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영국 정부가 지난해 말 대북 지원을 전면 중단함에 따라 2017회계연도에 영국의 대북지원은 6만 4천 파운드에 그쳤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영국 정부는 북한에서 평양 이외 지역의 유아원과 보육시설 등에서 어린이 영양개선사업 등 취약계층에게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을 지원하는 사업마저 중단했다고 영국 외교부의 마크 필드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상이 밝혔습니다.
필드 국무상은 이달 초 영국 노동당의 튤립 시디크(Tulip Siddiq)하원의원의 서면 대정부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이 같이 말했습니다.
지난해 4월부터 올 3월 말까지 이어지는 2017 회계연도에는 2만 파운드, 즉 미화 2만 8천달러 가량의 어린이 영양개선사업을 비롯해 총 세 가지 대북 지원 사업이 진행됐습니다.
영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와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의 질문에 총 6만 4천 파운드, 즉 미화 8만 9천 500달러를 사용하는데 그쳤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영국의 보리스 존슨 외무장관은 지난해 말 북한 정권의 인권 탄압과 지속적인 핵무기 개발을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한에 대한 모든 지원 사업을 중단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영국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이행 노력에 계속해서 앞장서 나갈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영국 외교부는 영국 문화원이 북한에서 운영하는 영어훈련프로그램도 지난해 8월 중단했습니다. 영국 정부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로 영국인의 북한 여행제한 조치를 강화했기 때문입니다.
외교부 대변인은 이 프로그램이 정권에 의해 정보를 차단 당하던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 세계를 접할 수 있게 도와 주었다고 말했습니다. 외교부는 이 프로그램을 위해 영국문화원에 지난해까지 4년 간 해마다 22만 파운드, 미화 30만 8천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2014년 발간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가 북한 당국의 정보 통제를 지적했기 때문입니다.
영국은 또 2016년에는 북한 장애자보호연맹과 공동으로 장애인 인권, 재활 등에 관한 자료를 보급하는 등 6개 보건시설에서의 재활 훈련 사업도 지원했습니다.
한편, 영국 데일리메일은 지난해 4월 핵 전쟁을 일으키려 하는 북한에 영국민의 소중한 세금 400만 파운드 즉 560만 달러가 6년에 걸쳐 지원됐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2015년에만 74만 달러가 지원금으로 북한에 흘러 들어 갔지만 영국 외교부는 대북 지원을 축소할 계획이 없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