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북한인권단체들 “인권개선 없이 북한 비핵화 성공 어려워”

0:00 / 0:00

앵커: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은 인권 개선 없이 북한의 비핵화 성공은 어렵다며 이번 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의제로 다뤄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

한국 내 북한 인권단체들은 2차 미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 핵문제 해결과 함께 인권 개선도 이뤄지길 기대했습니다.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은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달할 공개서한을 주한미국대사관 측에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공개서한에서 “미국의 비정부단체인 프리덤하우스가 세계 195개국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평가해 발표하는 ‘2019 세계자유보고서’에서 북한을 최악의 비자유국가로 분류했다”며 “이번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의제로 반드시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태훈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 대표 : 북한 인권이 비핵화에 가려져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 점에서 이번 미북 정상회담이 매우 중요한데요. 정상회담에서조차 북한 인권이 언급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생각에 공개서한을 보내게 된 겁니다.

함경남도 요덕수용소 출신의 강철환 북한전략센터 대표는 북한 정치범수용소 철폐를 포함한 북한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이 북한 인권의 핵심이라며 이번 미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 주민들의 삶의 질이 개선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강제 북송을 경험한 탈북자들은 탈북자 강제송환 문제가 해결되기를 기대했습니다.

2009년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 김미정 씨는 중국에서 북한으로 송환돼 처형되거나 정치범수용소에 보내지는 일이 없도록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탈북자 강제송환 문제를 거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에 억류된 한국 국민 6명의 송환 문제와 납북자 문제도 거론해달라는 요청도 있습니다.

한광희 물망초 총괄부장 :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미국 유해 송환 문제 뿐만 아니라 한국인 억류자 문제와 전시 납북자 문제, 국군포로 문제도 함께 해결돼야 한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번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위장 평화공세를 펼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박광일 북한민주화청년학생포럼 대표 : 말이 아닌 행동으로 옮겨질 수 있게 문서화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만 북한이 국제사회가 원하는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정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핵 문제에만 집중해선 안 된다며 인권 개선 없이는 북한의 비핵화 성공은 어렵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재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