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전 특사 “중, 북 여성 인권문제 악화시켜”

0:00 / 0:00

앵커: 북한 여성들의 기본적인 인권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중국 정부가 탈북 여성들의 인권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로버트 킹 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미국 민간연구기관 한미경제연구소(KEI)가 25일 '북한 여성 인권'을 주제로 개최한 온라인 화상회의에서 중국으로 건너간 탈북민들이 강제 송환되고, 중국에서 아무런 보호없이 인권 유린을 당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킹 전 특사: 중국 정부의 부정적 역할이 북한 여성 인권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중국은 탈북민들을 대부분 강제로 돌려보내고 있는데 탈북민의 70%는 여성입니다.

킹 전 특사는 탈북 여성 상당수가 중국에서 강제 결혼이나 인신매매 피해를 겪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유엔을 통해 북한과 중국 정부에 이에 대한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EI_King.jpg
로버트 킹(윗줄 오른쪽) 전 특사가 25일 북한 여성 인권에 대해 말하고 있다. /유튜브 캡쳐

킹 전 특사는 북한 여성들의 인권 유린 문제 개선을 위한 미국 북한인권특사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바이든 행정부에 특사 임명을 촉구했습니다.

자신이 특사로 있을 당시 1년에 한 차례씩 중국 당국자들과 만나 탈북 여성 등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논의하면서 문제 인식을 재환기시켰다는 설명입니다.

이날 회의에 함께 한 라이프-에릭 이슬리 한국 이화여대 교수 역시 북한 여성 인권 개선에 대한 중국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탈북민을 난민으로 규정하고 법적으로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슬리 교수는 그러나 미북대화가 단절돼고, 미중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중국에 관련 문제를 직접 제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우려했습니다.

북한과의 관계에 예민한 중국 역시 탈북민들에 대한 자국법과 북중상호조약을 근거로 탈북민을 강제 송환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중국은 1986년 북한과 '변경 지역의 국가안전과 사회질서 유지 업무를 위한 상호협력의정서'를 체결한 이래 자국으로 넘어온 북한 주민들을 체포해 북송시켜 왔습니다.

이슬리 교수는 또 코로나 19(코로나비루스)로 인한 국경봉쇄 장기화로 북한 여성 인권 상황에 대한 이해와 조사가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경제활동도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슬리 교수: 저는 국경 봉쇄가 북한 여성 경제 행위자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습니다.

북한 내 장마당에서 여성들의 경제활동이 두드러지게 증가했는데 코로나 19 사태 이후 국경지역을 통한 물품 수입이 크게 제한되면서 장사를 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겁니다.

한편 탈북자 출신의 현인애 이화여대 초빙교수 역시 25일 북한 여성 관련 온라인 국제학술회의에 참석해 코로나 19로 인한 북한 시장경제 축소로 여성들의 지위가 약화되는 한편 경제활동이 어려워진 북한 여성들이 강제 노동에 동원되는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