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에 사는 한인 이산가족이 북한의 가족을 다시 만날 수 있도록 정부와 의회의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법안 개정을 위한 홍보활동과 함께 의회 차원의 이산가족 실태조사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새해들어 이산가족 상봉의 소원을 이루기 위한 미국 정치권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는 모습입니다.
이산가족의 손자, 손녀 한인 청년들뿐만 아니라 북한에서 인도주의 지원활동을 하는 미국 비정부단체 소속 활동가들이 미국 국무부와 의회 관계자에 매일 전화를 걸고 있습니다.
미국 의회가 논의 중인 북한 관련 법안(S.1118, H.R.2061)에 이산가족상봉을 촉구하는 문구가 삭제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들의 의원 사무실을 찾는 횟수가 더욱 늘었습니다.
지난해 12월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채택한 ‘북한인권재승인법안’에 하원이 통과시킨 일명 ‘유해와 상봉’ 수정안 내용이 제외됐기 때문입니다.
북한에 남겨진 한국전쟁 때 사망한 미군유해 발굴과 한인 이산가족의 가족상봉을 위한 행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하는 내용이 상원의 수정안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의회 설득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 비정부단체 관계자는 상원에서 이산가족 수정문구가 삭제된 비슷한 시기에 활발하게 활동하던 미국 동북부 거주 이산가족 한 분이 돌아가셨다면서 하루 빨리 의회와 정부가 이들의 가족 상봉을 위해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주미 한국대사관도 미국의 한인 이산가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윤제 주미 한국대사는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산가족상봉 수정안이 상원에도 다시 포함되도록 의회 관계자의 협조를 구하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습니다.
조윤제 대사 : 상원 의원 중 한반도 문제에 관심 많은 의원을 대상으로 이 문제를 논의해 볼 수 있을겁니다.
이산가족상봉추진을 위한 청년들은 우선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이 상원을 설득해서 유해발굴과 가족상봉 조항이 상하원 합의안에 포함되도록 힘써줄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로이스 의원 외에 하원 외교위 주요 인사들과 상원 외교위원 사무실을 자주 방문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 이산가족의 실태조사와 관련한 의회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사확인이나 상봉을 실제로 희망하는 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하는 것으로 이산가족단체의 자료와 미국 적십자 자료를 참고함과 동시에 생존한 한인이산가족의 현황을 조사하게 된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