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올해 2분기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 수가 12명에 그쳐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감염증으로 인한 관련국들의 국경 봉쇄가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1일 올해 2분기, 즉 4~6월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 수가 모두 12명이라고 발표했습니다.
4월 7명, 5월 2명, 6월에는 3명으로 잠정 집계된 이 수치는 통일부가 분기별 탈북민 수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래 사상 최저 수준으로 지난 1분기의 135명과 비교하면 10분의 1 아래로 급감한 것입니다.
또 지난해 같은 기간, 2분기에 모두 320명이 입국한 것과 비교해도 1년 사이 무려 96%나 줄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탈북민 수가 급감한 것과 관련해 신형 코로나의 영향으로 비공식적인 탈북 경로가 폐쇄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여상기 한국 통일부 대변인 : 현재 가장 큰 원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신형 코로나 발생 이후 관련국들의 국경폐쇄가 있었고 이로 인한 인원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한국 입국 탈북민 수가 급감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인 나우(NAUH)의 지철호 긴급구호 팀장도 이에 동의하면서 올 3분기에는 한국 입국 탈북민 수가 0에 가까울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지철호 나우 (NAUH) 긴급구호 팀장: 국경이 아직 열리지 않고 있어 현재 중국에 있는 탈북민들이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고, 거의 반년 정도를 머무르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지 팀장은 중국에서 제3국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오는 일반적인 탈북 경로와 그에 소요되는 기간을 감안할 때 3분기가 시작된 지금 중국 내 탈북민들에 대한 구출이 시작돼야 이들이 4분기, 즉 올해 안에 한국에 들어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지 팀장은 지난 4월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2분기 한국 입국 탈북민 수가 1분기의 10분의 1 정도로 급감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탈북민의 정착을 돕기 위해 편성된 지원금이 삭감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신형 코로나 사태로 인해 입국 탈북민 수의 급감이 예상돼 예산 당국과 협의해 감액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예정됐던 1천만 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대남 비난 발언 때문에 보류했다는 통일부 측의 입장과 관련해서는 현재 남북관계 동향을 반영해 잠시 보류한 것으로, 남북관계의 제반사항을 고려해 추진 시점을 다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