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내 22개 북한인권단체들이 북한에 억류된 한국 국민의 송환을 비롯한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한국 정부가 북한과 인권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전쟁 납북피해자 가족들을 비롯해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북한정의연대 등 한국 내 22개 북한인권단체들이 16일 한국 국회에서 합동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지난 9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3차 보편적 정례검토(UPR)를 계기로 한국 정부가 북한에 억류된 한국 국민의 송환에 나설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 발의를 앞두고 열린 겁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 : 북한정권에 납치, 억류된 한국 국민들의 석방, 송환과 피해자 중심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국회 결의안 본회의 통과와 대한민국 정부의 적극적 행동을 촉구한다.
북한인권단체들은 한국 정부에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보편적 정례검토와 남북 대화 등 가능한 모든 외교 수단을 활용해 억류 국민 송환을 위한 구체적인 외교적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억류자 송환 뿐 아니라 북한 내 인권개선에 대해서도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면서 한국 정부 차원에서 북한과의 인권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같은 내용을 담아 발의될 결의안이 한국 국회 본회의에서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일 것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인권단체들은 북한이 지난 1953년 정전협정 체결 당시 8만 명이 넘는 국군포로와 9만여 명의 납북된 한국 국민에 대한 송환을 거부했고 정전협정 이후에도 1969년 대한항공 여객기를 납치하는 등 최소 516명의 한국 국민을 납북해 억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2010년대에 들어서는 김정욱 선교사 등 7명의 한국 국민도 억류 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에 대해선 억류 중인 한국 국민의 석방과 송환 뿐 아니라 북한 주민에 대한 인권 개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유엔 고문방지협약과 인종차별철폐협약을 조속히 비준하고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과 성실히 협력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유엔 등 국제사회에도 납북된 한국 국민의 송환과 북한 주민 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에 지지를 표명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이번 결의안 발의를 주도한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한국 정부에 남북 당국 간 회담을 빠른 시일 안에 열어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 : 대북 인도적 지원 문제와 북한에 억류돼 있는 대한민국 국민 문제, 두 가지 문제를 주제로 해서 남북 당국 간 회담을 조속히 열어줄 것을 촉구합니다.
하 의원은 “세 차례에 걸쳐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져 신뢰가 쌓여 있다”면서 “과거처럼 한국이 일방적으로 주고 북한은 받는 관계를 북한도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북 식량지원 문제가 공론화된 현 시점이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이 납북 억류자 문제를 제기하기에 적당한 시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하 의원은 북한 억류자 송환의 전제조건으로 식량 문제를 꺼내는 것은 아니라면서 “인도주의, 인권 문제라는 하나의 바구니 안에서 함께 논의할 수 있는 문제로 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에 억류된 한국 국민의 송환을 위한 이번 결의안 발의에는 하 의원을 비롯해 모두 14명의 한국 국회의원들이 참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