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같은 세상’

0:00 / 0:00

북한의 은어와 유머를 통해 북한사회를 이해하는 '김광진의 대동강 이야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김광진씨가 전해드립니다.

개는 인간의 삶과 떼어놓을 수 없는 존재입니다. 그것은 북한도 마찬가지입니다. '삼복더위에 국물이 발잔등에만 떨어져도 보약이 된다'는 말도 있듯이 북한에서는 최고의 보신탕이 단고기입니다. 최고지도부도 이 보약은 거부할 수 없는 유혹입니다.

장성택행정부장이 맡아보던 인민보안부는 옛날에 유명했던 단고기집을 다시 복원해 김정일을 한번 '모시려고' 혁명자금까지 할당받아 식용 개 목장을 건설했습니다. 그리고 사료도 혁명자금으로 사왔죠. 그래서 마침내 김정일 현지지도를 이끌어내는 쾌거를 이루어냈습니다.

통일거리에는 유명한 단고기 식당이 있습니다. 부위별로 요리가 나오고 남한사람들의 단골 관광코스로까지 활용되었었죠.

사실 단고기에 대한 혐오증은 세계적으로 매우 큽니다. 그래서인지 남한에서도 보신탕집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개는 사람들과의 생활과 너무 밀접해 있기 때문에 관련된 언어도 크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특히 욕과 관련된 표현이 특별히 많은데요, 북한에는 이를 지적하는 만담도 있습니다. 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의 생활에 크게 보탬이 되는 존재인데 욕설에만 많이 쓰는가하는 내용이죠.

'5-6월 감기는 개도 걸리지 않는다.' 사람이 감기에 걸리는 것을 왜 개와 비유해 말합니까?

'개판. 개과천선. 개는 짖어도 행렬은 간다. 그늘아래 개 팔자. 개가 똥을 가리랴. 명동에서 뺨맞고 개배때기 찬다.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믿는 개에 발뒤꿈치 물린다. 수캐처럼 싸다닌다.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개도 먹을 때는 안 때린다.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저 먹자니 싫고 개주자니 아깝다. 죽은 양반 산개만도 못하다,' 이렇게 꼽으라면 끝이 없을 겁니다.

개에 대한 이 같은 욕은 개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적대적인 정치인, 나라, 체제에도 따라 다닙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개 같은 세상'이죠. 자본주의가 '개 같은 세상'이라면서 개에게 우유목욕을 시키고, 화장을 하고, 옷을 입히고, 시계를 채우는 것을 소개하면서 자본주의사회는 사람이 개보다 못하다고 있는 욕을 다 하군 했죠.

그러던 북한에서 요즘 애완용개 키우기가 한창 유행이라고 합니다. 그것도 자기의 부를 과시하는 상징이라면서요. 부인들인 특히 많이 키운다고 하는데 한 마리에 수백 달러씩 들여 산다고 하죠.

엘리트계층의 애완견 문화는 일반주민들의 공분을 산적도 있습니다. 90년대 말 부화방탕으로 혁명화를 간 적이 있는 최룡해는 김정일에게서 선물 받은 개를 가지고 가 중국산 소시지만 먹여 주변사람들의 돌팔매질을 받기도 했었죠. 사람도 먹을 고기가 없는데 개에게 고급 소시지만 먹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개 문화가 지금은 급속히 엘리트계층으로 확산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개에 대한 나쁜 욕설만 있는 게 아닙니다. 인간의 심금을 자극하는 이런 말들도 있습니다.

'평균적인 개는 평균적인 사람보다 훨씬 품성이 좋다.' '개와 함께 살아보지 않은 사람은 사랑이 무엇인지 충분히 이해할 수 없다.' 정말 가슴 뜨끔한 말들이죠?

'대동강 이야기'의 김광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