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 세상] 치적사업 집중하는 평양, 지방주민의 삶은 궁핍

2012년 11월 혜산시의 한 경비초소 앞에 앉아 있는 성인 꽃제비(사진 위)와 혜산시장에서 음식을 데우는 불에 손을 녹이고 있는 여자 꽃제비.
2012년 11월 혜산시의 한 경비초소 앞에 앉아 있는 성인 꽃제비(사진 위)와 혜산시장에서 음식을 데우는 불에 손을 녹이고 있는 여자 꽃제비. (사진-아시아프레스 제공)

0:00 / 0:00

북한에 계신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을 중심으로 미국과 한국 등 국제사회에서 일어난 일들을 통해 북한의 정치와 경제, 사회를 엿보고 흐름과 의미를 살펴보는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입니다.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 <오늘의 초점>으로 시작합니다.

<오늘의 초점>

일본의 언론매체인 아시아프레스의 내부 협력취재자가 촬영한 양강도 혜산시의 혜산시장 영상에서 많은 꼬제비(꽃제비)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어린이는 물론 성인 꼬제비도 적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북한 지도부가 평양 시내에 공원과 유희시설을 중심으로 건설공사에 집중하는 동안 지방의 북한 주민은 여전히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른바 '평양 꾸미기'는 김정은 제1비서의 치적 쌓기지 민생을 위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촬영한 위성사진에서 평양을 들여다보니 여전히 평양 시내 곳곳에서 크고 작은 공사가 진행 중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공원 조성이나 스케이트보드 공원을 만드는 등 오락시설 위주인데요, 공사에 동원된 북한 주민, 군인들의 피로와 허탈감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이시간에 다룰 <오늘의 초점>입니다.

- 11월 촬영한 혜산시 내부 영상 속 꼬제비(꽃제비)
- 성인 꼬제비, 어린 꼬제비 많이 목격돼
- 각종 편의시설의 화려한 평양과 달리 궁핍한 지방
- 김정은의 치적 쌓기, 민생과 관련 없어


일본의 언론매체인 '아시아프레스(ASIAPRESS)'가 11월, 내부 취재협력자를 통해 양강도 혜산시의 혜산시장과 시장 인근의 골목, 그리고 혜산청년역 앞의 모습을 촬영했습니다.

영상 속에는 장사에 열심인 혜산시장의 상인들 뒤로 꼬제비들이 허름한 모습으로 삼삼오오 모여 있습니다. 꼬제비의 대부분은 아이들이지만, 성인 꼬제비도 보입니다.

'아시아프레스'가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제공한 사진에는 경비초소 앞에 쪼그려 앉아 있는 성인 꼬제비, 그리고 혜산시장에서 음식을 데우는 불에 손을 녹이는 여자 꼬제비의 모습이 담겨있습니다.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북한의 유일한 지도자가 된 뒤 평양에 고층 아파트나 유원지를 건설하고 외국의 언론매체를 초청해 북한 정권의 안정을 국․내외에 선보여 왔는데요, 하지만, 지방의 북한 주민은 여전히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고 꼬제비들도 적지 않은 것이 최근 촬영된 내부 영상을 통해 확인됐다고 '아시아프레스'는 전했습니다. 치적사업의 결과로 화려하게 선전되는 평양의 모습과 대조적인데요,

북한의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7월 26일 김정은 제1비서가 미니골프장, 곱등어(돌고래)쇼장 등을 갖춘 대형오락시설, 평양 능라인민유원지의 준공식에 참석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밖에도 김정은 제1비서는 집권 이후 꾸준히 평양 10만 호 주택건설과 김정일 동상건립 등을 비롯해 스포츠나 오락 시설, 그리고 우상화 작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는 김정은의 치적 쌓기에 지나지 않고, 민생과는 관계가 없다는 것이 이번 내부 영상을 통해 밝혀졌다고 아시아프레스 오사카 사무소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는 지적했는데요, '아름다운 평양'을 연출하기 위해 건설과 우상화 사업이 집중되는 평양과 달리 지방의 주민은 여전히 경제난에 시달리며 다가오는 혹독한 추위를 견뎌야 한다고 이시마루 대표는 덧붙였습니다.

