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워싱턴 디씨를 방문한 한국의 제1야당 '국민의힘' 소속 탈북자 출신 지성호 의원은 한국의 이른바 '대북전단금지법'을 포함한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미국 정치인들과 심도있게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정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방미 중인 지성호 의원은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번 방미 기간 북한 인권문제와 한미동맹의 복원, 그리고 (한국에 대한) 백신 지원문제 등을 미국 측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미국 의회 내 초당적 기구인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 공동위원장인 크리스 스미스(Chris Smith) 연방 하원의원을 만난 지 의원은 ‘대북전단금지법’ 등을 둘러싼 남북한 내 표현의 자유 문제에 관해 스미스 의원과 폭넓은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습니다.
지성호 의원 : (스미스 의원이 상황을) 다 알고 있고요.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인권변호사 출신으로서 인권(증진 활동)을 막는다, 처벌한다 이것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고요. (미국 정치권에서) 그런 부분들도 다 알고 있고, 앞으로도 청문회들이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개최) 합의가 이루어졌고 시기 등을 계속 조율하기로 했습니다.
지성호 의원은 “대한민국은 세계10위권의 경제대국 지위에 올랐다”면서 “하지만, 북한 주민의 자유와 알 권리를 박탈한다면 이런 선진국 반열에 오를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어 대한민국이 대북전단금지법 때문에 민주주의를 탄압하는 모습으로 국제사회에 비춰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지난 10일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가진 취임 4주년 기자회견에서 “남북합의와 현행법을 위반하면서 남북 관계에 찬물을 끼얹는 일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부로서는 엄정한 법 집행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해 최근 북한인권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등에 대해 강력한 법 집행을 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습니다.
지성호 의원은 또 스미스 의원 등과 중국 내 탈북여성들의 인권문제와 중국 당국의 탈북자 강제북송 등에 대한 견해도 나눴고, 한국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지원도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
지성호 의원 :우리(한국) 국내에서 백신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참 안타까운 현실에 대해 얘기를 나눴고요. 그리고 여기(미국)는 백신이 많은데, 왜 백신을 맞고 가지 않냐고 해서(웃음) 저희들이 가지고 가서 (한국) 국민들과 함께 맞도록 좀 도와달라고 이야기했고, 그렇게 해주겠다고 해서기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지성호 의원은 지난 5일 미국의 민간연구기관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초청을 받아 황교안 전 한국 대통령 권한 대행과 함께 워싱턴 디씨에 도착했습니다.
함경북도 회령시가 고향인 지 의원은 지난 2020년 한국의 21대 총선거에서 제1야당 청년 비례대표 1번으로 대한민국 국회에 입성했습니다.