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A 초대석] 북에 우유보내기 사업 돕는 소아과 전문의 이하성

0:00 / 0:00

화제의 인물을 만나보는 RFA초대석. 진행에 전수일 입니다. 북조선의 어린이들에게 우유를 지원하는 한국 민간단체 '함께 나누는 세상'의 미주 서부지역 대표를 맡게 된 이하성 소아과 전문의. 30년 넘게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수많은 어린이의 건강을 돌보아온 이 대표는 '건강한 몸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라는 신념으로 북한 신생아들의 영양 섭취를 돕기위해 한 달에 두 차례 우유와 분유를 북한에 보내는 인도적인 지원사업에 정성을 쏟고 있습니다.

4년 전 미국인 목사 부부의 권유로 이미 북한에 분유를 보냈었고 사리원의 보육원도 방문한 바 있는 이하성 대표는 북한 어린이들의 건강을 돕는 것은 통일 한반도의 장래를 위해서도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합니다. 이하성 대표의 얘기를 들어봅니다.

전수일

: 미국에서 우유와 분유를 직접 구매해 북한에 보내는 게 아니라, 한국에 있는 ‘함께 나누는 세상’ 본부로 우유.분유 구입 기금을 보낸다는 것인데요.

이하성

대표:그렇습니다. 왜냐면 미국과 북한은 아직 협조가 돼 있질 않기 때문에 시밀락이나 엔포밀 같은 분유를 보냈으면 좋겠지만 보낼 수가 없습니다.

: 그러니까 남북한 경우는 남북협력위원회라든가 그밖의 경제협력의 통로가 있는데 그런 것이 미국과 북한 간에는 없기 때문에 일단 돈을 모아서 한국쪽으로 보내주고 있다는 말씀이네요.

: 그렇습니다.

: 그런데, 기금 확보는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 아직은 미미합니다. 이제 막 시작했으니까요. 현재 100명의 후원 회원을 모집했습니다. 저희 목적은 한 달에 10불씩 해서 1년이면 120불의 후원금을 내 줄 회원 1,000명을 확보해 한달에 10,000불을 한국에 보내는 것이 소망입니다. 개미군단 식의 일반 회원을 모으기 위해 교회라든지 학교 동문회라든지 약사회 같은 단체를 찾아 협조를 받으려고 합니다.

: 회원은 주로 한인동포입니까 아니면 미국인들도 대상으로 합니까?


: 한인동포입니다.

: 지금 기금은 얼마나 모으셨습니까?


: 2만5천달러 모아 보냈습니다. 1000달러 낸 사람이 4명, 500달러 낸 사람이 8명정도, 3백불 낸 사람이 3명, 2백불 낸 사람도 있구요. 미국에 있는 많은 분들이 북한 돕기를 하고 있습니다. 나진선봉의 빵공장이나 국수공장 운영이라든지 선교회를 통한 진료활동 등 많은 일들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신생아를 위해 분유 포뮬라를 보내는 단체는 없습니다.

: 어린이들만 먹을 수 있는 우유와 분유라고 하는데 청장년이나 노인들이 먹는 우유와는 어떻게 다릅니까?

: 분유라는 것은 아이들이 먹기 좋게 하려고 우유를 가공해 칼슘과 소디움을 줄인 것입니다. 한 살 이하의 신생아는 콩팥같은 기관의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일반 우유안에 있는 칼슘과 염분을 소화시킬 수 없습니다. 염분은 짜기 때문에 갖난 아이가 먹으면 콩팥이 망가집니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적합하게 만든 것이 분유입니다. 분유는 어른이 먹어도 되지만 맛은 없습니다.


: 우유와 분유는 어디에서 구입하십니까?

: 한국에 분유회사가 많습니다. 남양분유나 서울분유에서 구입합니다.

: 어린아이들은 영양이 부족하면 신체적 정신적 결함이 생긴다고 하던데요.

