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탈북민 취약계층을 위한 긴급 지원에 나섰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해 탈북민 취약계층을 전수조사한 결과 생계비와 의료비 등의 지원이 시급한 탈북자들이 총 553명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조사 대상자 3천 800여명의 약 14%, 그리고 한국에 거주하는 전체 탈북민 3만 3천여명의 약 2%에 해당되는 겁니다.
통일부 산하 탈북민 지원 기관인 남북하나재단과 지역사회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에게 긴급 생계비 등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한국 정부가 탈북민 취약계층 발굴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지난해 발생한 탈북민 모자 사망사건에 대한 대책의 일환입니다.
지난 7월 한국에 정착한 40대 탈북민 여성과 여섯 살 아들이 서울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돼 탈북민 위기가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서재평 탈북자동지회 사무국장은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의 이러한 노력은 긍정적이라며 지역별 탈북민 단체 활성화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서재평 탈북자동지회 사무국장: "진짜 어려운 사람은 전화통화 자체가 잘 안돼요. 찾아가도 가까운 사람 아니고서는 응대를 안하고… 이런 전수조사를 통해서 위기가정을 찾아내고 이렇게 하는 것도 중요한데 그 지역에 사는 탈북민들 그리고 또 그 지역에 있는 동사무소의 복지 담당자 이렇게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구체적인 사연이나 사례를 파악하고 거기에 맞게 지원 대책을 세워야 하는데…"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도 탈북민 취약계층 전수조사를 해마다 두 차례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