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압록강변에 탈북 방지용 제방 설치”

0:00 / 0:00

앵커: 북한과 중국 모두 북한 주민들의 탈북을 막기 위해 압록강 주변 국경 정비에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북한 양강도 혜산시에 있는 압록강변에 남자 군인 뿐만 아니라 여군까지 대거 투입돼 제방쌓기 공사가 한창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이들이 쌓는 제방이 단순히 홍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한국의 탈북단체 '노체인'의 정광일 대표는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전화통화에서 현재 공사가 한창인 재방공사가 탈북방지라는 또다른 목적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광일 대표: 둑에서 강가까지 내려 쌓으면 약 7~8미터, 10미터는 안되고요. 그렇게 되는 제방을 만들었어요. 못 내려오게. 강가에 붙지 못하게요.

둑의 높이도 높지만 수직에 가까울 정도로 급경사로 만들어 한번 제방 밖, 그러니까 중국 쪽으로 나가면 다시 북한 쪽으로 돌아오지 못하도록 고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리고, 주요 탈북 경로를 따라서는 지뢰를 묻는 작업도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런가 하면, 압록강 건너 편 중국 국경지역에서는 새로운 철조망 설치작업과 함께 검문소 재정비사업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국경경비 강화의 일환으로 기존의 허름한 컨테이너 검문소 대신 현대식 검문소가 들어서고 있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31일 중국 길림(지린)성 백산(바이산) 공안국은 외국인의 불법 입국·체류·취업과 관련해 신고한 주민에 대한 포상 방침을 밝히는 등 북중 접경지역에서의 탈북자 단속을 강화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백산은 북중 간 대표적 내륙 교역 거점인 장백(창바이) 세관이 있는 곳으로, 당국은 '외국인 불법 입국·체류·취업에 대한 단속 강도를 높이고 대중들의 적극적인 신고를 격려한다'고 사실상 탈북자들의 중국 유입을 막아 보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관측됩니다.

백산 공안국은 주민 신고로 불법 입국자 등을 검거하면 1명당 1천 위안, 미화로 약 155달러를 지급하고, 이들의 검거에 참여하고 잡아서 데려올 경우 2천 위안, 약 310달러를 준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국경경비가 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북중무역 회복을 위한 국경봉쇄도 좀처럼 해제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 30일 '8월 북한무역 월간보고서'를 발표하고, '북한이 심각한 경제난을 겪는 가운데도 국경 봉쇄를 강화하고 있는 것은 북중 간 방역 기준의 차이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물품을 주로 수입하는 북한은 중국 측과 협의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코로나 방역 기준을 제시하지만, 중국 측에서는 현실적으로 이를 맞출 수 없어 번번이 무산된다는 겁니다.

보고서는 여전히 대북사업 관계자들은 국경이 개방되기를 기다리고 있지만 변이 바이러스 출현 등 코로나 확산세를 감안한다면 당분간 교역재개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기자 홍알벗,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