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가족계획2020’ 보고서 “북한 내 낙태 매달 1만건”

0:00 / 0:00

앵커 : 북한에서 안전하지 않은 낙태 건수가 매달 평균 1만 건에 달한다고 유엔 인구조사 특별위원회의 보고서가 지적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에서 안전하지 않은 피임 방법의 낙태가 올해 5월까지 1년 간 12만 3천 건이라고 유엔의 ‘가족계획 2020’ (Family Planning 2020) 특별위원회가 추정했습니다.

가족계획 2020 특별위원회는 2030년까지 인류의 빈곤을 종식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자는 유엔의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의 17개 목표 중 다섯 번째 조항인 여성과 소녀의 역량강화 목표를 위해 유엔 사무총장 산하 특별기구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특별위원회는 11일 발표한 ‘2020 진전(progress) 보고서’에서 북한을 포함한 59개 지원대상국의 안전한 임신과 출산 관련 통계를 공개했습니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의 안전하지 않는 낙태 건수는 매년 5월 기준으로 12만 8천 건이던 2104년이 가장 많았고 2012년이 12만 2천 건으로 가장 적었습니다.

북한의 출산율은 가임 여성당 1.9명으로 북한의 현재 인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대체출산율 2.1명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년 전 북한을 떠나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 김시연 씨는 식량 부족을 북한의 출산율 저하의 주요 이유라고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김시연: 북한은 출산을 병원보다는 집에서 많이 합니다. 병원에서는 산모에게 식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살기도 어렵고 애도 낳기 어려워서 출산을 꺼리는 젊은 여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가족계획 2020 특별위원회의 보고서는 개발도상국의 여성 6억 명 중 1~2% 만이 자궁 내 장착하는 피임기구(IUD)를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지만 북한의 경우 이러한 피임 기구의 사용 비율이 지원대상 국가 중 가장 높다고 덧붙였습니다.

가족계획2020의 보고서는 15세 이하 여성의 출산율도 북한은 1명 이하로 지원대상국가 중 가장 낮다고 전했습니니다.

가족계획2020 특별위원회는 2030년까지 인류공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기구와 정부, 비영리단체의 연합기구로 미국국제개발처(USAID)와 유엔인구기금(UNFPA) 노르웨이 국제개발처(NORAD), 영국국제개발부(DFID)가 후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