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의 현실과 생생한 소식을 전해드리는 RFA, 자유아시아방송의 '북한은 오늘'입니다. 이 시간 진행에 문성휘입니다.
한국 정부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도입에 반발해 김정은 정권이 또 막말 포탄을 터뜨렸습니다. 11일 북한 인민군총참모부 포병국은 '중대경고'를 통해 사드 배치는 미국을 등에 업고 북침을 이뤄보려는 극악한 동족대결이라고 한국 정부를 비난했습니다.
인민군총참모부 포병국은 "세계 제패를 위한 미국의 침략 수단인 '사드' 체계가 남조선에 틀고 앉을 위치와 장소가 확정되는 그 시각부터 그를 철저히 제압하기 위한 우리의 물리적 대응조치가 실행될 것"이라고 조선중앙통신으로 보도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중대경고'를 왜 인민무력부나 전략로케트군이 발표하지 않고 인민군총참모부 포병국이 발표했는지 의문이 듭니다. 인민군총참모부 포병국에 사드 배치지역까지 타격할 사거리를 가진 무기가 있는지부터 묻고 싶습니다.
한국 국방부가 미국의 요격미사일인 사드를 배치하기로 결정한 날짜는 지난 8일입니다. 공식결정이 난지 나흘 만에 뜸을 들이고 '중대경고'를 내놓았다는 게 인민군총참모부 포병국입니다. 포병국은 북한 정권을 대변할 수 있는 조직이 아닙니다.
북한 언론들도 사드배치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는데 사드가 어떤 요격무기 체계인지는 전혀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드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면 북한 인민들 앞에서 김정은 정권의 체면이 구겨지기 때문이 아닐까하는 의심이 가는 대목입니다.
단순히 사드뿐이 아닙니다. 한국 정부는 이미 패트리어트급 중고도 요격미싸일을 국산화했고 사드를 능가하는 고고도 요격미사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사드에 벌써부터 기겁을 했다면 앞으로 사드보다 더 위력한 한국의 요격무기엔 어떻게 대처하겠는지 벌써부터 궁금해집니다. '북한은 오늘' 시작합니다.
'200일 전투'에 나선 북한이 주민들의 사기를 북돋기 위해 온갖 선전선동 수단들을 다 동원해 보았지만 그다지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흐트러진 민심을 달래려다 안 되니까 이제는 주민들에게 협박과 공갈을 일삼고 있다고 하는데요.
북한은 "5월 중순부터 갑자기 국가안전보위부 '109 상무'를 통한 검열을 시작한 가운데 동시에 검찰과 인민보안성도 공장기업소, 주민들에 대한 경제감찰을 시작했다"고 현지의 한 소식통은 밝혔습니다.
얼마 전 북한 함경북도 청진시에 있는 예술전문학교 졸업반 여학생 한명이 '109 상무'의 검열에 단속되자 23살이라는 꽃다운 나이를 버리고 자살로 생을 마감한 사건도 우리 자유아시아방송을 통해 생생하게 보도된바 있습니다.
그런데 이와 관련 최근 북한 현지의 소식통들은 국가보위부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계속 검열바람이 불고 있는 이유는 각 도 중등학원을 중심으로 주민들속에 크게 확산되고 있는 불법가요들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국가보위부는 불법가요를 지어 낸 개인이나 조직을 색출하기 위해 어린 학생들까지 잡아다 고문하는 비인간적인 행위를 자행하고 있다고 그들은 폭로했습니다. 북한 중등학원들을 중심으로 주민들속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불법가요는 출처가 전혀 알려지지 않은 저항가요들이라고 소식통들은 언급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 가요가 북한에서 비밀리에 만들어진 어떤 반정부 조직이 지어냈다는 주장도 있고 또 한편으로는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칠보산전자악단'이 부르던 노래가 외부로 새어나왔다는 주장들도 있다고 그들은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불법적인 노래가 유행하기 시작한 시기에 대해서도 "이미 몇 년 전부터 전국을 방황하는 부모 없는 꽃제비들속에서 불려졌다"고 한 소식통은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소식통은 "예전에도 비슷한 노래들이 있었지만 국가보위부가 출처를 찾기 시작한 노래들은 최근 청소년들속에서 새롭게 유행하는 노래"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국가보위부가 출처를 찾는 노래는 '나는 방랑자입니다', '순희의 노래', '꽃(성) 파는 처녀의 눈물'이라고 제목까지 밝혔습니다. 특히 소식통은 국가보위부가 검열하고 있는 '나는 방랑자입니다'와 '순희의 노래' 가사를 전했습니다.
소식통이 보내온 노래 제목과 가사는 모두 2절까지로 다음과 같았습니다. 우선 '나는 방랑자입니다'라는 노래가사입니다.
나에게는 누나가 있습니다. 나의 기억속에 살고 있습니다. 저녁이면 내 손에 무언가 먹을 것을 따뜻이 쥐어주던 누나, 아빠 엄마는 없어도 누나가 있어 나는 항상 행복했습니다. 누나가 있어 웃음이 나고 누나가 있어 마음이 든든했습니다. 지금은 나 혼자입니다. 지난 겨울 누나는 나를 떠났습니다. 작음 가슴에 나를 꼭 껴안고.
누나가 바라보던 저 하늘 누나의 얼굴에 피었던 그 미소. 나는 방랑자입니다 세상이 모두 버린 목숨입니다. 누나까지 떠나갔어도 내 심장은 아직 누나를 품고 있습니다. 오늘밤도 하염없이 구름을 보며 누나의 잠자리를 만듭니다. 귀뚜라미 소리는 누나의 노래, 저 멀리 별은 누나의 눈동자, 하늘이 지붕이고 땅이 나의 잠자립니다.
소식통이 전한 '순희의 노래' 가사입니다.
두고가는 고향 하늘 바라보며 가슴을 치며 운지 몇해. 그까짓 돈 몇 푼 벌고 싶어서 여기 저기 장사를 떠다녔습니다. 그러나 쉬지 않고 걸어야 할 순이는 배고픔에서 벗어나는 것이 그것이 곧 소원입니다.
열다섯 교복을 벗어던지고 병든 부모 어린 동생 떠나며 혼자 벌어 공부하고 싶어서 학교가고 싶어 울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쉬지 않고 걸어야 할 순이는 배고픔에서 벗어나는 것이 그것이 곧 소원입니다.
그런데 국가보위부가 이 노래의 출처를 찾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오히려 노래가 더 널리 확산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언급했습니다. 또 이 노래가 통전부 산하 '칠보산전자악단'의 노래인지를 놓고도 많은 논란이 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한 소식통은 "국가보위부가 찾는 노래는 분명 '칠보산전자악단'이 만든 음악은 아니다"면서 "만약 '칠보산전자악단'이 부른 노래라면 사법기관들이 노래를 금지시키면 되는 것 아니겠냐"고 반문했습니다.
"국가보위부까지 동원해 노래의 출처를 찾아 수사한다는 것은 지금 류행하는 불법가요가 어떤 비공식적인 집단이 만든 노래임을 뜻한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오늘'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청취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지금까지 RFA, 자유아시아방송 문성휘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