숄티 “중국서 구금된 탈북 여성들, 다시 인신매매 피해”

0:00 / 0:00

앵커: 지난해 9월 중국에서 체포된 5명 탈북자 일행 중 여성 2명이 인신매매 가해자들에게 넘겨졌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 닐스 멜처 유엔 고문문제 특별보고관 등으로 구성된 유엔 인권이사회 산하 '자의적 구금에 관한 실무그룹(The Working Group on Arbitrary Detention)'은 지난해 10월 27일 중국 정부에 전달한 서한을 통해 탈북민 5명이 중국에 구금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한국으로 가기 위해 탈북한 뒤 지난 9월 12일 중국 선양에서 출발했지만 다음 날 중국 황다오에서 체포됐으며, 이후 칭다오의 경찰서에 구금됐습니다.

체포된 탈북민은 49살과 14살 여성과 48살 남성, 6개월 된 임산부, 그리고 신원미상의 성인 여성 등 모두 5명으로 북한에 송환될 위험에 처해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잔 숄티 북한자유연합 대표는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탈북민 일행 중 여성 2명이 다시 인신매매의 피해자가 됐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을 구금한 해당 경찰서가 구금 시설이 혼잡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신매매의 피해자였던 탈북민 일행 중 2명을 다시 이전 중국 국적 가해자들에게 넘겼다는 설명입니다.

숄티 대표는 현재 나머지 3명은 여전히 구금 중이라며 이들은 모두 기독교인으로 북한에 송환되면 처형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숄티 대표는 해당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에 유감을 표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지난해 11월, 중국에 구금된 탈북자 문제에 대해 전직 미국 정부 관리들이 서명한 편지를 한국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냈으나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숄티 대표: 미국의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 행정부 이후 모든 미국 행정부를 대표하는 전직 정부 관리 24명이 서명한 편지를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냈지만 문 대통령은 (탈북민 일행에 대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습니다. 전직 관리들은 지금이 위험에 처한 이 일행을 구출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라고 문 대통령에게 일제히 이야기 했습니다. (Moon didn't do anything, even though we had 24 former US government officials signed a letter to Moon from every American Presidency since Richard Nixon…all in unison saying to President Moon this is a tremendous opportunity to help rescue these people whose lives are in danger.)

이 편지에 서명한 로베르타 코언 전 미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는 중국에 구금된 탈북자들을 위해 문 대통령이 중국 정부와 관여할 것을 촉구했다고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편지에서 미국 전직 정부 관리들은 "이전 한국 행정부들이 조용하고 성공적으로 (중국 정부와 관여한 것처럼) 현 한국 행정부도 중국과 접촉할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현재 중국에 구금된 북한 여성, 남성, 아이들을 인도적으로 고려해달라"며 이들이 한국 혹은 제 3국으로 안전하게 갈 수 있게 허락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앞서 지난달 31일, 한국 조선일보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내는 기고문을 게재해 관련 소식을 전하며 한국 정부의 대처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앞서 지난 1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탈북자 일행과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 요청에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현재 중국에 거주하는 탈북민들에 대한 보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 지속해서 관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탈북민 일행의 현재 상황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는 2일 오후까지 답변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