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간 계속되던 호주의 대북지원 중단 이유는?

0:00 / 0:00

앵커: 1990년대 말 이후 지난 20년 동안 미화 약 9천만 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했던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 정부가 현재 대북지원을 중단한 상태이며 내년도 지원 계획도 세우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호주 정부는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중단한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호주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2일 대북 인도주의 지원현황과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현재 호주 정부가 진행 중인 대북 인도주의 지원 사업은 없으며 내년도 지원 계획도 세우지 않았다고 전자우편을 통해 답했습니다.

호주 국제개발청(AusAid) 웹사이트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이른바 '고난의 행군' 시절인 1994년 이후 호주 정부가 제공한 대북 지원 금액은 9천만 달러에 이릅니다.

매년 평균 450만 달러 상당의 대북 지원을 했던 호주 정부는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위해 핵실험을 강행한 2002년부터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개발지원을 중단했습니다.

호주 외교부 대변인은 2002년 이후 유엔 기구를 통해 제한적인 인도주의 지원을 했지만 올해는 모든 대북 지원을 중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호주 외교통상부가 최근 공개한 2018 연례보고서는 북한이 핵개발의 속도를 내던 지난해 이후 한국과의 외교, 국방 협의를 긴밀히 하면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위협에 대처하는 한국과 호주 양국의 안보 협력을 강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고서는 호주 정부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과 핵개발 계획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가장 큰 안보 위협으로 인식하고 자국의 독자 대북제재 뿐 아니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We implemented Australia's autonomous sanctions on North Korea's programs as well as those mandated by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한편 호주는 지난주 독일과 일본 등 유엔의 35개 회원국과 공동으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촉구하는 공동결의안을 유엔총회 제1위원회에 제출했으며 대북제재 이행을 강조하며 동중국해에 자국 함선을 배치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