킨타나 보고관 “북 수용소 인권침해 심각히 우려”

0:00 / 0:00

앵커: 토마스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인권 문제 중 특히 북한 수용소에서 자행되는 인권침해를 매우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인권이사회(UNHRC) 상호대화 토론회(interactive discussion)에서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그는 이날 영상 연설을 통해 북한인권 문제 중 특히 북한 수용시설 내 심각한 인권침해를 거론했습니다.

킨타나 보고관: 북한 내 구금 및 수용시설에서 심각한 인권침해가 이뤄지고 있다는 보고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이것은) 매우 심각하게 우려되는 문제입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북한 주민들이 적법한 절차없이 정치범 수용소에 보내지고 있고 수용소 안에서 조직적인 고문과 학대가 만연하다는 보고서를 계속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북한 정권은 적법한 절차없이 수용소에 수감된 북한 주민들을 풀어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평화적인 관여(engagement)와 건설적인 대화가 북한 내 인권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 인권문제와 비핵화 논의를 연계해 비핵화를 위한 고위급 회담과 북한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개성공단 재개 등 남북 협력사업을 추진할 때 북한 노동자들이 적법한 대우와 기본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이를 위해 북한이 국제노동기구(ILO)에 가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북한에서는 언론이 정부의 통제를 받고 있고 인터넷 접근이 제한되어 있으며 이동의 자유 등이 없어 나라 전체가 감옥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끝으로 킨타나 보고관은 북한 정권의 북한주민 인권 존중이 한반도 평화, 안보, 번영의 초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이날 상호대화 토론회에서 독일과 영국 등 20여개국은 킨타나 보고관 영상연설 후 북한 정권을 향해 인권유린 행태 중단을 촉구하는 발언을 내놨습니다.

특히 독일과 우크라이나 대표는 수용소 폐지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북한 측 대표는 이날 토론회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