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단체들 “한국 정부, 북에 ‘추방 북 주민’ 신변확인 요구해야”

7일 서울 정부청사 앞에서 북한민주화위원회가 주최한 기자회견.
7일 서울 정부청사 앞에서 북한민주화위원회가 주최한 기자회견. (/RFA Photo-서재덕)

0:00 / 0:00

앵커 : 한국 내 탈북민단체들이 한국 정부가 지난해 추방한 북한 주민 2명에 대한 신변 확인을 북한 당국에 요구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내 탈북민단체들로 구성된 북한인권단체총연합회와 탈북민전국연합회는 7일 서울 정부청사 앞에서 지난해 북한 주민 두 명을 북한으로 추방한 한국 정부를 규탄하기 위한 집회를 열었습니다.

허광일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장 : 대한민국에 정착한 탈북민 3만 4천여 명은 김연철 한국 통일부 장관이 공식적인 사과를 하지 않는다면 김연철 장관이 사퇴할 때까지 이곳 정부청사 앞에서 장기농성도 마다하지 않을 겁니다.

이번 집회를 주도한 한국 내 탈북민단체인 북한민주화위원회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지난해 추방당한 북한 주민 2명에 대한 신변처리를 한국 정부가 북한 당국으로부터 받아내 한국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흥광 북한인권단체총연합회 대표 : 지난해 북한 주민 추방 조치 이후 오늘까지 한국 정부는 성의 있는 대답 한마디 그리고 재발방지 대책과 관련한 아무런 입장도 표명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울러 한국 정부에 북한 주민 추방 조치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습니다.

강봉순 북한민주화위원회 총괄본부장 : 통일부 장관 김연철을 비롯한 강제북송 일당은 두 명의 북한 주민 강제북송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강제북송의 전 과정을 한국 국민에게 공개하고 사과하라.

한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동해에서 나포된 북한 주민 두 명이 오징어잡이 배에 함께 타고 있던 동료 선원 16명을 살해했다고 판단하고 판문점을 통해 북한으로 추방한 바 있습니다.

탈북민단체들은 이와 함께 지난해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탈북민 모자 사건에 대한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한국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7월 한국에 정착한 40대 탈북민 여성과 여섯 살 아들이 서울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된 바 있습니다.

탈북민 모자의 안타까운 죽음을 계기로 한국 정부는 지난해 9월 탈북민 생활 안정을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으며, 지난달 21일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탈북민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계획도 밝힌 바 있습니다.

앞서 북한인권단체총연합회는 지난해 11월에도 한국 정부의 북한 주민 추방 조치를 규탄하는 집회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