: 두뇌발달에 굉장한 지장을 줍니다. 단백질 같은 것이 충분치 않으면 두뇌발달이 잘 안됩니다. 나중에 5년 후든 10년 후든 통일이 될 때 이 아이들은 정상적으로 자란 아이들보다 못하기 때문에 훌륭한 사회인이 될 수 없습니다.


: 북한 청소년들을 남한 청소년들과 비교하면 체구도 작고 키도 10센티미터 가량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 저희가 듣기에 많은 북한 아이들이 발육이 잘 안되고 1995년 이후 먹을 것이 없어서 3백만명이 죽었는데 그 가운데 2백5십만명이 어린아이라고 합니다. 어른들은 나무껍질이라도 먹을 수 있지만 한 살 미만의 아이들은 치아가 없어 우유나 미음을 먹여야 하는데 그런 것이 없으니 죽는 것이죠.


: 이 대표께서는 소아과 전문의로서 아이들이 젖을 떼고 일반음식을 먹기 시작할 때 야채와 종합비타민을 꼭 먹여야 한다고 부모들에게 당부하신다고 들었습니다. 북한에서는 밥 한 끼도 제대로 못 먹으면서 어떻게 아이들에게 영양 보충을 하겠습니까? 우유와 분유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텐데요.

: 그렇겠죠. 하지만 북한에도 야채와 과일은 있습니다. 숫갈로 사과같은 것을 긁어서 죽을 먹이고 미음을 써서 먹이기도 합니다.


: 지원되는 분유와 우유를 제공 받는 어린이들은 영양이 결핍된 아이들입니까 아니면 보육원이나 학교나 고아원에 있는 아이들입니까?


: 한국말로 탁아소에 해당하겠는데요, 부모가 일 나간 동안 돌봐주는 보육원에 있는 아이들이 주로 먹습니다.


: 특정 지원 지역이 있습니까 아니면 전국적입니까?


: 특정 지역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 북한에 쌀이나 그밖의 곡물을 지원할 때 분배의 투명성이 보장되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되는데요, 군부나 당, 내각 관리들의 자녀들에게 우선적으로 돌아가지 않겠나 하는 우려도 있을 텐데요.


: 투명성이 보장됩니다. 가난한 사람에게 주고 있습니다. 북한에 가 보면 압니다. 나진 선봉에서 빵 만드는데 그걸 누가 먹냐면 가난한 사람들입니다. 평양으로 안 갑니다. 물론 돈을 보내서는 안됩니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가 북한에 돈을 보낸 것은 잘 못된 겁니다. 그 돈으로 지금 북한이 무기를 만들었지만 음식은 먹지 않으면 썩습니다. 분유.우유는 유효기간이 있는데 아이들에게 먹이지 않고 썩게 놔 두겠습니까? 2006년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에서 사역하며 북한어린이들을 돕고 있던 미국인 킹슬러 목사님 사모의 도움 요청을 받고 분유 한 컨테이너를 북한 사리원에 보낸 적이 있습니다. 저 역시 북한 내 분배 투명성에 의혹이 있던 차에 선교사 사모님의 권유로 실제 보육원에 가 봤습니다. 한국 상표를 떼지도 않는 분유를 먹는 아이들을 봤고 분유 먹기 전과 먹은 후 체중이 늘어난 아이들 사진도 봤습니다.


: 현재 북한의 핵개발이나 인권문제 등 한반도 긴장 정세가 미국 내 한인동포 사회에서 북한 어린이 우유 지원 후원자를 확보하시는데 영향은 없겠습니까?


: 제가 호소하고 싶은 것은 정치적인 것을 떠나 인도적으로 북한 아이들이 최소한 굶지는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북한에서 태어났다는 죄 하나만으로 굶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거기에 태어난 것이 무슨 잘못입니까? 인권문제 역시 먹을 게 풍부하면 탄압을 안합니다. 먹을 것을 지원하는 일과 정치적인 문제를 연계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하지만 그것(핵, 인권문제)때문에 지장이 있긴 합니다.

RFA 초대석, 이 시간에는 북한 신생아들에게 우유와 분유 보내기 사업에 정성을 쏟고 있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소아과 전문의 이하성 씨의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저는 전수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