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피해자가족 “정부, 북에 납북자 생사확인 요구해야”

0:00 / 0:00

앵커 : 한국 내 납북피해자 가족들이 한국 정부가 북한에 납북자들의 생사확인을 공개적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성룡 전후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은 오는 30일 서호 통일부 차관과의 면담을 앞두고 북한 당국에 의해 납북된 피해자들의 생사확인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최근 설 명절을 계기로 북한에 억류되거나 납치된 피해자들의 가족들과 만남을 갖고 있습니다.

최 이사장은 29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통화에서 이번 서 차관과의 만남을 통해 납북 피해자들의 생사확인을 위한 한국 정부 차원의 노력을 재차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한국 정부가 아직 돌아오지 못한 전후 납북자 516명의 생사확인을 북한 당국에 공개적으로 요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전후 납북자는 총 3835명으로, 이 가운데 3319명이 한국으로 귀환했고 516명은 아직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최성룡 전후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 : 이산가족상봉 행사와 관련된 남북 협의가 이뤄진다면 상봉행사 무산을 각오하더라도 납북자들의 생사확인부터 해야 합니다. 그래야 가족들이 제삿날이라도 알 것 아닙니까. 그 다음에 남북대화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최 이사장은 전후 납북자와 전시 납북자, 국군포로 가족들을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특수 이산가족’으로 포함시키는 현재 상황에 대해서도 큰 아쉬움이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과거 매번 남북 이산가족상봉 행사를 준비할 때마다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납북자들의 생사확인 작업이 북한 당국의 비협조로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특수 이산가족’으로 상봉행사에 참여했던 납북자 가족들은 소수에 불과했습니다.

남북 이산가족상봉 행사에 납북자 가족, 즉 특수 이산가족들이 포함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부터입니다.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흩어진 가족, 친척 방문단을 교환하며 비전향 장기수 문제를 해결하는 등 인도적 문제를 조속히 풀기로 했다’는 조항에 합의하면서 납북자 가족들도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참여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 이사장은 “이산가족상봉 행사 때마다 전시, 전후 납북자 가족 50명이 북측 가족의 생사확인을 요청하면 이 가운데 40~45명은 생사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이 돌아온다”며 “이런 상황이 반복되다보니 가족들의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최 이사장은 다른 납북자 가족들과 공감대를 이룬 상황은 아니라고 전제하면서 “특수 이산가족들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포함되는 것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김연철 한국 통일부 장관은 29일 한국의 최대 명절인 설을 계기로 한국 내 납북자 가족단체인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임원진과 면담을 가졌습니다.

김 장관은 이날 가족협의회 임원진과 1시간여 동안 비공개로 만남을 가졌습니다.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관계자는 자유아시아방송과 통화에서 “대면 인사 형식의 만남이 있었다”며 “다음 달 3일부터 한국 국회에서 열리는 6.25전쟁 납북 70주년 사진 전시회에 대한 관심을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한국의 명절인 설을 계기로 지난 20일에도 북한 억류자 가족과 이산가족의 자택을 위로 방문했습니다. 설 당일에는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임진각 망배단에서 열린 망향경모제에 참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