이시마루 대표는 이미 여러 차례 북한의 대표적인 곡창지대인 황해도뿐만 아니라 여러 대도시에서도 꼬제비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한 바 있는데요,

[Ishimaru Jiro] 황해도가 북한의 대표적인 곡창지대인데 식량 위기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들리고 있습니다. 사리원, 해주 등 도시로 나가 역전에서 구걸하는 사람도 생기고 있습니다. 대도시의 장마당이나 역전에 꼬제비가 많아졌다는 정보는 계속 접할 수 있습니다.

도시의 하층민들이 주로 종사하는 되거리꾼의 생활이 악화하면서 꼬제비가 되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거죠. 지금 대도시의 장마당, 역전 대합실에는 꼬제비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게 됐는데요...

최근에도 조선중앙통신을 비롯한 북한의 언론매체들은 주민편의시설인 '류경원'과 인민 야외빙상장, 그리고 롤러스케이트장 등이 준공됐다고 보도했으며 평양 시내에 여러 종류의 맥주와 커피, 빵 등을 즐길 수 있는 대형 매점이 개정해 주민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는데요, 이마저도 일반 북한 주민에게는 '그림의 떡'에 불과합니다. 또 이같은 '평양 꾸미기'는 북한의 전시성 사업의 성격이 짙다고 보는 견해도 있는데요,

이렇듯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소개되는 평양의 변화상과 달리 지금도 각 지방의 도시와 농촌에서 추운 겨울을 맞아 난방과 식량을 해결하지 못하는 꼬제비가 늘고 있다는 사실은 정말 북한이 바뀌고 있는 것인지, 그렇다면 무엇이 변하고 있는 것인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여러분께서는 노정민의 <라디오세상> 듣고 계십니다.

위성사진에서 본 평양시의 공사장 모습.
위성사진에서 본 평양시의 공사장 모습. (사진-구글 어스 캡쳐)

=평양 곳곳은 아직도 공사 중

- 위성사진 속 평양 곳곳에 크고 작은 공사
- 금수산기념궁전, 스케이트보드 공원 등
- 동원된 북 주민과 군인, 심각한 피로와 허탈감


미국의 위성사진 업체 '지오아이(Geoeye Satellite Imagy)'가 지난달 촬영한 평양 시내의 일부 사진을 살펴봤습니다. 여전히 곳곳에서 크고 작은 공사가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평양의 능라도 5.1경기장의 건너편에는 대규모 공사가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곳곳에 중장비와 크레인 등이 눈에 띄며 한눈에 보기에도 매우 넓은 지역에서 공사가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의 위성사진 전문가인 커티스 멜빈 씨도 이곳에서 새 공사가 진행 중임을 알 수 있지만 무엇을 짓고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I see there is some new construction on the river shore, however, I do not know what it is.)

이렇듯 위성사진을 들여다보면 지금도 북한 전역 곳곳에서는 크고 작은 공사가 계속 진행 중인데요, 우선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 앞에서 대규모 공원을 조성하는 공사가 이뤄지는가 하면 평양청년회관 옆에는 제법 큰 규모의 스케이트보드 공원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보기)

이전에 없던 곳에 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동상이 세워지는가 하면 곳곳의 공원에서도 개보수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북한의 언론매체도 지난달 "시내 수십 개의 공원에 롤러스케이트장과 미니 골프장 등 운동장을 건설하고 여러 가지 체육운동기구들을 설치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는데요, 평양 시내를 아름답게 꾸미는 일은 수년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공원 조성과 유희시설, 운동장 건설에 집중된 평양 꾸미기는 북한 주민에게 상대적 박탈감과 함께 극도의 피로감을 주고 있는데요, 특히 '금수산태양궁전' 공사는 올겨울 내내 계속해야 할 것으로 보이고 대규모 건설공사에 오랜 기간 동원됐던 군인들은 피로와 허탈감을 호소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옵니다.

한국의 연합뉴스는 최근 평양에 집중된 건설 사업이 평양 시민의 불만을 무마하려는 목적과 함께 전시성일 성격이 짙으며 핵심 지지층을 결집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는데요, 하지만, 평양 꾸미기에만 집중하면서 발생하는 빈부격차와 지역 양극화는 김정은 체제의 또 다른 불안요소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 오늘 순서는 여기서 마칩니다. 다음 시간에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정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