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난해 중국서 탈북가족 4명 구출…다른 가족은 여전히 구금”

0:00 / 0:00

앵커 :수잔 숄티 북한자유연합 대표가 지난해 한국 정부에 구출을 요청했던 두 탈북자 가족 중 한 가족이 지난해 말 한국과 중국 정부의 협조 하에 한국에 입국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른 한 가족은 여전히 중국에 억류돼 있어 한국 정부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숄티 대표는 강조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숄티 대표는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지난해 숄티 대표 등이 한국 정부에 구출을 요청했던 두 탈북자 가족 중 한 가족이 지난해 말 한국에 입국했다고 밝혔습니다.

숄티 대표 : 한국 문재인 전 정권이 취한 조치로 (중국을) 빠져나온 탈북자 가족이 있습니다.

지난 2020년 탈북한 이 4인 가족은 지난해 초 한국의 한 비영리단체(NGO)의 도움을 받아 중국 국경을 넘으려다 체포된 후 구금시설에 7개월간 억류됐지만, 한국과 중국 정부가 비밀리에 협조해 이들을 한국으로 이송했다는 설명입니다.

숄티 대표는 앞서 지난해 4월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한국 대사관을 통해 한국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중국에 억류된 탈북자들을 한국에 송환하도록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당시 서한과 함께 중국에 억류된 두 탈북자 가족의 사진을 동봉했는데, 지난해 말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 가족의 사진도 여기에 포함됐습니다.

숄티 대표는 다만 한국 정부에 도움을 요청했던 다른 3인 가족은 여전히 중국에 구금된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미성년자 딸과 함께 중국에 억류된 이 가족은 지난 2020년 9월 두 명의 다른 탈북 여성들과 함께 체포됐습니다.

숄티 대표에 따르면 그해 11월 전직 미국 정부 관리들이 서명한 서한을 문 전 대통령에게 보내 이러한 탈북자 문제 해결을 촉구했지만 당시 한국 정부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중국 경찰은 구금시설이 혼잡하다는 이유로 해당 탈북 여성 두 명을 중국 국적의 인신매매범에게 넘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숄티 대표는 이처럼 중국에 억류된 탈북자들을 구출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지속적으로 중국 정부와 접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숄티 대표 :한국 윤석열 대통령이 조용히 중국과 협력해, 중국 정부가 인도적 차원에서 나머지 탈북자들도 안전하게 (중국을) 통과할 수 있게 허가하도록 촉구하기를 바랍니다.

숄티 대표는 그러면서 탈북자들이 다시 북한으로 강제 송환시 수감과 고문, 처형 등에 처할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현재 중국에 억류돼 있는 이 탈북자 가족의 친척이, 한국 서울에서 오는 25일부터 개최되는 ‘북한자유주간’ 행사에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숄티 대표는 해당 탈북자 가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자 가족의 친척을 초대했다며, 아직 구체적으로 언제 참석하는 지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북한자유주간 행사에 탈북자 문제가 주요 사안으로 다뤄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지난 한국 문재인 정부가 탈북자 문제에 계속 소극적 태도를 보이면서, 지난해 미국 의원들과 국제단체 등이 문 전 대통령에게 중국에 억류된 탈북자들의 한국 송환을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한국계 영 김 미국 연방하원의원(공화·캘리포니아)은 지난해 7월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방한 당시 문 전 대통령과의 접견 자리에서 중국에 구금된 탈북 가족의 한국 송환을 직접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도 당시 입장문을 내고 중국에 최소 1천170명의 탈북자가 구금돼 있다며 이들을 구출해 내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정부 측은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의 관련 문의에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습니다.

앞서 지난 2월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외신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한국 정부는 중국 내 탈북자들이 본인에 의사에 반해 강제로 북송되지 않고 희망하는 곳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중국 정부에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다만 한국 정부는 통상 탈북자 관련 세부 내용은 이들의 신변 문제 등을 고려해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 통일부는 27일 숄티 대표의 주장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 요청에 "탈북민이 북한을 벗어난 후 자유의사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관련된 외교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탈북자와 관련한 세부 내용은 체류국 내 탈북자의 신변 안전과 해당국과의 외교 관계 등을 고려하여 공개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