 마음먹은 이유는 아들을 위해서라고 했습니다.
엄마가 열심히 사는 모습을 보면 남한에 막 도착한 아들이 잘 따라와 줄 것 같다고요.
시간이 약, 세월은 뾰족했던 바위도 무디게 만드는데요... 우리가 늙고 나이가 들어도 시간이 가는 게 꼭 나쁜 일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오늘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여기까지입니다. 나머지 얘기는 다음 시간에 이어가죠. 지금까지 박소연, 문성휘 그리고 이현주였습니다. 함께 해주신 청취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