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하원에 이어 상원에서도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들의 상봉을 추진하는 법안이 발의될 예정이어서 주목됩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민주당 소속 메이지 히로노(Mazie Hirono) 상원의원이 하원안과 비슷한 형태로 재미한인 이산가족 상봉 법안을 발의합니다.
미 연방의회에서 미북 이산가족 문제를 법안 형태로 처음 다룬 ‘H.R. 1771(Divide Families Unification Act)’은 지난해 3월 그레이스 맹(Grace Meng) 하원 의원이 발의한 후 10월 하원 외교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민간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최근 히로노 상원의원 측과 함께 법안 발의를 앞두고 법안 초안 작성을 위한 회의를 가졌다고 전했습니다.
이날 히로노 의원 사무실의 마사 스피커 대변인은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히로노 의원의 재미한인 이산가족 상봉법안’ 발의에 대해 확인했습니다.
그는 “구체적인 법안 내용은 밝힐 수 없다”면서 “수주 내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맹 의원이 발의한 재미한인 이산가족 상봉법안으로 미뤄봤을 때 한미 양국 정부가 미국 내 한인들과 함께 북한에 있는 가족과 상봉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추정됩니다.
현재 이 하원 법안은 하원 의원 42명의 지지 속에 계류 중으로 하원 본회의 심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난달 말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를 한 이 법안의 공동 발의자인 공화당 소속 롭 우달(Rob Woodall) 하원 의원은 상원의 협력과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이 법안의 연내 처리를 희망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민간단체 '재미 이산가족상봉 추진위원회'의 이규민 회장은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상원의 이산가족 상봉법안 추진에 대한 환영의 뜻을 전했습니다.
그는 미국 의회에서 재미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 문제에 대한 관심과 목소리가 커질수록 미북대화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말했습니다.
이규민 회장 : 재미 이산가족상봉 추진위원회 입장에선 계속 상원의원, 하원의원들이 이런 사안들을 추진했으면 좋겠고요. 제일 중요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아니면 국무부에서도 빨리 대화를 계속해서 이산가족 사안을 해결하기 시작했으면 하는게 가장 큰 희망이죠. 이런 법안들이 있어야지 계속 대통령에게도 리마인드(상기)를 시켜주고...진전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규민 회장은 다만 공화당이 다수인 상원은 하원과 분위기가 다르고, 현재 의회가 대선과 예비선거에 집중되면서 향후 이산가족 상봉 법안이 더디게 진전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현재 하원 본회의에는 지난해 5월 캐런 배스 하원의원이 발의한 이산가족 상봉추진 결의안(H.Res.410)도 계류 중입니다.
이 결의안은 미북 양국이 결의안 채택 60일 이내 이산가족 상봉절차를 시작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