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자유이주민 인권을 위한 국제의원연맹(IPCNKR)이 22일 서울에서 총회를 열고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 중단을 촉구하는 12개항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22일 서울에서 열린 제15차 북한 자유이주민 인권을 위한 국제의원연맹(IPCNKR) 총회.
총회에 참석한 세계 각국의 의원들은 북한 주민들의 인권 향상을 위한 국제 공조를 확인한 뒤 12개항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습니다.
북한 자유이주민 인권을 위한 국제의원연맹은 선언문에서 북한 정권이 주민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에 대해 심각한 수준의 침해를 하고 있는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북한 정권이 주민들에 대한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보장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특히 한국인과 외국인 납치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북한에 의해 억류된 한국인들과 북한에 의해 납치된 외국인들의 즉각적인 송환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중국 정부에 대해선 탈북자 강제북송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면서 국제의원연맹 회원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해외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에 대한 북한 당국의 부당한 착취와 인권 침해가 이뤄지지 않도록 이들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선언문은 이어 한국과 미국 정부는 북한의 인권 상황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직시하고 남북대화 또는 북한 비핵화 협상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거론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날 총회에서는 남북 대화 국면에서의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방향과 전략, 난민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과 개선 방안, 북한 정권의 외국인 납치 문제에 관한 국제사회의 노력 등 3개의 분과로 나눠 북한 인권 관련 토론회도 열렸습니다.
한국의 자유한국당 김재경 의원은 토론회에서 올해 3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거론되지 않은 점을 지적했습니다.
김 의원은 현재 북한 인권 개선의 가장 강력한 주체는 유럽연합과 미국, 일본이라며 한국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과 평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인권문제에 대해서 소극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김재경 자유한국당 의원 : 우리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선제적인 경제교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입장을 가지고 유럽순방에 나섰으나 유럽 국가들은 완전한 비핵화와 북한 인권의 획기적 개선 없이는 북한과의 어떠한 교류도 허용하지 안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유럽의회 외교위원회 인권소위원회 라즐로 퇴케스(Laszlo Tokes) 부위원장의 정책자문인 주자 페렌찌(Zsuzsa Ferenczy)씨는 북한 비핵화 문제가 한반도 문제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북한 인권도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정치범수용소 출신으로 한국에서 북한인권운동가로 활동 중인 강철환 북한전략센터 대표는 초청 강연자로 나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잔혹성과 억압 받는 북한 주민들의 실상을 알렸습니다.
강철환 북한전략센터 대표 : 북한 동포들은 70년 동안 김씨 왕조 아래에서 노예로 살아왔습니다.
북한 자유이주민 인권을 위한 국제의원연맹은 북한인권 문제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고 탈북자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 지난 2003년 창립된 전세계 국회의원들의 연맹체입니다.
이번 총회에는 10개국 30여 명의 국회의원과 각국 대사, 교수, 비정부기구 (NGO) 대표 등 100여 명의 전문가가 참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