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세계인권의 날 맞아 “북한 인권상황 우려”

0:00 / 0:00

앵커: 미국 국무부는 세계 인권의 날을 맞아 북한의 심각한 인권상황을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홍알벗 기자입니다.

12월 10일은 유엔이 세계인권의 날을 제정한지 72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인권의 날을 맞는 미국 국무부는 10일 전자우편으로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우리는 북한의 심각한 인권 상황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면서 “북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북한 주민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며, 인권 존중을 증진하기 위해 국제 사회와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인권은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권리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북한의 인권상황은 시간이 지나도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게 국제사회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미국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 밖의 국제사회는 항상 북한의 인권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북한 주민들이 알아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김씨 일가 정권은 1948년부터 70여년동안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계속 탄압해 왔습니다. 세계 인권의 날을 맞이하면서 북한 주민들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북한 주민들의 열악한 인권상황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코로나19, 즉 신종 코로나비루스와 관련해 “사람과 그들의 권리는 대응과 회복(response and recovery)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면서 “분할적 접근과 권위주의, 민족주의는 전세계적 위협에 맞서는 의미가 없으며

유행병에서 회복하고 모두를 위한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모두가 함께 행동하자”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북한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같은 날 성명을 내고 “실제로 1948 년 인권의 날 선언문을 만든 유엔 회의를 소집 한 사람은 미국 영부인(엘레노어 루즈벨트)이었다”면서 “오늘날 미국은 자신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사람들과 항상 연대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하고, 우리 모두가 소중히 여기는 인권을 모든 국가가 함께 나서 보호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북한의 내각 기관지인 민주조선은 10일 "북한은 사람을 세상에서 제일 귀중히 여기고 인민대중을 위해 복무하는 진정한 인민의 나라, 존엄 높은 자주 강국이며 인민대중의 민주주의적 자유와 권리가 최상 수준에서 보장된 참다운 인권옹호, 인권실현의 나라"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