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북한서 종교인∙정치범피의자 강제실종”

0:00 / 0:00

앵커: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8월 30일 유엔이 정한 '세계 강제실종 희생자의 날'(the International Day of the Victims of Enforced Disappearances)을 맞아 북한에서 종교인들과 정치범 피의자들이 강제실종 피해를 당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30일 성명을 통해 세계 많은 곳에서 강제실종이 독재(authoritarian) 정권에 의해 정기적으로 발생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그 예로 미얀마, 북한, 시리아, 베네주엘라, 이라크를 소개하고, 북한에서는 당국에 의해 종교인들과 정치범 피의자들의 강제실종이 자행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어 이런 강제실종은 비양심적인 것(unconscionable)이라며 강제실종을 자행하는 정권들은 자신들이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폼페이오 장관은 강제 실종된 희생자들에 대한 정의(justice)가 바로 서 이를 자행한 사람들이 처벌받고 모든 나라들은 강제실종이라는 불법 관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민간단체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3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에서는 지금까지 수십만명이 강제실종의 피해를 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유감스럽게도 1948년 북한이 수립된 후 북한에서 수십 만명의 북한 주민이 강제실종됐습니다. 북한 정치범수용소에 있는 약 120,000북한 주민 모두 강제실종 희생자입니다. 그들은 밤중에 갑자기 납치되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이어 북한 정치범수용소에 갇힌 사람들 중 3분의 1 가량은 기독교 신앙을 이유로 수감된 강제실종 희생자들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북한 내 강제실종 희생자를 비롯한 북한인권 문제가 유엔 뿐 아니라 미북 정상회담에서 논의돼야 한다며 북한인권문제 해결없이 한반도의 화해와 평화, 통일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유엔 총회는 2010년 12월 21일 공권력에 의해 강제로 체포, 구금, 납치돼 인권을 유린당하는 사람들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는 결의를 채택했고 2011년부터 매년 8월 30일을 '세계 강제실종 희생자의 날'로 정해 관련 범죄들을 근절하고 정의를 찾도록 각성하는 계기로 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