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민 100명 중 68명 “북한 인권 문제에 적극 개입해야”

0:00 / 0:00

앵커 : 한국 국민 100명 중 68명은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의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민 100명 중 85명은 북한 인권 상황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의 민간단체인 북한인권정보센터(NKDB)가 지난해 한국 성인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2018년 북한 인권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5%가 북한 인권 상황이 심각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7년 실시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6%가 북한 인권 상황이 심각하다고 답했습니다.

북한 인권 개입 여부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보편적 인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답변이 68%로 가장 많았습니다.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가장 노력해야 할 집단이 누구냐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41%가 북한 정부를 택해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한국 국민 대다수는 북한 인권 문제 중 ‘공개처형’과 ‘정치범수용소’에 대해 들어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공개처형’과 ‘정치범수용소’에 대해 들어봤거나 알고 있다는 응답이 각각 92%와 82%로 나타났습니다.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압박해야 한다’는 의견이 36%로 가장 많았고 ‘꾸준한 대화를 통한 개선촉구와 지원’이 34%로 뒤를 이었습니다.

북한의 인권 상황이 앞으로 더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65%였습니다. 2017년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81%가 ‘개선될 가능성이 없다’고 답한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또한 북한 인권이 예전에 비해 개선되었냐는 질문에는 ‘좋아지고 있다’는 답변이 38%로, 2017년 조사 당시 수치인 5%에 비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윤여상 북한인권정보센터 소장은 “국제사회와 대다수의 전문가들이 실질적으로 북한 인권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고 밝히는 상황에서 이같은 한국 국민의 인식 변화는 지난해 남북, 미북 정상회담 개최에 따른 착시효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윤여상 북한인권정보센터 소장 : 남북관계가 여러가지 정상회담을 통해서 우호적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이것이 북한 인권에 대한 착시효과를 가져온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2일부터 3일간 전화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고 신뢰수준 95%에 표준오차는 ±3.1%포인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