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단체들 “탈북자 기자 취재 불허, 국민 기본권 침해”

0:00 / 0:00

앵커 : 한국 정부는 탈북자 출신 기자의 남북 고위급회담 취재 불허와 관련해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탈북자단체 면담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내 탈북자단체들은 1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통일부가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17일 탈북자 출신 기자의 남북 고위급회담 취재 불허와 관련해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탈북자단체 면담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관련 부서에서 검토 중입니다.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면 알려드리겠습니다.

면담이 성사되면 조 장관은 취재 불허 경위 등에 대해 설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조 장관이 작년 8월에도 탈북자단체와 면담을 한 적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탈북자 출신 기자가 남북 고위급회담 취재단에서 배제된 것과 관련해 한국 내 탈북자단체들은 ‘탈북 기자 차별 사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습니다.

먼저 북한인권탈북단체총연합에 소속된 북한민주화위원회와 탈북자동지회, 북한전략센터 등 28개 단체는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통일부를 규탄했습니다.

박상학 북한인권탈북단체총연합 상임대표 : (통일부가) 한국 국민의 한 사람인 탈북자의 기본권을 박탈한 것입니다. (우리 탈북자단체들은) 탈북자 기자의 기본권을 박탈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북한인권단체 노체인의 정광일 대표는 북한이 탈북자 기자에 대한 이의제기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통일부가 먼저 탈북자 기자의 취재를 막은 것은 언론의 자유마저 침해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광일 노체인 대표 : 그 사람이 이마에 탈북자라고 쓰지 않은 이상 회담장에 나온 북한 사람들이 그 사람을 알아볼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통일부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노출하고 발표한 겁니다. 통일부가 북한의 비유를 맞춘 것이고 이는 아주 많이 잘못된 거라고 생각합니다.

앞서 한국 통일부는 지난 15일 남북 고위급회담을 앞두고 탈북자 출신 기자의 동행 취재를 막았습니다. 조 장관은 고위급회담이 끝난 뒤 가진 회견에서 불가피한 정책적 판단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 : 원만하게 남북 고위급 회담을 진행해서 평양공동성명 이행 방안에 대해서도 합의를 도출해내고 이행해 나가야 하는 측면에서 불가피한 정책적 판단이었습니다.

당시 통일부의 조치에 통일부 출입 기자단은 ‘탈북민 기자 취재 제한은 부당하다’는 입장문을 냈습니다.

기자단은 탈북자 기자가 한국 국적을 취득했고 6년째 통일부를 출입한 기자인 만큼 고위급회담에 취재할 자격이 있는데도 통일부가 탈북자란 이유로 배제한 것은 지나쳤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언론사들이 사전 합의에 따라 대표 취재를 맡긴 기자였다는 점에서 언론 자유 침해에 해당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