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 산하의 '강제적·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이 이달 말 열리는 회의에서 북한에 억류된 한국인 2명과 관련한 논의를 벌일 예정입니다. 유엔은 지난달 이들에 대한 생사확인을 북한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의 ‘강제적·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이 이달 말 제네바에서 열리는 115차 회의에서 김정욱, 김국기 씨 등 북한에 억류돼 있는 한국인 2명과 관련한 논의를 벌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제적·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은 강제적인 실종 피해 문제를 조사하고 피해자와 그 가족, 관련국 정부 간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관련국들에 문제 해결에 필요한 권고를 하기도 합니다.
6일 한국의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유엔은 지난달 24일 국가인권위 측에 김정욱, 김국기 씨의 실종과 관련된 자료 제출을 요청했습니다. 또한 115차 회의에 이들의 가족들이 직접 참석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도 물어왔습니다.
국가인권위 관계자는 자유아시아방송에 “지난 2월 5일부터 9일까지 벨기에에서 열린 114차 ‘강제적·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 회의에서 김정욱, 김국기 씨를 조사대상으로 포함시키는 문제가 논의됐다”며 “당시 회의 직후 이들에 대한 조사가 결정됐고 유엔이 지난달 북한 측에 이들의 생사 확인 등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국가인권위는 지난해 11월 유엔 사무총장, 북한인권특별보고관, 강제구금에 관한 실무그룹, 강제적·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 등에 북한이 억류하고 있는 한국인 6명의 송환을 촉구해달라는 서한과 진정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
이후 유엔은 국가인권위 측에 억류자 6명의 신원 확인을 위한 자료를 요구했고 이에 국가인권위는 김정욱, 김국기 씨에 대한 자료를 제출했습니다. 국가인권위 측에선 나머지 억류자 4명의 신원 자료도 제출하려 했지만 이들의 가족들과는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한국 정부도 6일 억류된 한국인 6명의 석방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다만 남북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가 정식 의제로 논의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서는 기본적으로 저희가 밝힌 것이 있습니다. 비핵화와 평화정착, 남북 관계 발전 등 포괄적인 것으로 이해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부는 인도적 사안들이 남북관계가 진전되는 과정에서 해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억류자 가족들은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해 서운함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김정욱 씨 가족들의 대변인 역할을 하고 있는 주동식 김정욱선교사후원회장은 자유아시아방송에 “남북 정상회담에서 억류자들의 석방 문제가 의제로 논의되길 희망한다”며 “김정욱 선교사의 가족들은 여전히 김 선교사가 무사히 돌아오길 기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정욱 씨의 친형인 김정삼 씨는 “이번 달 말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 회의에 직접 참석하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에 따르면 북한 당국이 억류하고 있는 한국인은 김정욱, 김국기 씨를 비롯해 모두 6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