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내 시민단체, 인권단체 운동가들이 다음주 미국 의회를 상대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원활한 대북지원 관련 안건 지지를 호소하는 활동을 벌일 예정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10여개 미국 시민단체와 인권단체 관계자를 비롯해 한반도 평화를 지지해온 운동가 200여명이 오는 6월1일부터 5일까지 미 연방의회 의원들과 화상회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이번 활동에 참여하는 단체는 대북 지원단체인 미국친우봉사단(AFSC)을 비롯해 위민크로스DMZ, 피스 액션, 리제너레이션 무브먼트, 한인연합감리교회 평화위원회 등입니다.
이번 활동을 통해 운동가들은 의원들에게 현재 미 의회에 계류 중인 한국전 종전 결의안이나 대북지원 강화법안 등에 대한 지지와 통과를 촉구할 계획입니다.
관련 안건으로는 지난해 로 카나(Ro Khanna) 민주당 하원의원이 대표 발의한 한국전 공식 종전결의안(H.R.152)과 에드 마키 상원의원과 앤디 레빈 하원의원이 공동 발의할 예정인 '대북 인도주의 지원 강화법안(Enhancing North Korea Humanitarian Assistance Act)' 등입니다.
상원 의원들에게는 올 3월 상원 군사위원회 소속 메이지 히로노 의원과 댄 설리반 의원이 초당적으로 공동 발의한 '한국전쟁 이산가족 상봉 법안'(Korean War Divided Families Reunification Act, S 3395)의 공동 지지를 요청할 예정입니다.
특히 대북지원 단체들은 코로나 19 상황으로 당장 구호물품 전달이 시급하다며, 대북 인도주의 지원 강화법안의 조속한 발의와 통과를 강조했습니다.
이번 활동 기간 중에는 그 동안 한반도 문제에 큰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목소리를 내왔던 상∙하원 외교위원회 소속 의원들과의 면담 일정도 예정돼 있습니다.
참가 단체들에 따르면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 위원장 코리 가드너 의원과 민주당 측 간사인 에드 마키 의원, 상원 외교위원회 민주당 측 간사인 밥 메넨데즈 의원 등과의 면담이 확정됐습니다.
참가 단체 중 하나인 미국친우봉사단(AFSC)의 다니엘 재스퍼 담당관은 29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현재 28개 주 의원 100여명과 면담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번 활동을 통해 의원들이 미북 간 외교 뿐 아니라 대북지원 절차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환기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재스퍼 담당관: 우리는 코로나19 사태가 여전히 진행 중인 만큼 의회가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안에 관심을 가지길 바랍니다.
재스퍼 담당관은 특히 이번 활동 중 곧 공식 발의될 예정인 대북 인도주의 지원 강화법안에 대한 공동 지지자 확보에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