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인물을 만나보는 RFA초대석. 진행에 전수일 입니다.
미국 동부의 최대 도시 뉴욕에는 연변과 그밖의 중국 지방에서 온 조선족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미국 정착에 필요한 영어를 오랫동안 가르쳐 온 조재석 씨. 한 때 탈북자를 도운 적이 있는 그는 더 많은 탈북 동포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싶지만 이들이 영어 배우기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는 것을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조명기구 사업에 분주한 가운데서도 6년째 영어 가르치기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조재석 씨를 전화로 만나봤습니다.

전수일 기자
: 배우는 분들 대부분이 조선족들이라고 하셨죠?
조재석
: 저는 시작은 조선족만을 위해 했는데 현재는 클래스가 여러개 있습니다. 조선족을 위한 클래스가 있고 조선족과 한국인이 함께하는 클래스도 있습니다.
전
: 조선족 몇명정도가 배우러 옵니까?
조
: 조선족 반에는 7명이 있고, 다른 반에 몇 명이 또 있습니다. 한국사람과 같은 반에서 공부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전
: 조선족 분들의 연령층은 어떻게됩니까?
조
: 신설한 조선족 반 학생들은 20대 후반 30대 초반입니다. 다른 반에 있는 조선족은 4,50대가 더 많습니다. 지난번 졸업시킨 사람들은 대부분 4,50대였습니다.
전
: 이 분들의 직장은 어떤 것들입니까?
조
: 뉴욕에서는 제일 많은 것이 손톱가게 네일살롱입니다.
전
: 손톱가게가 무얼 하는 곳인지 설명해 주시죠.
조
: 미장원에서 손톱 다듬어 주고, 가짜 손톱 붙이고, 매니큐어 칠 해주고, 손톱 처리하면서 맛사지도 해줍니다.
전
: 그러면 조선족 학생 중에는 여성들이 많은 모양입니다?
조
: 여자들일 경우 네일살롱이 제일 많고, 두번째로는 식당에서 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영어가 안되기 때문에 대부분 한국인 식당에서 일합니다. 조선족 남자의 경우 건축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제일 많습니다. 학생 수는 여자가 더 많습니다. 영어를 가르치게 된 계기는 조명등 만드는 장사를 하면서 구인광고를 내면서였습니다.
조명등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인데, 이걸 만드는 일을 도와줄 사람을 구하는 광고를 내면서 영어를 할 줄 몰라도 된다고 썼습니다. 그러니까 조선족분들이 많이 구직하러 왔습니다. 한국인들은 아무리 영어를 잘 못한다고 할지라도 기초는 있습니다. 알파벳이나 숫자 등은 알고 이를 영어로 소통할 수 있는데 조선족 분들은 우리가 마치 소련말 모르 듯 영어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몰랐습니다. 그래서 이분들이 미국에 정착해 살려면 영어가 필요하겠다고 생각해서 영어를 가르치게 됐습니다. 영어가 안되기 때문에 미국 직장에 가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전
: ‘무료왕초보’ 영어교실이라고 돼있는데요, 무료라는 것은 돈을 안 받고 하는 봉사활동이란 뜻이겠죠?
조
: 그렇습니다.
전
: ‘왕초보’는 말은 영어를 완전 기초수준부터 가르친다는 말일 텐데요.
조
: 한국분들은 진도를 빨리 나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조선족 중국사람들은 에이비씨부터 가르쳐야합니다. 그래서 한국인과 같이 가르칠 경우 진도가 맞지않아 조선족분들이 불만이 많습니다. 따라가기가 어려운 것이죠. 이분들은 처음부터 영어 지식이 없는 것이라서 한국분들과 차이가 있습니다.
전
: 가르치시는 건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등을 모두 다 포함합니까?
조
: 그렇습니다. 다 가르칩니다. 제가 가르친 지 5, 6년이 되면서 느낀 것인데요, 청소년, 청년 등 20대 젊은이들에게는 문법에 상관없이 회화 위주로 가르치면 좋습니다. 하지만 4,50대 분들에게는 회화를 가르치는 게 도움이 안됩니다. 머리가 굳어져 기억을 잘 못합니다.
전
: 조선족 분들이 일단 미국에서 살려면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해야 할 텐데요, 먹고 자고 입고하는데 필요한 말이나 물건 사고팔고할 때, 교통수단 이용할 때 등의 소통에 필요한 말, 이런것 들도 가르치십니까?
조
: 지금 신설한 반 학생들은 BE동사도 모르는 사람들입니다. 지금 조선족 클래스의 순서가 기초적인 것을 끝난 다음에 회화를 시작합니다. 비동사, 해브동사 일반동사 현재 과거 미래 등의 기본 문법을 알려준 다음에 일상 회화에 들어갑니다. 처음부터 회화를 할 수는 없습니다.
전
: 가르치시는 입장에서 실제 영어를 잘 못하는 조선족이 영어 배우는데 가장 어려워 하는 점은 무엇입니까?
조
: 이 분들은 복습할 시간이 없다는 것입니다. 먹고 사는데 바빠서입니다. 조선족 중에 영어를 배우러 오시는 분들 대부분이 성실한 사람들입니다. 바쁜 중에도 일 끝나고 저녁에 와서 공부하려는 분들이죠. 그런데 복습을 하지 않아 그게 제일 답답합니다. 지난번 졸업반의 경우 한번 한 공부를 다시 반복했습니다. 복습이 부족해 다시 새로 공부하자고 했더니 다들 좋아하더라구요. 피곤하니까 복습을 못하는 게 가장 안타깝습니다.
전
: 한 때 탈북자도 배우러 온 분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조
: 저는 그 사람이 탈북자인지도 몰랐습니다. 제게 배우러 와서는 서류를 번역해 달라는 부탁을 했었습니다. 그래서 번역을 해주었는데 그 다음부터는 오지 않더군요. 추측건대, 영어를 가르치는 선생님이니까 자신이 탈북자임을 알아도 믿을 수 있겠다 싶어서 그런 부탁을 했던 것 같습니다.
전
: 탈북자들은 주위에 대해 의심과 불안감이 많은 모양이죠?
조
: 번역한 서류를 가지고 그 탈북자를 밖에서 만났습니다. 쓸데없이 두리번거리는게 생활화된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중국에서 쫓겨 다니다 미국에 온 분이라서인지 뭔가 불안한 것이 몸에 익은 것 같았습니다. 상당히 측은했습니다.
전
: 조 선생님은 특히 탈북 동포들을 가르치고 싶어 배울 사람을 찾고 있다고 하셨는데 왜 그런 생각이 드십니까?
조
: 영어를 중급으로 하는 사람을 고급으로 올리는 것 보다는 아무것도 모르는 분을 가르치는 것이 성취감이 더 많습니다. 특히 탈북자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사람 모두가 연민의 정이 있지 않습니까?
RFA 초대석, 오늘은 미국 동부의 최대 도시 뉴욕에 거주하는 중국의 조선족 이민들에게 정착에 필요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조재석 씨의 얘기를 들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