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하원에 '한인 이산가족 상봉 촉구 결의안'을 제출한 카렌 바스 의원은 올해 상반기 안에 결의안이 채택되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미북 대화에서도 이산가족상봉 문제가 거론돼야 한다고 15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민주당의 바스 의원은 미국에서 한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 지역구를 두고 있어 한인유권자들과 자주 소통해 왔으며 최근 이산가족의 안타까운 사연을 접하고 결의안을 제출했다고 말했습니다.
카렌 바스 하원의원 : 몇 달 전 지역구 한인들과 만남에서 미북대화 지지를 위한 서명을 해달라고 해서 흔쾌히 했는데, 그때 이산가족의 사연을 듣고 미국 의회가 나서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됐습니다.
바스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6.12 미북 정상회담이 열리기 직전인 지난 8일 하원 외교위원회에 ‘한인이산가족상봉촉구결의안’(H. Con. Res. 40 Encouraging reunions of korean American families)을 제출했습니다.
바스 의원은 한인 이산가족이 60년 넘게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사를 모르고 살아야 한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생사를 파악해서 만나려고 해도 지난해 내려진 북한여행 금지조치로 가족을 만나러 갈 수도 없다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
바스 의원 : 지난해 북한 방문금지 조치가 취해진 줄은 알았지만 가족 방문 등을 여전히 막고 있는 줄은 몰랐습니다. 최소한 한인 이산가족들이 북한의 가족을 만나기 위해 방문을 희망한다면 (이들에게는) 금지령을 해제해야 합니다.
미국 의회가 결의안을 채택할 전망과 관련된 질문에는 올해 11월에 중간 선거가 예정돼 있는 만큼 이 달 안에 해당 상임위원회의 법안 심사가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바스 의원 : 6월이 가기 전에 안건 심사를 시작해야 결의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산가족 뿐만 아니라 미국의 많은 한인들이 자신의 지역구 의원에게 전화하고 특히 하원 외교위원회에서 이산가족 결의안을 심사하도록 관련 의원들에게 집중적으로 연락해 주길 바랍니다.
바스 의원은 미국과 북한이 계속 대화를 진행하는 것에 찬성한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행정부가 과거 미국 행정부의 대북 대화의 성공과 실패 경험을 진지하게 참고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바스 의원 : 많은 전문가들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합의문이 아주 피상적이라고 지적합니다. 과거 미국 행정부가 북한과 합의한 내용 중 이번보다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이었을 때도 북한은 제대로 약속을 지키지 않았습니다. 과거 행정부의 대북경험을 진지하게 연구하기를 바랍니다.
한편 바스 의원이 제출한 이산가족 결의안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행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하면서 결의안 채택 후 60일 안에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도록 북한 당국과 협의를 해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미북 정상회담을 나흘 앞둔 지난 8일 전격적으로 미국 의회에 제출된 결의안은 민주당의 바스 의원을 비롯해 민주, 공화 양당 10명의 하원 의원들이 공동 발의에 참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