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구출의 날’ 행사, 세계 20여 도시서 열려

0:00 / 0:00

앵커 : 중국 정부의 비인도적인 탈북자 강제 북송 정책을 규탄하는 '탈북자 구출의 날' 행사가 24일 세계 10여개 국에서 일제히 열렸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인권단체들의 연합체인 ‘북한자유연합’의 수잔 숄티 대표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제10회 ‘탈북자 구출의 날’을 기해 세계 각국의 개인과 인권단체가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 중단을 촉구했다고 밝혔습니다.

숄티 대표 :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북송 정책은 비인도적이고, 잔인할 뿐 아니라 국제법 위반 행위입니다. 중국은 유엔 난민협약 가입국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알리기 위해 10여 개국에서 20여 개 도시 중국 공관에 강제북송 중단 촉구 서한을 전달하는 등 각종 행사가 열렸습니다.

올해 행사에는 미국과 한국은 물론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와 남미의 콜롬비아, 브라질, 멕시코 즉 메히꼬, 유럽국가인 핀란드와 영국, 아프리카 남단의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의 국가에서 참여했습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행정수도 프리토리아의 인권단체 ‘리빙스토리즈 앤 메모리즈’(Center for Human Rights, Living Stories and Memories)의 갈로스 아타봉왕(Gallous Atabongwoung) 연구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북한인권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아타봉왕 연구원 : 올해 토론회는 '북한 수용소 내 참혹한 반 인도적 범죄와 탈북자 박해(Gruesome Crimes against Humanity in North Korea's Gulags and the Persecu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를 주제로 열렸습니다. 청중들은 나미비아, 우간다, 남수단, 가나, 카메룬 등 다양한 아프리카 국가 출신이었습니다. 인근 요하네스버그에서도 두 명이 참석했지요. 지난해 9월 처음 토론회를 개최했는데, 지난해 10월에는 이곳 현지 언론이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를 인터뷰해서 북한 정치범수용소에 관해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관련기사 보기)

아타봉왕 연구원은 지난해에는 청중들이 지리적으로 너무나 먼 나라 북한의 인권문제에 왜 아프리카 사람들이 나서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하기도 했는데, 올해는 북한의 참담한 인권실태를 개선하기 위한 국제적인 단결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고 전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또 중국이 탈북자를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경제적 이주자라며 북한으로 돌려 보내기 때문에 탈북자들이 고문과 감금, 심지어 처형까지 당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숄티 대표 : 중국이 강제북송 정책을 중단하면 그 날로 탈북 난민 문제는 해결됩니다. 다른 난민들과 달리 탈북자들은 즉각 한국민으로 한국에 정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이 같은 끔찍한 강제북송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숄티 대표는 탈북자의 80~90퍼센트가 여성인데 이들 대부분이 인신매매 피해자가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중국이 이들을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북송하기 때문에 신분이 없는 탈북 여성들이 이 같은 범죄에 희생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북한자유연합은1982년 중국이 유엔 난민지위에 관한 협약과 의정서에 서명한 9월 24일을 전후해, 해마다 ‘탈북자 구출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