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안보리 북한 인권회의 생중계 놓고 미∙중 ‘기싸움’

0:00 / 0:00

앵커 : 17일로 예정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북한 인권 관련 회의를 생중계하는데 중국이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 미국은 우려를 나타내면서 다른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회의를 공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자민 앤더슨 기자가 보도합니다.

17일 뉴욕 유엔 본부의 안전보장이사회가 주최할 예정인 북한 인권 문제를 논의하는 비공식 회의.

회의를 생중계하려는 미국과 이를 막으려는 중국 간 기싸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안보리.jpeg
유엔 안보리 회원국들이 지난 2014년 북한인권문제의 안건 채택 여부를 결정하는 투표를 하고 있다. /AP

로이터 통신은 회의를 이틀 앞둔 15일 중국이 ‘(북한 인권에 대한 논의는) 어떤 이익도 가져오지 않을 것’이라며 회의의 온라인 생중계를 반대한다는 내용의 전자우편을 안보리 이사국들에 보냈다고 보도했습니다.

회의를 유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중계하려면 15개 이사국들이 모두 동의해야하는데, 중국의 반대로 무산될 상황인 겁니다.

이에 대해 미국의 고위 외교 당국자는 16일 기자회견에서 이와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중국이 온라인 중계를 막으려는 조치에 대해 알고 있으며, 매우 우려되는 사안”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현재 미국은 다른 선택지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회의는 북한 주민의 인권과 존엄을 증진하기 위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고위 당국자는 또 “북한 정권이 대량살상무기 개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었던 것은 강제노동과 착취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어 “북한 주민들은 극심한 고난과 영양부족에 시달리는데도 북한 정권은 폭압적인 수단을 동원해 무기개발에 자원을 배분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유엔의 한 고위당국자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국이 (유엔의 공식 홈페이지 대신) 미국의 통신사인 AP 등 다른 방식을 통해 회의 생중계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로베르타 코헨 전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는 자유아시아방송(RFA)에 2017년 이후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의한 자리는 없었다며, 공개 회의를 통한 공론화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코헨 부차관보 : 중국은 북한의 인권 상황과 김정은 정권의 본질, 그리고 그것들이 핵과 대량살상무기 생산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완전히 드러나는 것을 매우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자신들 뿐 아니라 역내 다른 억압적인 국가들을 보호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코헨 전 부차관보는 그러나 중국이 국제사회로부터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한 논의를 숨기려는 노력은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중국이 북한 인권 문제와 북한의 심각한 위협을 다루는 데 중요성을 두지 못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자 불행한 일”이라며 중국이 북한 인권 문제의 공론화를 방해하는 데 우려했습니다.

탈북민 지한나 씨는 중국에 억류된 탈북민 문제가 중국 정권과도 연계돼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북한 주민들, 그리고 중국 내 탈북민들의 인권 유린에 대해 전 세계가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한나씨.jpeg
탈북민 지한나 씨가 미 의회 하원 건물에서 북한의 실상과 탈북 과정에 대해 증언하고 있다. /RFA Photo - 자민 앤더슨

지한나 씨 :온 세계가 중국과 북한의 인권 유린에 대해 알고, 그것을 막기 위한 투쟁에 동참해야 하는데 중국 정부가 그들의 죄행과 인권유린이 세상에 알려질까봐 막는데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한편 이번 회의에 관해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는 북한 인권 문제에 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의 일환이라고 말했습니다.

황준국 대사 :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일으키고,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안보리에서 공식회의를 열도록 추진을 하는거죠. 물론 몇몇 나라가 강하게 반대하겠지만, 계속 추진해서 정치적 추진력(모멘텀)을 쌓아 나갈 수 밖에 없어요.

기자 자민 앤더슨, 조진우,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